d라이브러리
"공동"(으)로 총 4,032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양자역학으로 무한의 호텔을 지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방 옮기기’ 성공했지만, 진정한 힐베르트 호텔은 아냐이번에 논문을 발표한 국제공동연구팀은 각운동량의 양자수를 늘리고도 중첩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을 이론적으로 제시했고, 실제로 소용돌이 빛에서 구현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연구팀이 소용돌이 빛이라는 생소한 개념을 사용한 ... ...
- Interview. “극지 연구에 국경은 필요없죠”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예상되는 장애물을 없애는 것이다. 북극이사회에서는 현재 과학자들이 극지에 출입하며 공동연구할 때 마주할 수 있는 문제들, 즉 비자 문제, 장비를 반출입하는 문제, 데이터를 공유하는 문제 등 8개 문제에 대해 태스크포스를 만들어 논의하고 있다. (합의가 잘 이뤄질 것이라고 보는가?) 극지를 ... ...
- [과학뉴스] 화성의 달은 어떻게 탄생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동시에 발표됐다.벨기에 왕립천문대 파스칼 로젠블라트 박사팀은 프랑스, 일본 연구진과 공동으로 포보스와 데이모스가 탄생하는 과정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재현해 학술지 ‘네이처 지오사이언스’ 온라인판 7월 4일자에 발표했다.포보스와 데이모스는 각각 우주 공간을 떠돌다가 화성의 ... ...
- [News & Issue] 브렉시트, 한국 과학계엔 나비 효과 없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담담한 분위기, 변화가능성 적어2012년까지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에서 힉스 입자 공동연구에 참여한 박인규 서울시립대 물리학과 교수도 비슷한 의견이었다. 박 교수는 “CERN에서 브렉시트 투표 다음 날 단체 메일을 보냈다”고 말했다. 메일에는 “영국과 CERN의 관계는 변함 없으며, CERN의 연구 ... ...
- [Photo] 천의 얼굴에 숨은 천 가지 기회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광맥을 통해 대량 채굴되는 것과는 달리, 수집용 광물 표본은 광산이나 채석장 등의 포켓(공동)이나 바위틈에서 드물게 발견된다. 우연히 발견된 아름다운 표본이 수집가나 딜러에게 비싼 가격에 팔렸다는 소문이 나면, 많은 개인 광부들이 모여들게 된다. 경제 사정이 넉넉치 않는 지역의 경우에는 ... ...
- Part 1. 북극, 빙하기 동해 닮은 비밀의 얼음 바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예정이다. 국내에서는 남승일 극지연구소 북극환경자원연구센터 책임연구원이 참여해 공동연구를 한다. 시추된 빙하와 해양퇴적물을 분석하면 과거 빙하의 규모나 이동방향, 지형의 변77화, 해수면 변동 등을 정확하게 알아낼 수 있다. 연구팀은 7월 16일 현재도 북극해 스발바르제도에서 노르웨이 ... ...
- PART 1. 누가 누가 잘할까? 미리 알아보는 올림픽 순위수학동아 l2016년 08호
- 올림픽 개최국인 브라질이다. 런던 올림픽 당시 20위권 안에도 들지 못했던 브라질이 공동 7위를 차지했다. 연구팀이 올림픽을 개최하는 나라는 메달을 더 많이 딴다는 요소를 모형에 집어넣었기 때문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016 리우 올림픽 즐기는 세 가지 방법PART 1. 누가 누가 ... ...
- [소프트웨어] 클래스팅으로 하나 되는 우리 반수학동아 l2016년 08호
- 있는 곳이라고 생각해요.”능력 있고 일을 즐기려는 사람을 ‘모신다’는 클래스팅의 공동 창업자이자 CEO인 조현구 대표. 그는 어린 시절부터 다양한 경험을 좋아했다. 조 대표의 부모님은 그런 그를 적극적으로 지원해줬다.“다양한 것에 관심이 많았어요. 공부도 열심히 했고 피아노, 드럼,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이 사람을 만든다수학동아 l2016년 08호
- 있도록 돕습니다. 학교 사회의 구성원인 학생들의 소질과 취미, 개성을 살릴 수 있는 ‘공동의 광장’을 마련한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문집을 만들 때는 거창한 생각으로 무리하게 일을 추진하기보다는 가벼운 마음으로 시작해보길 권합니다. 일 년 동안 이룬 교육활동의 결과물을 함께 ... ...
- [과학뉴스] “또렷하게 보려고” 눈 굴리는 갯가재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사실을 알아냈다. 광수용체가 정렬되면 사물에만 집중함으로써 더 또렷이 볼 수 있다. 공동저자인 니콜라스 로버츠 연구원은 “갯가재는 12가지 색으로 세상을 인지하는 등 사람과 다른 시각체계를 갖추고 있다”며 “수중에서 사물을 구분해야하는 로봇을 제작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이전1371381391401411421431441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