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동"(으)로 총 4,032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발암물질로부터 가족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아빠 왔다~!”퇴근하신 아빠를 보자 반가운 마음에 현관으로 뛰어나가 볼에 뽀뽀를 해 드렸어. 그런데 이게 무슨 냄새지? 설마 담배 냄새? 나도 모르게 인상을 찡그렸어. 아빠는 집에 오기 전에 손도 닦고 양치도 했는데 어떻게 알았냐며 당황하시네.“아빠! 담배는 피우는 사람은 물론 주변 사람 ... ...
- Part 1. 백해무익, 담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담배에 바퀴벌레 살충제가 들어 있다고?!“콜록콜록~!” 담배 피우는 사람 옆에 있다가 담배 연기를 맡게 되면 기침이 나고 코가 매워요. 담배 연기 속의 해로운 물질이 코와 기도, 폐 등을 자극했기 때문이에요.담배에는 약 4700여 가지의 유해 물질이 들어 있어요. 바퀴벌레 살충제에 쓰이는 니코틴 ... ...
- 노벨상 발표에 베이글이 등장한 사연수학동아 l2016년 11호
- 냈고, 기여한 바가 크기 때문이다. 두 개의 논문 중 하나는 코스털리츠 교수와 공동 연구 논문이고, 나머지 한 개의 논문이 홀데인 교수의 것이다.2016년 노벨 물리학상 파헤치기우리가 사는 세계는 3차원 공간이다. 얇은 종이나, 가느다란 실도 실제로는 부피가 있는 3차원 도형이다. 평범한 3차원 ... ...
- [Career] 뇌와 컴퓨터가 만나면 어떤 향기가 날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존중하는게 중요하다”며 “나이나 직급 같은 걸 따지기 시작하면 (진정한 의미에서) 공동연구를 할 수 없다”고 말했다. 강 연구원은 “문 교수님과는 동네 형처럼 편한 사이”라고 말했다. 서로 농담을 주고받는 모습이 꼭 그래 보였다.문 교수는 “많이 말하고, 그만큼 많이 듣는 것이 ... ...
- Part 3. 발암물질을 추적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간접흡연의 지표, NNAL이번 프로젝트에서 가장 주목한 유해 물질은 소변에 들어 있는 ‘NNAL’이에요. NNAL은 담배 속 발암물질인 NNK가 우리 몸에 들어간 뒤, 간에서 해독 작용을 거치면서 변한 물질이지요. 간은 우리 몸에 들어온 나쁜 물질의 독성을 줄이고, 이 물질이 몸 밖으로 빠져나가도록 해요. ... ...
- Part 4. 금연, 온가족이 함께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금연이 어려운 이유는 ‘니코틴의 중독성’프로젝트에 참가한 21가족 중 5가족은 금연을 하는 데 실패했어요. 금연 약을 먹으며 속이 울렁거리는 부작용을 겪기도 했고,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담배의 유혹을 뿌리치기 힘들었던 거죠. 실제로 보건복지부 조사에 따르면 자신의 의지만으로 금연할 경 ... ...
- [지식] 세계는 스팸과 전쟁 중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스팸과 싸워 이길 수 있을까요?빌 게이츠도 싫어한 스팸2003년 6월, 마이크로소프트의 공동창업자인 빌게이츠가 쓴 글이 미국의 유명 일간지 ‘월스트리트저널’에 실렸습니다. 제목은 ‘내가 스팸메일을 싫어하는 이유’. 당시 빌 게이츠는 하루 평균 400만 통의 메일을 받곤 했습니다. 스팸메일 ... ...
- [과학뉴스] 국내 연구팀이 거의 완벽하게 밝힌 ‘한국인 표준 유전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서울대 의대 유전체의학연구소 서정선 교수와 국내 생명공학 벤처기업 마크로젠 공동연구팀은 독자적인 기술을 이용해 한국인의 유전체를 거의 완벽하게 해독해 냈다.유전체란 세포에 들어 있는 모든 유전 정보다. 생김새와 체질, 재능, 특정 질병에 걸릴 가능성 등 생존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모든 ... ...
- [과학뉴스] 초기 지구를 데운 건 메탄이 아니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아닐 수도 있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미국항공우주국(NASA)과 UC리버사이드 공동 연구팀은 지금으로부터 약 18억 년 전에서 8억년 전까지 지구의 대기 중 메탄가스의 농도를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분석했다. 새로운 시뮬레이션에는 황산염 농도의 변화가 추가됐다.논문의 제1저자인 NASA ... ...
- Part 4. 동물의 삶이 궁금해? 직접 살아 봐!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책(ISBN 978-1781255346)으로 펴냈다. 그는 토마스 트웨이츠와 함께 생물학 분야 이그노벨상을 공동수상했다.이와 반대로 동물을 사람처럼 살게 만든 황당한 연구도 있었다. 이집트의 비뇨기과 의사 고(故) 아흐메드 샤픽 교수는 쥐에게 다양한 옷감으로 만든 바지를 입힌 뒤 성생활이 어떻게 변하는지 ... ...
이전1331341351361371381391401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