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동"(으)로 총 4,032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새똥이 북극을 춥게 한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유지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미국 콜로라도주립대와 캐나다 댈하우지대, 토론토대 공동 연구팀은 바닷새의 배설물이 있을 때와 없을 때 북극의 대기가 받는 영향을 시뮬레이션하고, 실제 측정 결과와 비교했다.측정 결과 바닷새의 배설물이 있으면 북극 대기에 크기가 10nm(나노미터, 100만 분의 ... ...
- [Issue] 미래지진을 찾아 바다 밑을 들추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Ocean Discovery Program)시추연구선에 탑승한 지구과학자의 탐사일지를 지금 공개한다.국제공동해양탐사프로그램(IODP)의 시추연구선을 타기 위해 스리랑카의 수도 콜롬보로 날아가는 내내 나는 마음이 무거웠다. 세계적으로 가장 큰 해양지구과학 연구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흔치 않은 기회였지만, ... ...
- [Culture] 미래사회에도 인간이 필요할까요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뉴미디어아트의 선구자 모리스 베나윤이 토비아스 클랭, 장 밥티스트 바리에 작가와 공동으로 작업한 ‘브레인 팩토리’라는 프로젝트다. 헤드셋은 뇌신경 사이에 신호가 전달될 때 생기는 전기흐름이 두피로 전달되는 뇌전도(EEG)를 감지하는 장치다. 수집한 EEG 데이터를 작가가 설계한 시스템을 ... ...
- [Career] 줄기세포 배달하는 초소형 로봇 탄생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것을 발견하기 어렵다는 것이다.또 많은 이야기를 나누는 것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공동연구기는 하지만 각자 연구를 진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한 쪽에서 어떤 상황이 일어나고 있는지 신속하게 알아야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 예컨대 최 교수팀이 준 로봇이 배양액 속을 떠다녀서 줄기세포를 넣기 ... ...
- [공룡은 왜? 1화] 공룡의 구애 행동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모양은 아크로칸토사우루스가 만든 흔적과 매우 비슷하답니다.이러한 증거들을 토대로 공동연구팀은 공룡이 바닥을 긁은 행동이 암컷을 유혹하기 위한 구애 행동이라는 결론을 내렸어요. 이 연구는 흔적화석을 통해 공룡의 구애 행동을 최초로 밝혔다는 데에 큰 의미가 있지요. 그동안 ... ...
- [Interview] 낙심한 물리학자, 귀인(貴人) 만나 ‘인생 역전’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연구 결과가 담긴 논문을 받아 보는 경험을 두세 번이나 했다. 낙심한 그에게 나중에 공동수상자가 된 데이비드 사울레스 교수가 자신의 연구 주제를 소개한 것이 전화위복의 계기였다.두 사람의 연구는 2차원 물질이 고체에서 액체로 변하는 상전이를 위상수학을 이용해 설명한 것으로, 연구 결과가 ... ...
- [과학뉴스] 인류가 만든 ‘문명’, 30조t에 달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얻었다. 이는 테크노스피어가 지표면 1m2당 50kg의 질량을 차지하고 있다는 뜻이다.논문의 공동 저자인 영국 레스터대 지질학과 마크 윌리엄스 교수는 “테크노스피어가 지구의 새롭고 중요한 현상임을 보여준다”며 “인간이 지구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연구할 수 있는 척도가 될 것”이라고 ... ...
- [Career] 4배체 유전자 개구리, 세계 최초로 해독한 과학자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않은 4배체 종에 도전해 보자는 생각이 들었습니다.”산 넘어 산, 쉽지 않았던 7년간의 공동연구겁 없이 도전했지만 4배체 동물의 유전체를 해독하는 것은 말처럼 쉽지 않았다. 유전체를 해독할 때는 수십 개에서 100여 개에 이르는 짧은 염기 단위로 잘라(단위 염기서열) 각각 읽어낸 뒤 이를 이어 ... ...
- 모차르트에 도전장을 내밀다수학동아 l2017년 01호
- 편을 싣는다. 부원들이 함께 편집 계획표를 짜면 학생 기자 여덟 명이 기사를 나눠 쓰고 공동편집장 심현종 군과 최우성 군이 차례로 검토한다. 수학신문부가 쓴 기사는 다채롭다. 김재현 군은 기존 노래 가사를 재미난 수학을 하고 싶다는 내용으로 바꿨다. 정석화 군은 수학 퀴즈를 만들었고, ... ...
- [과학뉴스] 방사선에 강한 미생물의 비밀 밝히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이전까지는 어떤 원리로 방사선을 이겨내는지 알지 못했다.한국원자력연구원과 연세대 공동 연구팀은 크립토코쿠스에 방사선을 쏜 뒤, 생성되는 전령RNA(mRNA)의 전사체를 분석했다. 그 결과, 다른 미생물에는 없고 크립토코쿠스에만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단백질(BDR1)을 발견했다. BDR1을 만들지 못하는 ... ...
이전1291301311321331341351361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