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합
협회
합동
합작
협력
연맹
교제
d라이브러리
"
공동
"(으)로 총 4,03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날숨만으로 후두암과 위암 진단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높이고, 다른 암 질환을 진단하는 데에도 활용하기 위해 추가연구를 할 계획이다.
공동
연구자인 쉬레즈 마커 임페리얼칼리지 의대교수는 “간편하게 후두암이나 위암을 잡아내는 1차적인 검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과학뉴스] 코뿔소는 똥으로 SNS를 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3호
했지요.연구에 참여한 코트니 마네웩 연구원은 “이 연구 결과는 왜 많은 동물들이
공동
의 배변 장소를 사용하는지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라고 말했어요 ... ...
Part 3. 기후 빙하기의 끝은 매머드의 끝?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3호
결국 멸종했지요.2016년 3월 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교 러셀 그라함 교수가 이끄는
공동
연구팀은 섬에 갇힌 털매머드들의 멸종 원인이 ‘물’이라는 사실을 밝혀냈어요. 연구팀이 매머드 화석을 채취한 세인트폴 섬은 빙하기가 끝난 이후 바닷물이 들어차면서 털매머드들이 고립된 지역이에요. ... ...
[과학뉴스] 네이처 기후변화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은 얼마나 될까.미국 국립대기연구센터와 스위스 취리히연방공대
공동
연구팀은 몇 가지 시나리오에 따라 향후 8년간 지구 환경 변화를 시뮬레이션했다. 그 결과, 트럼프의 영향으로 전 세계 온실가스를 감축해야 할 당사국들이 주춤할 경우, 온실기체 3500억 t이 추가로 배출될 ... ...
[포토뉴스] 쓰레기통으로 목성의 대기 흐름 재현하다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프랑스
공동
연구팀이 대형 산업용 쓰레기통을 이용해 목성의 대기 흐름을 실험적으로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고 ‘네이처 피직스’ 1월 23일자에 밝혔다. 목성 대기 흐름은 천문학계에서 아직도 풀리지 않은 미스터리다. 상층 대기에 보이는 제트기류가 가스로 이뤄진 목성 내부에도 존재하는지 아직 ... ...
[Origin] 겨울잠과 잠을 동시에 자는 여우원숭이?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단지 가사 상태로 만드는 걸까.이 의문을 해결하기 위해 미국 듀크대와 독일 함부르크대
공동
연구팀이 여우원숭이에게 온도 센서와 원격 송수신장치를 붙여 겨울잠을 자는 동안 뇌파를 측정했다. 그 결과, 보온이 잘 된 곳에서 겨울잠을 자는 여우원숭이의 경우 일주일에 한번 체온을 올릴 때 ... ...
Part 3, 기후변화 최대 피해지, 북극 스발바르는 지금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가져왔는지를 연구하기 위해, 현재 AWI와 미국 오하이오대 버드극지·기후연구센터와
공동
연구를 하고 있다.퇴적물에서 분석한 과거의 기록들은 현재 진행 중이고 앞으로 진행될 기후변화를 이해하고 예측하는 데 매우 중요한 자료다. 지구의 온도가 지금과 비슷하거나 더 높았던 시기에 만들어진 ... ...
Part 4. 인류 매머드는 소중한 자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상아가 함께 발견되는 경우도 많아요.2015년 영국의 엑서터대학교와 케임브리지대학교
공동
연구팀은 구석기 인류가 세계 각지로 흩어져 나간 시기와 빙하기 동물들이 특정 지역에서 사라진 시기를 함께 분석했어요. 그 결과 인류가 유럽의 각 지역에 정착한 시기와 그 지역의 동물 멸종 시기가 ... ...
[과학뉴스] ‘마이크로 물방울’로 엽록소 반응 관찰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데 성공했다.남홍길 기초과학연구원(IBS) 식물 노화·수명 연구단장과 미국 스탠퍼드대
공동
연구팀은 지름이 수 μm인 물방울을 이용해 엽록소 탈금속반응이 일어나는 속도를 측정했다. 탈금속반응은 산성 조건에서 엽록소 분자 가운데에 있는 마그네슘 이온이 수소 이온으로 교체되는 반응이다. ... ...
[과학뉴스] 조울증 일으키는 단백질 실마리 찾아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국내 연구진이 발표했다.서판길 UNIST 생명과학부 교수와 김정훈 포스텍 생명과학과 교수
공동
연구팀은 피엘씨감마원(PLCγ1)이라는 단백질의 기능 이상이 조울증 발생의 핵심 요인이라는 것을 밝혔다. PLCγ1은 뇌의 신호전달을 담당하는 단백질로, 서 교수가 세계 최초로 뇌에서 분리·정제해 분자 ... ...
이전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