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동"(으)로 총 4,032건 검색되었습니다.
-
- [Origin] 일본 iPS세포연구소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연구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송지환 차의과학대 교수팀이 CiRA 내 여러 그룹과 공동연구를 진행 중입니다. 임상에 사용할 수 있는 iPS세포주를 구축하고 신경계질환 세포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힘을 쏟고 있습니다. 한국인과 일본인 간 인간백혈구항원(HLA)의 유사성을 토대로 ... ...
-
- Part 2. 정보의학시대 논쟁, DNA 공공 데이터베이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001년 미국과 영국을 포함한 6개국 공동연구팀이 처음으로 인간의 모든 유전자를 자세하게 읽어낸 ‘인간게놈지도’를 발표했다. 이 지도를 통해 전체 게놈의 99%에 해당하는 32억 쌍의 염기서열이 해독됐다.염기서열을 밝히는 것과 분석하는 것은 다르다하지만 염기서열이 밝혀졌다고 우리가 인간의 ... ...
-
- [과학뉴스] 셰일가스 품질 높일 질소 흡착제 개발과학동아 l2017년 02호
- ‘하이브리드 나노세공 흡착물질’이 개발됐다.한국화학연구원과 연세대, 프랑스 CNRS 등 공동 연구팀은 하이브리드 나노세공 소재를 만들어 가스에서 질소를 효율적으로 흡착해 없애는 데 성공하고 학술지 ‘네이처 머티리얼스‘ 2016년 12월 19일자에 발표했다.하이브리드 나노세공 소재는 크롬 ... ...
-
- [Future] 큰 녀석들의 전쟁, 거대 로봇 삼국지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나왔다.현재 마크-2를 개선해서 만들고 있는 마크-3는 이런 약점을 대폭 보완하고 있다. 공동개발자 중 한 명인 공학자 멧 올레인은 과학동아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시속 32km의 속도로 빠르게 움직일 수 있게 기동성을 보완했고, 대기압의 272배의 압력을 내는 유압 시스템으로 자동차를 4.6m 높이까지 ... ...
-
- 집중하는 시간이 행복한 수학자수학동아 l2017년 02호
- 편이에요. 맞으면 맞는 거고 틀리면 틀리는 거지요. 틀리면 오히려 배우는 게 많아요. 공동 연구도 처음에는 밑도 끝도 없이 아이디어를 던지면서 시작하거든요. 처음부터 논리적이지 않아요. 그런데 함께 이야기하다 보면 논리를 점점 더 강화하게 되고 재미있는 것들이 보이죠.돌이켜보면 제 ... ...
-
- Part 4. ‘키메라 백신’으로 인플루엔자 예방한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적은 없다. 그렇다고 아주 불가능한 얘기도 아니다. 미국 시카고주립대와 에모리대 공동연구팀은 2009~2010년 유행했던 신종플루에 걸렸다가 회복한 사람의 혈청에서 흥미로운 사실을 하나 발견했다. 다양한 아형의 인플루엔자에 결합할 수 있는 항체가 있었던 것이다. HA 단백질을 인식하는 항체 ... ...
-
- [과학뉴스] 100일 동안이나 꽃 피는 무궁화의 비밀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피울 수 있는지 몰랐어요. 그런데 최근 한국생명공학연구원과 서울대학교, 경상대학교 공동연구팀이 그 이유를 알아냈답니다. 무궁화의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꽃을 피우는 개화에 관여하는 유전자가 다른 식물보다 많다는 것이 밝혀졌거든요.무궁화는 2200만 년 전에 목화에서 진화했는데, 이때는 ... ...
-
- Part 2. 살아 있는 연구실, 닭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만드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요.지난 2010년 영국 셰필드대학교와 워릭대학교 공동 연구팀은 닭이 없으면 달걀이 존재할 수 없다고 밝혔어요. 슈퍼컴퓨터로 분석한 결과, OC-17이 달걀 껍데기의 주재료인 탄산칼슘 성분을 광물 형태로 바꿔 단단한 껍데기를 만든다는 것을 알아냈어요. 또 ... ...
-
- [과학뉴스] ‘두께 없는’ 2차원 자석 만들 방법 찾아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될 전망이다.정현식 서강대 물리학과 교수팀은 서울대, 기초과학연구원(IBS) 연구진과 공동으로 2차원 삼황화린(FePS3)이라는 물질에서 자기적인 성질이 변하는 상전이 현상을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2016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들의 주요 업적 가운데 하나는 2차원 물질이 고체에서 액체로 변하는 ... ...
-
- [과학뉴스] 얼음 구름의 생성 순간을 보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kaolinite)’ 입자가 어는 과정을 3초에 한번씩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해 영상으로 만들었다. 공동 연구자인 미국 뉴욕주립대 해양대기과학과 다니엘 노프 교수는 “나노 크기의 해상도를 가진 전자현미경으로 수백만 번 촬영한 사진을 이어붙이면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구름이 생긴다”며 “기후변화에 ... ...
이전1281291301311321331341351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