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궤도"(으)로 총 2,146건 검색되었습니다.
- 03 2005년 한국에 뜨는 별 K스타과학동아 l2001년 12호
- 미사일에서 목표를 설정하면 스스로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정밀한 제어회로를 통해 궤도를 수정하거나 속도를 변환하는 기술이 핵융합 실험 분야에서도 적용되는 것이다. K스타에서는 플라스마에서 핵융합 반응이 최대로 일어나도록 어떤 상황에서도 플라스마의 온도, 밀도, 위치를 실시간으로 ... ...
- 오디세이, 첫 영상 선보여과학동아 l2001년 12호
- 남반구의 일부를 찍은 가시광선 영상을 공개했다.내년 1월 표면에서부터 약 4백km 고도의 궤도에 진입한 오디세이호는 이후 본격적인 탐사활동을 벌인다. 이미 화성을 돌고 있는 또다른 NASA의 탐사선인 ‘화성 전역 서베이어’(MGS)와 공동으로 탐사한다.오디세이호에는 서베이어호보다 뛰어난 성능을 ... ...
- ① '수능 프리즘'을 통해 본 과학과학동아 l2001년 12호
- 출제되기도 한다. ▶ 위 문제의 행성A는 수성이다. 수성은 금성과 더불어 지구 공전궤도의 안쪽에 있기 때문에 ‘내행성’으로 분류된다. 따라서 항상 태양과 그리 멀리 떨어져있지 않다(태양과 가장 큰 각도로 떨어져있는 경우를 ‘최대이각’이라고 하는데, 금성의 경우 최대이각은 46°정도로 ... ...
- 1백년 전 시베리아 대폭발 새로운 설명 제기과학동아 l2001년 12호
- 다가왔다. 연구팀이 계산한 이 물체의 가능한 궤도 8백86개 가운데 80% 이상이 소행성 궤도로 추정됐다. 하지만 이 물체가 소행성이라면 왜 완전히 붕괴된 것일까. 연구팀의 루이기 포쉬니 박사는 “이 물체가 소행성 마틸드와 비슷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마틸드는 1997년 미항공우주국의 탐사선 ... ...
- 국내 연구진 탄소나노튜브 위치제어 성공과학동아 l2001년 12호
- 탄소나노튜브가 발견된지 꼭 10년이 흐른 지난 11월. 국내 나노과학연구진이 탄소나노튜브를 반도체소자에 초고집적으로 배열할 수 있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 ... 중 테라급나노소자개발사업단의 과제에 속한다. 이로써 국가나노기술개발 사업이 본 궤도에 올랐다고 평가받고 있다 ... ...
- 맨눈으로 볼 수 있는 소행성 베스타과학동아 l2001년 12호
- 위치하는 작은 행성들이다. 1801년 피아치가 최초의 소행성 세레스를 발견한 이래 현재 궤도가 알려져 있는 소행성만 수만개가 넘는다. 이 중 가장 큰 주요 소행성 4개를 4대 소행성이라 한다. 4대 소행성의 1번은 세레스, 2번은 팔라스, 3번은 쥬노, 4번은 베스타다. 이들 4대 소행성은 비교적 밝은 ... ...
- 태양계는 우리은하 어디에 있을까?과학동아 l2001년 11호
- 깊은 밤에는 은하수가 높이 뜨지 않는다. 이는 (그림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구의 공전궤도가 은하면과 평행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문제(2)의 정답은 ×다. 천구에 은하수를 그려보면 (그림 2)와 같이, 천구의 적도와 63½°의 각도를 이루는 대원이 된다 ... ...
- 방랑자 혜성의 진면목 최초 포착과학동아 l2001년 11호
- 이었다. 이것은 우주 추진기관의 가동시간 면에서 보면 신기록이다. 이전에는 1970년 지구 궤도에 올려졌던 NASA의 우주 전기로켓 테스트 2호(Space Electric Rocket Test 2)에 장착된 이온엔진이 약 1백61일간 분사했던 일이 기록이었으나, 이번에 딥스페이스 1호가 새로운 기록을 다시 세운 것이다.딥스페이스 ... ...
- 대규모 유성비 11월 19일 새벽에 쏟아진다과학동아 l2001년 11호
- 태양에 접근하는 일과 연관된다. 이때마다 혜성에서 떨어져 나온 먼지들이 혜성의 궤도상에 흩뿌려지는데, 이것이 바로 사자자리 대유성우의 원인이 된다.유성우의 예측은 대단히 어렵다. 가까운 예로 지난 1998년 우리나라에서 사자자리 유성우는 시간당 1만개 이상으로 예측됐다. 하지만 당시 ... ...
- 가을비처럼 쏟아지는 별똥별 잔치과학동아 l2001년 10호
- 몇번씩 태양을 방문한 혜성은 처음보다 몸무게가 줄고 그 빛을 조금씩 잃지만 혜성 궤도에 남아있던 부스러기는 또하나의 멋진 광경을 선물한다. 혜성이 지나간 자리를 지구가 통과하면서 혜성 부스러기는 밤하늘에 유성이 돼 쏟아져내린다. 이렇듯 혜성은 멋진 꼬리와 유성우라는 두가지 우주쇼를 ... ...
이전1371381391401411421431441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