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로
신작로
차도
찻길
진로
레일
경로
d라이브러리
"
궤도
"(으)로 총 2,146건 검색되었습니다.
왜 물리학자는 암흑 속으로 파고들까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중심을 회전하는 별들도 마찬가지다. 별의 회전속도는 은하 중심으로부터 거리와 그
궤도
내 별들의 전체 질량에 따라 결정된다. 그런데 은하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눈에 보이는 별의 분포는 급격히 줄어든다. 따라서 은하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별의 회전속도는 줄어들어야 한다.이제 별의 ... ...
가을밤에 만나는 밤하늘의 기준점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밤하늘에서 항상 고정돼 있을까. 그렇지 않다. 지구의 세차운동(자전축이 지구공전
궤도
면에 수직인 축에 대해 23.5° 기울어져 있어 팽이처럼 뒤뚱거리며 움직이는 현상) 때문에 지구의 자전축 방향이 바뀌고 천구의 북극은 변하며 춘분점도 마찬가지로 변한다. 춘분점은 평균적으로 천구상에서 매년 ... ...
도대체 동서남북이 어디야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자전축 방향이란 곧 북극 방향을 말하는데, 우리 지구의 경우 (그림2)와 같이 공전
궤도
면에 수직인 선으로부터 23.5°기울어져 있다. 천문학에서는 행성의 경우뿐 아니라 별의 경우에도 자전축 기울기를 이렇게 정의하고 영어 inclination (기울기)을 의미하는 기호 i로 나타낸다. 이런 식으로 정의하면 ... ...
외계 항성계에서 다량의 물 발견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NASA)의 과학자들은 지구저
궤도
인공위성인 스와스(SWAS)를 이용해 지구에서 사자자리 방향으로 5백광년 가량 떨어진 ‘CW 레오니스(IRC+10216)’라는 적색거성 주변에서 보통 성운에서보다 1만배나 많은 물을 관측했다고 7월12일자 영국의 과학전문지 ‘네이처’에 발표했다.스와스 팀의 일원인 ... ...
이혁모 컴퓨터로 첨단합금 설계하는 사이버 연금술사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마그네슘 합금, 니켈 합금, 텅스텐 합금은 물에 뜰 정도로 가벼운 금속에서부터 지구
궤도
를 뚫고 지나갈 수 있는 우주왕복선의 표면을 이루는 것까지 다양하게 사용된다.땜납 대체하는 청정 합금그런데 10여년 전만 해도 합금은 주로 경험적인 방법으로 만들어졌다. 시행착오를 통해 새로운 합금을 ... ...
NASA 위성 전지구적 매연 이동경로 포착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전지구적으로 공기 중의 오염물질이 어디에서 발생하며 어느 곳으로 흘러갈까.지난 5월 30일 미항공우주국(NASA)은 하루에 지구를 16번 도는 테라 위성이 지난해 3월에서 12월까지 ... 온도, 그리고 화재에 이르기까지 기후에 영향을 주는 자료를 수집하는 임무를 띠고 극
궤도
를 돌고 있다 ... ...
수시모집 이공계 심층면접 실전대비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원운동하는 물체에 작용하는‘진짜’힘은 무엇이죠?답 : 원운동이 이뤄지기 위해서는 원
궤도
의 중심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필요한데, 이걸 구심력이라고 합니다. 이것이 바로 원운동하는 물체에 작용하는 알짜힘입니다.문 : 아까 관성력은 가속도운동할 때 나타난다고 했죠. 지구도 계속 자전을 ... ...
2. 실제 실험 뛰어넘는 컴퓨터 시뮬레이션 컴퓨터의 강력한 오른팔 알고리즘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응용수학의 결실이 녹아 있다는데 …. 과연 무엇일까.제2차 세계대전에서 포탄의
궤도
표를 만들기 위해 미국방성은 펜실베이니아대의 모클리와 에커트에게 연구를 의뢰했다. 그 결과, 1946년 에니악이 탄생했다. 이것은 전자식 자동계산기로, 컴퓨터 역사는 여기에서부터 시작된다. 즉 에니악은 ... ...
왜 과학자들은 블랙홀에 빠질까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빛보다 빠른 입자를 찾는다 우후루 이후 선진국들은 앞다투어 X선 망원경을 우주
궤도
에 올리고 있다. 블랙홀의 연구가 단순히 국민의 자존심이나 천문학자들의 호기심을 만족시키는 것이라면 선진국들은 도대체 왜 이런 경쟁을 벌이고 있을까. 그 답은 블랙홀과 같은 천체들이 21세기 기초과학의 ... ...
여름밤에 펼쳐지는 달의 몰락 부분월식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5°가량 어긋나 지구 그림자 속으로 달이 들어오지 못할 때가 많기 때문이다. 두
궤도
면이 일치할 때만 월식이 일어난다. 보통 1년에 두번 가량 보름날에 월식을 볼 수 있다.올해도 지난 1월 10일에 펼쳐진 개기월식에 이어서 오는 7월 5일에 부분월식이 나타난다. 지난 겨울에 일어났던 월식을 추위 ... ...
이전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