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나노"(으)로 총 1,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1. 21세기 기술혁명 꿈꾸는 사람들과학동아 l1995년 10호
- 이미 현실 세계에 뿌리내리고 있는 마이크로 머신이나 아직 공상의 세계에 머물고 있는 나노기술은 인류에게 제2, 제3의 르네상스를 열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눈에 보이지 않는 작은 세계에서 일어나는 변화지만 그 파장은 사회 전 분야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칠 것임이 분명하다 ... ...
- 1. CT·암치료·비파괴검사에 이용과학동아 l1995년 07호
- 그것은 바로 주사바늘을 통해 혈관을 타고 몸속에까지 들어가 작동하는 로봇의 탄생, 즉 나노테크놀러지 세계로의 진입이 가능해졌음을 시사한다.지난해 말 문을 연 포항방사광가속기에서 생성되는 방사광 X선은 또다른 차원에서 X선의 영역을 확대시키고 있다.19세기 말에 탄생한 X선은 1백년이 ... ...
- 1 첨단시설 연구소 버리고 내키지 않는 대학 발걸음과학동아 l1995년 04호
- 왜 투자를 하지않지. 뭐가 문제가 있는 것 아니야"라는 반응을 보이더라는 것이다. 나노테크놀러지는 이미 3-4년 전에 대중과학잡지에서도 많이 다루어진 익숙한 테마이다.과학정책의 책임자들이 미래 기술의 경향을 공부하지 않는다면 심각한 문제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조금 어려운 이야기만 ... ...
- 21C 100대 한국 과학기술과학동아 l1995년 01호
- 상위 10개 과학기술(괄호 안은 국내 실현시기)1. 싱크로트론 방사광을 광원으로 사용해 10나노미터 이하의 패턴이 가공되는 기술이 실용화된다(2005).2. 고온 초전도체를 이용한 SQUID가 개발된다(2005).3. 박막을 이용한 소재 부품제조 및 반도체산업 등에 사용될 수 있는 ${10}^{-12}$ 토르 초고진공 용기 및 ... ...
- 사람의 마음 컴퓨터에 이식한다.과학동아 l1994년 12호
- 마빈 민스키교수는 과학 월간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94년 10월호)에 기고한 글에서 나노기술을 사용하여 뇌를 기계로 대치할 수 있을 것으로 단정하면서, 미래의 기계는 마음의 아이들이 될 것이라고 상상한 모라벡에게 전폭적으로 공감하는 의견을 다음과 같이 개진했다. "로봇이 지구를 물려받을 ... ...
- (4) 의약·산업분야 대변혁 예고과학동아 l1994년 09호
- 이러한 기술을 이용하여 작은 기계(마이크로 머신)를 만드는 연구가 시작됐다. 그러나 나노미터(${10}^{-9}$m)보다도 더 작은 기계를 만들려면 분자를 부품으로 사용하게 된다. 외부로부터의 정보나 자극을 예민하게 알아차리고 응답하며 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에너지를 바꾸는 분자 수준의 기계다 ... ...
- 나쁜것, 좋은것, 혹은 양쪽 모두?과학동아 l1994년 03호
- 것이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안전하기도 하다고 주장했다.'나노피스 마르모라투스'와 '나노피스 브레비스'는 보라색 좁쌀풀의 꽃을 먹어치움으로써 씨가 만들어지는 양을 줄여준다. '힐로비우스 트란스베르비타투스'는 뿌리를 갉아먹는 바구미의 일종이다. '갈레루켈라 칼마리엔시스'와 '갈레루켈라 ... ...
- 1. 생물 속에서만 생명얻는 '불완전 생물'과학동아 l1994년 02호
- 제거할 수 없고 광학현미경으로 볼 수 없다. 그 중에서도 동물 바이러스는 20nm-2백nm(나노m, 1nm은 ${10}^{-9}$m)사이라서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지 않으면 관찰할 수 없다.세포 밖에는 바이러스는 열자외선, 유기용제 및 계면활성제 등의 요인에 의해 불활성이 되나 세포내에 있을 때는 쉽게 제거하기 어렵다 ... ...
- 반도체 레이저 장치로 암 조기치료과학동아 l1994년 01호
- 발생시키는 물질을 정맥주입, 암세포를 모아둔다. 그리고는 환자에 파장 6백64㎚(나노미터), 출력 5백MW의 레이저광을 쪼인다. 그 결과 암 환부에서 활성산소가 발생하여 그것이 암세포를 죽인다.지금까지도 이와 비슷한 광화학요법은 존재했으나 장치가 거대하고 과정도 복잡해 널리 보급되지 ... ...
- 윈도우와의 메모리 속도 전쟁과학동아 l1993년 12호
- 하드 디스크를 측정하는 속도가 보통 밀리세컨드(1천분의 1초)인데 비해 메모리의 속도가 나노세컨드(1백만분의 1초)인 것을 생각해보면 알 수 있다. 따라서 메모리 크기가 작다는 것과 속도가 느리다는 것은 서로 긴밀하게 연결될 수밖에 없다.교체파일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는 뒤로 미루기로 하고 ... ...
이전1371381391401411421431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