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견"(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노벨생리의학상│ 바이러스 사냥꾼들, C형 간염의 범인을 찾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간염 바이러스가 없다고 밝혀진 혈액인데도 침팬지에게 주입하니 간염이 발병하는 것을 발견했어요. A형도 B형도 아니면서 간염을 일으키는 새로운 ‘바이러스X’의 존재를 밝힌 거죠.바이러스X의 유전체*를 밝히면 진단법과 치료제, 백신을 개발할 바탕이 돼요. 마이클 호턴 교수는 미국 제약회사 ... ...
- [한장의 과학] 블랙홀, 별이 스파게티처럼 쭈욱~, 늘어났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중심부에는 태양의 100만 배 질량에 달하는 초대질량 블랙홀이 있어요. 연구팀은 작년에 발견된 ‘AT2019qiz’라는 별이 블랙홀로 흡수된 직후 일어난 과정을 관측하는 데 성공했지요.블랙홀은 강한 중력으로 근처의 물질을 빨아들이는 천체예요. 이때 우리가 발끝부터 블랙홀에 떨어진다고 상상해 ... ...
- 하루에 넌 몇 번 생각하니?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조던 포팽크 박사는 “생각이 얼마나 바뀌는지 알면 앞으로 뇌 분야에서 새로운 발견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어요. 한국뇌연구원 김구태 연구원은 “현대사회에서 많이 나타나는 심리적 장애가 불편한 생각을 통제하지 못하는 등의 이유가 많다”며 생각 연구의 필요성에 대한 견해를 ... ...
- [가상인터뷰] 먹으면 안 돼! 유전자로 후손에게 조언하는 예쁜꼬마선충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마코일린이 만들어지지 않는 예쁜꼬마선충의 경우, 녹농균을 피하는 행동을 보인다는 걸 발견했어. 예쁜꼬마선충의 몸 밖에서 온 유전 물질이 예쁜꼬마선충의 행동을 조절하는 셈이지. 후손들에게는 어떻게 조언을 하는 거야?녹농균의 P11 유전자 조각은 예쁜꼬마선충의 생식 세포에 담긴 채 대를 ... ...
- [기획] 외계 행성의 생명체 지표, 포스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발견됐다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어요. 이어 “그러나 포스핀 발견이 생명체의 발견을 뜻하는 것은 아니므로 금성 탐사선이 생명체의 존재 여부를 직접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할 것”이라고 설명했어요 ... ...
- [쇼킹사이언스] 상어의 이빨과 피부가 없어졌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안토넬로 물라스 박사팀에 전달되어 연구되었지요.연구진이 관찰한 결과, 이번에 발견된 검은입두툽상어는 피부에서 가장 바깥층인 표피층과 그 아래에 있어야 할 진피층 등 피부 구조가 거의 없었어요. 또 상어를 상징하는 날카로운 이빨도 없었지요. 이를 통해 연구진은 이 상어가 건강하지 않은 ... ...
- [특집] 문질문질 꾹꾹, 움직임 속 전기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전기석, 설탕, 석영, 토파즈 등 결정 구조를 가진 물질을 눌렀을 때 전기가 흐르는 현상을 발견했어요. 이를 ‘압전 효과’라고 부르지요. 결정물질은 평상시엔 물질 안에 있는 양전하와 음전하가 서로 평형 상태를 이루며 전기적으로 중성을 띠어요. 하지만 압력을 가하면 결정의 내부 배열이 ... ...
- [기획] 우주 생명체가 발견됐다?! 이제는 금성시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진짜 생명체가 있는 걸까요?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기획] 우주 생명체가 발견됐다?! 이제는 금성시대Part1. [기획] 금성에서 생명체 흔적 발견!Part2. [기획] 외계 행성의 생명체 지표, 포스핀Part3. [기획] 열려라! 금성시대 ★도움김종수(한국천문연구원 전파천문본부 책임연구원), 심채경 ... ...
- [기획] 금성에서 생명체 흔적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연구원이 관측한 밀리미터파 스펙트럼에서 V자 모양으로 움푹 패인 포스핀의 흡수선을 발견했어요. 연구원들은 정확한 확인을 위해 2019년 3월 칠레 북부 아타카마 사막에 전파망원경이 모여 있는 ‘아타카마대형밀리미터집합체(ALMA)’를 사용해 다시 금성을 관측했어요. 그리고 밀리미터파 ... ...
- [이달의 과학사] 인류를 위해 큰 유산을 남기다, 다이너마이트의 발명가 노벨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1901년 12월 10일, 노벨이 세상을 떠나고 5년이 지나서야 수여될 수 있었어요. X선을 발견한 독일의 물리학자 빌헬름 콘라트 뢴트겐 등 총 5명이 첫 노벨상을 받았지요. 현재까지도 노벨상 시상식은 노벨의 기일인 12월 10일에 맞춰 이루어지고 있답니다 ... ...
이전1371381391401411421431441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