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견"(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헬라세포] 위대한 유산을 남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헨리에타 랙스를 죽인 자궁경부암은 인유두종 바이러스가 일으킨 것이었죠. 이 발견으로 하랄트 추어 하우젠은 2008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해요.생물학자들은 헬라세포를 인유두종 바이러스는 물론, 후천성 면역결핍증후군(에이즈)을 일으키는 HIV, 홍역, 지카 등 다양한 바이러스에 ... ...
- [어과동 PICK] 예술이 된 우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촬영한 구성성단인 ‘NGC 1805’예요. 1826년 스코틀랜드의 천문학자 제임스 던럽이 처음 발견한 NGC 1805는 지구에서부터 약 16만 3000광년 떨어진 대마젤란은하의 귀퉁이에 있어요. NGC 1805는 다른 구상성단과 다른 독특한 특징이 있어요. 일반적으로 구상성단의 별들은 동시에 태어나는데, NGC 1805는 ... ...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쉿! 보물 숨길 곳이 필요해? 다이얼 금고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이후에도 꾸준히 사용돼 구리에 니켈 등을 섞은 백동 등 다양한 소재의 자물쇠 유물이 발견됐지요.현대에 들면서 과학기술이 발전해 잠금장치의 형태도 점차 진화하고 있어요. 이제는 우리의 몸이 자물쇠를 풀 열쇠가 되었지요. 정맥, 홍채, 지문, 망막처럼 우리 몸의 특징이나 걸음걸이, 음성 등 ... ...
- [과학뉴스] 자발적으로 춤추는 액체 방울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응용 및 공학과학과(SEAS) 연구팀이 액체 방울의 움직임을 조절하기 위한 연구를 하다 발견한 현상이에요. 지난 8월 19일 연구팀은 이 물방울이 춤추는 원인을 밝히고 ‘스스로 춤추는 액체 방울들’이라는 이름을 붙여줬어요.연구팀은 이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스스로 춤추는 액체 방울 현상을 ... ...
- [이달의 과학사] 샹폴리옹, 고대 이집트 문자 해독!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들려오는 이야기에 따르면 마침내 해독에 성공한 샹폴리옹은 너무 흥분한 나머지 형에게 발견 사실을 알리고 쓰러졌어요. 해독 내용은 1822년 9월 27일 논문으로 발표되었습니다.현재 우리가 아는 고대 이집트에 대한 거의 모든 지식은 샹폴리옹의 성각 문자 해독에서 출발했어요. 명성을 얻은 ... ...
- [탐험대학] 만지고, 깎고, 발표하고! 공룡 연구실 탐방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훨씬 따뜻한 기후였음을 추측할 수 있지요.”박진영 연구원은 “우리나라에서도 화석이 발견되는 지역이 많지만, 연구자가 적어 제대로 된 발굴을 통한 조사가 이루어지기 어려운 실정”이라며 안타까움을 토로했어요. 우리가 자주 접하는 거대한 공룡화석의 경우 몽골 등 해외 발굴을 통해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공룡·소행성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나는 어과동 대표 마스코트 일리! 오늘 밤은 내 친구 공룡과 함께 별구경을 하러 왔어. 그 순간 저 너머로 멋진 별똥별이 떨어지네! “일리님, 저게 소행성인가요?” 어이 ... 발표했죠. 이후 실제로 멕시코에서 소행성의 충돌 증거인 지름 180km의 ‘칙술룹’ 크레이터가 발견되었답니다 ... ...
- [가상인터뷰] 갯가재 핵 펀치의 비결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그 결과, 갯가재 앞발은 부드러운 단백질과 단단한 인산칼슘이 서로 결합하고 있는 걸 발견했지. 그 앞발 구조의 장점이 뭐야?단단한 부분이 내 주먹의 위력을 유지하고 부드러운 부분은 충격을 흡수할 수 있어. 연구팀이 갯가재 앞발에 충격을 가하며 앞발 구조가 어떻게 변하는지 관찰한 결과, ... ...
- [현장취재] 무당개구리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첫 탐사에서 총 20마리의 무당개구리를 채집했고, 두 마리의 무당개구리에서 기형을 발견했습니다. 앞발의 발가락이 서로 붙어있지요. 실제로 이곳의 수질 오염도는 수돗물과 비교해서 매우 높은 수치를 기록했어요. 8월 1일, 두 번째 탐사 장소인 전남 함평군 용천사 부근은 사람이 손길이 잘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땅을 파면 자석이 나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것들만 자성을 띠지요. 이렇게 자성을 띠는 자철석은 대부분 땅 표면에 가까운 곳에서 발견돼요. 지질학자들은 이를 두고 ‘자철석이 번개에 맞아 결정 구조가 변하면서 자성을 띠게 된 것’이라고 추정한답니다. 땅속에 묻혀 있는 자석을 캐 보자!우리도 땅속에 묻혀 있는 자석을 캐 볼까요? 바로 ... ...
이전1391401411421431441451461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