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협회
공학
연구실
대학
학회
사회정책연구소
사회
d라이브러리
"
연구소
"(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초신성, 폭발 순간을 관측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사진에 밝은 빛이 찍힌 것을 발견했어요. 그는 이를 아르헨티나 라플라타 천체물리학
연구소
의 멜리나 베르스텐 연구원에게 알렸지요. 베르스텐 연구원은 부소가 보내 온 사진을 보고, 그가 초신성이 폭발하는 순간을 관측했다는 것을 알아냈어요. 초신성은 태양보다 8배 이상의 질량을 가진 무거운 ... ...
케네스 리벳 미국수학회 회장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증명의 숨은 공신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제대로 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래서 리벳 교수는 약 1년 가까이 UC버클리 수학
연구소
에서 다른 학자들과 토의하며 자신의 증명을 논문으로 작성했다. 이렇게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하는 데 꼭 필요한 문제를 해결한 것이다. 그로부터 7년 뒤 와일스 교수가 남은 부분을 채우면서 페르마의 ... ...
[과학뉴스] 짜잔! 2D 영상이 3D 모션 조각으로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움직임의 궤적을 파악하기 어려웠다.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컴퓨터과학인공지능
연구소
연구팀은 컴퓨터 알고리즘을 이용해 이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프로그램에 영상을 입력하면 영상 속 피사체의 골반이나 무릎, 발목 등의 위치를 2차원 좌표로 변환한 뒤 이 점들을 이어 3D 골격을 만든다. ... ...
[TECH]大화면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줄였다.베젤을 축소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디스플레이다. 이정익 ETRI ICT소재부품
연구소
실감소자연구본부장은 “베젤을 얇게 만들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를 스마트폰 모양에 최대한 딱 맞게 재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때 빛을 발하는 기술이 플렉서블(휘어지는) 디스플레이다. 이 본부장은 ... ...
보석은 알고 있다, 지구의 비밀을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이보다 최대 4배 더 깊은 곳에서 형성된다는 것이다. 이반 스미스 미국 보석감정
연구소
(GIA) 연구원이 이끄는 국제공동연구팀은 2년에 걸쳐 ‘라만분광법’을 이용해 붕소를 함유한 블루 다이아몬드 46개에 들어있는 광물 입자를 분석했다. 연구팀은 블루 다이아몬드에 들어있는 첨정석, 휘석 등 ... ...
'땅 위의 인공태양' 건설 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현재 ITER의 서열 2위인 기술총괄 사무차장으로 있다. KSTAR는 국가핵융합
연구소
가 독자적으로 개발한 세계 최초의 초전도핵융합장치다. 정기정 ITER 한국사업단장은 “처음 우리가 핵융합장치를 개발한다고 했을 때 ‘언제 한국이 핵융합을 연구했냐’며 무시했지만, 지금은 모두가 KSTAR를 ITER의 ... ...
놀이야? 수학이야! 체험으로 배우는 수학,수와북
연구소
수학동아
l
2018년 10호
합니다.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없으니까요!이것은 수와북
연구소
개발자들이 수학 이야기를 담은 수학 동화책을 토대로 만든 게임입니다. 분명 게임을 하는 건데 수학 실력이 느는 것 같다고요? 느낌 탓은 아닐 겁니다 ... ...
[시사기획] 땅이 가라 앉는다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발생한 지하를 탐사하기 위한 탐사 기법도 개발 중이다. 류기정 한국지반공학회 지반공학
연구소
장은 “고주파를 이용한 기존의 지표투과레이더(GPR) 탐사는 3m 이상 지하를 탐사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며 “전기를 이용한 전기비저항 검사나 진동을 이용한 표면파 탐사법 등을 복합적으로 ... ...
[Tech] 5G 둘러싼 3가지 궁금증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서비스를 개발하게 되는데요.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에 따르면 이 표준에는 국내 기업과
연구소
에서 개발한 기술이 상당수 포함됐다고 합니다.통신에서 기술 표준이 중요한 이유는 결국 돈과 관련이 있기 때문입니다. 홍승은 ETRI 미래이동통신연구본부 책임연구원은 “기술 표준과 관련한 특허권을 ... ...
태평양해양과학기지에 가다
과학동아
l
2018년 10호
보도해서일까. 연구단은 출발할 때부터 해양 쓰레기에 관심이 많았다. 송영경 KIOST 남해
연구소
연구원은 학생들이 직접 대형, 미세 플라스틱을 조사하게 했다. 학생들은 체를 들고 모래에서 크기가 1~5mm인 미세 플라스틱을 걸렀다. 깨끗해 보이는 해변에서도 미세 플라스틱 조각이 꽤 검출됐다. 송 ... ...
이전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