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소"(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그로텐디크의 대수학 강의수학동아 l2018년 08호
- 세계적인 명성을 떨치기 시작합니다. 그러나 그로텐디크는 IHÉS는 기초과학 연구소가 군사 연구비 지원을 받는다는 게 본인의 신념과 맞지 않다며 IHÉS를 떠났습니다. 이후 그로텐디크의 세미나 내용은 당시 같이 교수로 있던 장 디외도네의 주도하에 책으로 만들어집니다. 이때 ... ...
- Part 5. 연구자와 대중 모두를 위한 ‘수학의 집’수학동아 l2018년 08호
- 빌라니가 소장으로 있던 푸앵카레연구소는 수학의 대중화에 힘쓰고 있습니다. 푸앵카레연구소는 청소년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만들어 수학에 친밀감을 가질 수 있게 합니다. 예를 들어 ‘씨네 클럽’이라는 프로그램은 과학자가 나오는 영화를 상영하고, 실제 과학자가 연사로 나서 내용을 ... ...
- [Culture] 영화 속 그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생명체를 제조할 수 있는 수준까지 생명공학 기술이 발전했다. 2016년 미국 크레이크벤터연구소(JCVI)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최소한의 유전자로만 구성된 인공세포를 공개했다. ‘JCVI-syn 3.0’이라고 명명된 이 세포는 아데닌(A), 구아닌(G), 티민(T), 시토신(C) 등 네 종류의 염기를 합성해 만든 ... ...
- 매번 다른 수학자와 밥 먹기, 오베르볼파흐 문제수학동아 l2018년 08호
- 때마다 자기 이름이 적힌 냅킨이 어디 있는지 찾느라 한바탕 소동이 벌어지기도 합니다. 연구소 식당에는 원형 테이블이 여러 개 있습니다. 테이블마다 앉을 수 있는 사람 수는 다를 수도 있지요. 천으로 만들어진 냅킨 각각에 방문자 이름표를 붙여놓으면 식사 때 종업원이 냅킨을 아무렇게나 원형 ... ...
- [과학뉴스] 행성 탄생의 순간 포착!과학동아 l2018년 08호
- 그 결과 처음으로 PDS 70b의 생생한 이미지를 포착했다.안드레 뮐러 막스플랑크 천문학연구소 연구원은 “이 발견은 행성 형성의 이론적 모델을 시험할 수 있는 전례 없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 온라인판 7월 12일자에 게재됐다.doi:10.1051/0004 ... ...
- [Culture] 화성에서 살아남기 위한 생존전략 3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돼 보자. ‘갈릴레오’ 팀에는 ‘캔’으로 불리는 로버가 등장한다.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는 현재까지 세 번의 프로젝트를 통해 4대의 로버를 화성에 보냈다. 첫 로버는 ‘화성 패스 파인더(Mars Pathfinder)’ 계획의 일환으로 1997년 화성에 도착한 ‘소저너’다. 소저너는 길이 65cm로 아담하다. 201 ... ...
- [Culture] 20년 만에 다시 태어난 익산 미륵사지 석탑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붕괴 등 복잡한 형상 때문에 2차원 자료만으로는 정확한 조사가 어려웠다. 그래서 연구소에서는 2002~2010년 3차원 형상정보 구축을 위한 3D스캐닝을 진행했다. 또 2014~2017년 석탑을 조립하는 과정에도 3D스캐닝을 활용했다. 3D스캐닝은 대상물에 레이저를 쏜 뒤 돌아오는 시간을 이용해 거리를 ... ...
- [Origin] 물리학의 환상이자 난제, 고온 초전도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약 23.3K였습니다. 여기에 쓰인 화합물은 니오브산게르마늄(Nb3Ge)입니다.스위스 IBM 취리히연구소의 베드노르츠 박사와 뮐러 박사는 완전히 새로운 방향으로 초전도체를 찾기 시작했습니다. 저항이 매우 큰 절연물질에 전자나 양공을 서서히 도핑하는 방법으로 초전도체를 만드는 것이지요. 결국 198 ... ...
- Part 2. ICM 관전 포인트 넷수학동아 l2018년 08호
- 연구를 했는지 발표하게 하지요. 금종해 고등과학원 교수와 허준이 미국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소속 박사도그 자리에 초대받았습니다. 고등과학원 스칼라이기도 한 허 박사가 마침 서울 고등과학원에 와 있다는 정보를 입수한 수학동아는 독자 5인방과 함께 7월 4일 고등과학원을 찾았습니다. ... ...
- Part 1. 신선들이 모이는 곳, IHÉS수학동아 l2018년 08호
- 떠올립니다. 서로 토론하면서 얻게 되는 게 훨씬 많아요.” 엠마누엘 윌모 IHÉS 연구소장의 말을 들으니 학자들이 서로 이곳에 오려는 이유를 알겠습니다. 세계적으로 명성이 높은 곳이니, 각국의 유능한 학자들이 모일 것이고 그들과 토론하면 서로 무궁무진하게 발전할 수 있겠지요. 그래서인지 ... ...
이전1411421431441451461471481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