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론"(으)로 총 4,88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의심스러운 토대 위에 싹트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앞서 이론을 전개하고 응용하는 데 바빴기 때문이다. 좀 더 따지고 들면 두 사람의 이론은 애매한 대목이 너무도 많았다.특히 미분의 가장 기본이 되는, 무한대로 쪼개 아주 작아진 ‘무한소’라는 개념에 대해서는 그 누구도 만족스러운 답을 내놓지 못했다. 라이프니츠는 “dy/dx 를 구하기 위해서는 ... ...
- HFT, 인간을 주식시장에서 쫓아내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앤드류 루 교수는 오히려 컴퓨터가 이런 실수를 적게 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복잡계이론으로 90년대 주식시장과 2000년대를 비교한 결과 지금이 훨씬 관계가 복잡해졌고, 이렇게 복잡한 시장에서는 컴퓨터 알고리듬이 훨씬 낮은 확률로 실수를 한다는 것이다. 그의 말처럼 어쩌면 이제 인간이 ... ...
- [참여] 게임카페 1기, 두 번째 수업 오늘은 나도 컴퓨터 게임 개발자!수학동아 l2015년 09호
- 달리 게임을 직접 만들어 보고, 필요한 이론은 그때그때 배우기로 한 것이지요. 모두 이론에 대한 부담을 떨쳐버리고 게임 개발 프로그램을 실행했어요.코딩만큼 중요한 재미난 스토리이날 사용할 개발 프로그램은 ‘게임 샐러드’였어요. 이 프로그램이라면 프로그래밍 언어를 잘 몰라도 게임을 ... ...
- Part 2. 현대수학은 ‘편미방’을 모른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이보다 더 어렵다는 건 자명합니다. 나비어-스톡스 방정식을 풀려면 현대수학 이론이 지금보다 훨씬 발달해야 합니다.”최근 100년은 편미분방정식의 해의 존재 여부를 검증하는 역사였다. 2015년을 살아가는 우리는, 이제 막 형태를 갖춘 편미분방정식의 역사를 관통하는 산 증인인 셈이다. 그러니 ... ...
- [수학뉴스] 토성 고리의 수수께끼를 풀다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약 1/27 만큼 있습니다. 즉, Nm짜리 얼음 알갱이는 약 1m짜리 보다 1/N³만큼 적은 셈이지요. 이론상 약 10m보다 큰 얼음 알갱이는 없다고 합니다.연구팀은 “앞으로 토성처럼 띠를 두르고 있는 행성인 천왕성이나 해왕성도 이 법칙을 따르는지 연구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지난 8월 ... ...
- [수학뉴스] 수학으로 산업 문제 해결하는 헌터가 떴다!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지난 8월 17일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는 ‘산업수학 문제헌터 발대식’이 열렸습니다. 산업수학 문제헌터란 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 가운데 수학으로 해결할 수 ... 애니메이션 ‘겨울왕국’에서 눈보라가 실제처럼 휘날리는 장면도 수학에서 등위집합 이론을 활용한 덕분이랍니다 ... ...
- [지식] 접기+자르기+수학=무한한 가능성!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수학을 적극 활용해 오리가미 활동을 하는 전문 작가다. 그는 수학의 한 분야인 그래프 이론을 적극 활용해 ‘크리스 패턴’이라는 전개도를 만든다. 칼이나 풀 없이 종이 한 장으로 작품을 만드는 데 꼭 필요한 전개도다.수학자들은 여기에 ‘한 번만 자르기’와 같은 조건을 붙여 유희 수학 분야에 ... ...
- 수학으로 밝혀낸 걸음걸이의 비밀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않고 일정한 박자에 맞춰 걷도록 명령을 내린다. 어떤 순서로 발을 내딛게 하느냐에 따라 이론상 걸음걸이 패턴이 수십~수백 개씩 나올 수 있다.연구팀은 다리가 똑같이 네 개더라도 동물에 따라 걸음걸이 패턴이 다르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말의 걷는 모습을 관찰했다. 일정한 시간차에 따라 왼쪽 ... ...
- PART 2 학문을 품은 브릭수학동아 l2015년 08호
- 해야 한다”라고 조언했다.2000년 전 컴퓨터, 브릭으로 재현 가능할까?챙 교수처럼 브릭의 이론적인 장점을 연구하는 수학자도 있지만, 브릭으로 직접 원하는 장치를 만들어 연구에 활용하는 과학자도 있다. 지난 2010년 12월, 미국 애플사 소속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앤드류 캐롤은 브릭으로 고대 ... ...
- [지식] 진단, 나 너 믿어도 돼?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날 갑상선 질환 환자의 30%는 불면증에 걸린다는 사실이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베이즈 이론을 써서 계산한 결과, 불면증 때문에 병원을 찾은 환자가 실제로 갑상선 질환에 걸렸을 확률은 15%다. 불면증과 갑상선 질환의 관계가 밝혀지니 갑상선 질환을 진단할 확률이 5%에서 15%로 늘어난 것이다. ... ...
이전1371381391401411421431441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