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론"(으)로 총 4,885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이 불러온 생물학 혁명수학동아 l2015년 07호
- 오히려 여러 종의 플랑크톤이 같은 틈새 시장에서도 공존할 수 있는 것이죠. 바로 카오스 이론입니다. 마치 교실의 책상 수보다 더 많은 수의 학생들이 책상에 앉아 수업을 들을 수 있는 것과 같죠.많은 사람들에게 수학을 알리려는 이유가 무엇인가요?대중은 수학을 오해하고 있습니다. 수학을 ... ...
- 시계 또는 반시계? 노인 또는 젊은 여인? 아리까리한 그림의 비밀수학동아 l2015년 07호
- 모래더미가 어느 순간 와르르 무너지는 현상과 같다. 수학자들은 카타스트로피 이론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세상이 W자 모양의 롤러코스터 궤도처럼 생긴 곡선이라고 가정했다. 그리고 사물이나 현상이 이 궤도에 놓인 둥근 공이라고 가정했다. 공은 둥글기 때문에 A나 C, F에 놓으면 좀 더 안정적인 ... ...
- PART 2 두 번의 암흑기와 세번째 봄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수준을 넘어 기호를 조합해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 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인공지능의 이론적 토대는 이렇게 만들어졌다.본격적인 인공지능 연구는 영국의 수학자 앨런 튜링이 열었다. 1936년에 튜링은 긴 테이프에 쓰여 있는 여러 기호를 일정한 규칙에 따라 바꾸는, 즉 하나의 알고리듬을 수행할 수 ... ...
- PART 4 의도는 없다, 그러나 인간을 위협한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갖고 있다. 미국의 인공지능학자 스티브 오모훈드로는 지난해 4월 10일 학술지 ‘실험 및 이론 인공지능’에 발표한 논문에서 “현대 사회는 군사적, 경제적 압력으로 인간이 개입하지 않아도 빠르게 반응할 수 있는 자율 시스템을 끝없이 요구한다. 이런 시스템은 사이버 범죄를 통해 자원을 ... ...
- 한옥에 살어리랏다수학동아 l2015년 06호
- 아파트처럼 효율적인 집을 만들 수 있을까?서울대 건축학과의 최재필 교수팀은 그래프이론을 바탕으로 한옥과 아파트의 평면 구조를 비교했다. 먼저 서울의 아파트와 한옥 평면을 각각 200개씩 뽑았다. 그리고 각 평면의 공간 구조를 그래프로 나타냈다. 침실, 화장실, 부엌, 거실 등을 꼭짓점으로 ... ...
- [생활] 똑똑한 만능 실험가, 계산화학수학동아 l2015년 06호
- SW로 가상 실험을 해 보는 것은 학생들의 창의력을 자극하는 좋은 방법”이라고 말했다. 이론과 실험, 그리고 SW계산화학 SW는 체계적인 원리를 다루는 이론, 자연현상을 직접 관찰하는 실험과 함께 화학 탐구의 중심을 이루는 하나의 축이 됐다. 조은성 고려대 생명정보공학과 교수는 “계산화학이 ... ...
- [생활] 22년 만에 다시 펼쳐진 공룡 세상 쥬라기 월드수학동아 l2015년 06호
- 때문이다. 사소한 변화가 증폭해 전혀 예상치 못한 크나큰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이론이다. 한쪽에서 나비가 날갯짓을 하면 이로 인해 다른 한쪽에서는 태풍이 생길 수도 있다는 것이다. 여러 가지 유전자를 섞어 새로운 생명체를 탄생시키는 일도 이와 마찬가지로 계산기에 숫자와 기호를 넣어 ... ...
- 우리 몸 속에는 ‘녹색갈증’이 있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사장님은 왜 굳이 젊은 직원들을 전부 이끌고 산에 오르려는 걸까. 이는 생애사 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 평균적인 수렵채집 사회에서 남성은 약 20대 초반이 되면 필요한 에너지를 스스로 얻을 수 있을 정도로 성장한다. 쉽게 말해, 밥값은 한다. 그러나 집단생활을 하는 인류에겐 제 밥값만 하는 ... ...
- “미래의 모든 산업을 이끌어갈 기초과학”과학동아 l2015년 06호
- 기분은 아직도 잊지 못합니다.“배움의 권리를 즐겨라”대학에서 배우는 내용이 너무 이론 중심이라고 느낄 수도 있지만, 현장에 나가보면 생각보다 큰 도움이 돼요. 저처럼 박사 과정까지 마친 사람들도 전공 분야가 아니면 학사 때 배웠던 내용이 전부거든요. 그래서 학사과정 때 기초적인 공부를 ... ...
- 논문 한 편의 저자가 1014명?과학동아 l2015년 06호
- 1014명인 초파리 유전체 분석 논문이 실렸다. 입자 가속기와 같은 거대 장비를 사용하는 이론 물리학 분야에서는 종종 발생하는 일이지만, 생물학 분야에서는 인간 게놈 연구와 같은 범국가적인 연구 프로젝트가 아닌 한 매우 드문 일이다.저자 1014명 중에는 대학원에 진학하지 않은 학부 학생이 900명 ... ...
이전1401411421431441451461471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