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론"(으)로 총 4,88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두 번의 암흑기와 세번째 봄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수준을 넘어 기호를 조합해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 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인공지능의 이론적 토대는 이렇게 만들어졌다.본격적인 인공지능 연구는 영국의 수학자 앨런 튜링이 열었다. 1936년에 튜링은 긴 테이프에 쓰여 있는 여러 기호를 일정한 규칙에 따라 바꾸는, 즉 하나의 알고리듬을 수행할 수 ... ...
- PART 4 의도는 없다, 그러나 인간을 위협한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갖고 있다. 미국의 인공지능학자 스티브 오모훈드로는 지난해 4월 10일 학술지 ‘실험 및 이론 인공지능’에 발표한 논문에서 “현대 사회는 군사적, 경제적 압력으로 인간이 개입하지 않아도 빠르게 반응할 수 있는 자율 시스템을 끝없이 요구한다. 이런 시스템은 사이버 범죄를 통해 자원을 ... ...
- Part 2. 의료인류학으로 본 MERS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과연 메르스 집단 발병을 낙타의 탓으로 돌려도 되는 걸까. 가축과 인간의 병원균 평형이론 메르스 바이러스(MERS-CoV)는 코로나바이러스과에 속하는 바이러스의 일종이다. 표면의 돌기가 마치 태양의 코로나(태양을 둘러싸고 빛나는 플라스마 대기)와 비슷하다고 해서 붙었다. ... ...
- 평면적이지 않은 평면이야기수학동아 l2015년 07호
- 파블로 피카소에요. 은 미술의 상대성이론이라고 할만해요. 상대성이론이 유클리드 공간에 가려져 있던 우주의 진짜 모습을 보여준 것처럼, 은 원근법으로는 보이지 않던 세상의 진짜 모습을 밝혀줬어요. 세상은 하나가 아니다이제까지 원근법이 있는 그대로의 ... ...
- 논문 한 편의 저자가 1014명?과학동아 l2015년 06호
- 1014명인 초파리 유전체 분석 논문이 실렸다. 입자 가속기와 같은 거대 장비를 사용하는 이론 물리학 분야에서는 종종 발생하는 일이지만, 생물학 분야에서는 인간 게놈 연구와 같은 범국가적인 연구 프로젝트가 아닌 한 매우 드문 일이다.저자 1014명 중에는 대학원에 진학하지 않은 학부 학생이 900명 ... ...
- [Knowledge] 전쟁의 포성 속에서 우주의 비밀에 접근하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있다. 공저로 등이 있고, 역서로 등이 있다. ※ 독자이벤트는 종료되었습니다 ... ...
- 1 kg짜리 공이 무려 10억 원!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의 이광철 책임연구원은 "1980년대 들어 플랑크 상수 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이론이 나왔는데, 질량이 플랑크 상수에 비례한다는 점을 이용하면 kg 원기를 대체하는 새로운 기준을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런 데 꼭 기준을 바꿔야 할까. 120년에 기껏 50마이크로 그램 차이 아닌가. 보통 사람들은 ... ...
- [2015 과학동아 사이언스 바캉스] 7월25일 과학자와 함께하는 지적인 휴가!과학동아 l2015년 06호
- 7월 주말 하루 동안 다채로운 과학 강연을 선사하는 행사입니다. 현대물리학과 일반상대성이론, 첨단기술의 최전선을 최고의 전문가와 함께 만날 수 있습니다. 서울대 공대 교수와 함께 하는 전공 탐색과 다양한 과학 문화 행사도 열립니다 ... ...
- 우리 몸 속에는 ‘녹색갈증’이 있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사장님은 왜 굳이 젊은 직원들을 전부 이끌고 산에 오르려는 걸까. 이는 생애사 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 평균적인 수렵채집 사회에서 남성은 약 20대 초반이 되면 필요한 에너지를 스스로 얻을 수 있을 정도로 성장한다. 쉽게 말해, 밥값은 한다. 그러나 집단생활을 하는 인류에겐 제 밥값만 하는 ... ...
- 상수의 탄생 ⑤ 난세가 만든 영웅, 플랑크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당시만 해도 통계 역학은 의심의 눈초리를 받는 이론이었다. 맞는지 틀 린지도 모르는 이론으로 논쟁적인 문제를 설명한다 는 건 쉬운 선택이 아니었다. 하지만 모든 영웅이 그렇 듯, 플랑크는 용감했다. 플랑크는 빛의 에너지를 진동 수의 정수배로 나타냈다. 이 때 진동수를 에너지로 바 꿔줄 ... ...
이전1401411421431441451461471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