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복
2배
두배크기
배가
d라이브러리
"
이중
"(으)로 총 1,762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전공학의 종착역 단백질공학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했다. 특히 1953년 왓슨(Watson)과 크릭(crick)이 유전물질인 DNA의
이중
나선 구조를 밝힌 이래 코른베르크(Kornberg)의 DNA복제효소 발견, 니렌베르크(Nirenberg)와 코라나(Khorana)의 유전암호 해독, 스미스(Smith)의 제한효소 발견 등 굵직굵직한 연구업적을 토대로 성립된 유전자 ... ...
비운의 물리학자 이휘소의 삶과 죽음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석사과정을 마쳤고 60년 12월 펜실베이니어 대학에서 'K이온 중간자와 핵자현상의
이중
분산 표시에 의한 분석'이란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유학시절 줄곧 A학점을 받아 수석을 뺏기지 않았는데 59년 8월에 치른 박사 학위시험에서는 전체 평균 93점을 받아 차석의 71점을 무려 22점이나 ... ...
「돌연사」급증 8명중 1명 꼴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가족에게 호소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조사를 실시한 대상은 10개 현(縣)에서 6천5백명.
이중
에서 발병 후 1주일 내에 사망한 경우가 7백97명으로 12.2%를 차지하고 있다. 남녀별로는 남자가 5백89명, 여자2백9명으로 약3대1의 비율이다.사인을 살펴보면 원인이 비교적 불분명한 심부전증 등 심장질환이 ... ...
초여름 구상성단을 산책해보자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안에서 어두운 몇 개의 별들을 추가로 보여준다.NGC 6517은 3등성인 뉴(ν)이성과 5등급의
이중
성 타우(τ)성 가운데 있다. 10등급 에 4.3'크기인 이 천체는 작고 어두우나 밀집된 모습을 보인다. 이곳의 별들은 한 무리로 집중돼 있기때문에 분해해 볼 기회가 거의 없다.NGC 6426은 뱀주인자리 북동쪽 β성 ... ...
100번 죽이고 101번 고쳐 살고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원생식물(박테리아 방선균 진균 등) 원생동물 스피로헤타 리켓치아 바이러스 등이다.
이중
에서 박테리아는 단세포식물의 대표적인 것으로 병원성 미생물의 대부분이 여기에 속한다.알다시피 박테리아는 그람(Gram) 염색법에 의해 염색되느냐 염색되지 않느냐에 따라 그람양성(+)군과 그람음성(- ... ...
해양계 탄소순환의 연결고리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이는 19세기 이후 인류가 화석연료를 통해 생산해낸 탄소량과 비슷한 분량이다. 바다가
이중
얼마를 흡수했는지는 아직 알수 없다.플랑크톤은 해양계 탄소순환의 중요한 연결고리 역할을 한다. 아직 완전한 메커니즘이나 그 역할이 주역인지 조연인지가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 ...
석기시대 목동들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것도 있다. 이러한 경우의 별을 따로 광학적
이중
성(혹은 안시
이중
성)이라고 부른다.
이중
성 중에서 밝은 쪽 별이 주성, 어두운 쪽이 반성(동반성)이다. 동반성이 두 개 이상인 별은 삼중성, 사중성 으로 부른다. 별의 나이별은 수소를 헬륨으로 전환시키는 핵융합 반응(수소폭탄의 원리)을 통해 ... ...
물 오염의 복병 중금속 화학물질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한 곳은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화학물질은 5백만종이 넘고
이중
에서 약 8만종이 상업적으로 생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산업폐수중에 포함되어 환경으로 배출되는 화학물질의 종류는 수없이 많고 우리는 이와같이 많은 화학물질에 노출되어 있는 것이다. ... ...
혈액제제의 작용과 부작용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성분화하면 적혈구가 1백50cc, 혈장이 1백65cc, 백혈구 혈소판 침전물이 5cc 정도 얻어진다.
이중
대부분의 수혈환자에게 필요한 것은 1백50cc의 적혈구다.그런데 전혈상태의 혈액은 별 처리를 해도 21일 이상 보존할 수 없다. 혈소판과 백혈구는 72시간, 적혈구도 21일을 넘기지 못한다. 그러나 혈액을 ... ...
어떤 망원경을 선택하나?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이상과 같이 망원경은 각기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해 달 행성과 근접한
이중
성 등을 높은 배율로 선명하게 분해해 보려면 장초점의 반사나 굴절(f/6~f/12)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희미한 혜성 성단 은하들과 성운 등은 일반적으로 낮은 배율과 넓은 시야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해상력이 ... ...
이전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