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중"(으)로 총 1,762건 검색되었습니다.
- 혈액제제의 작용과 부작용과학동아 l1991년 05호
- 성분화하면 적혈구가 1백50cc, 혈장이 1백65cc, 백혈구 혈소판 침전물이 5cc 정도 얻어진다. 이중 대부분의 수혈환자에게 필요한 것은 1백50cc의 적혈구다.그런데 전혈상태의 혈액은 별 처리를 해도 21일 이상 보존할 수 없다. 혈소판과 백혈구는 72시간, 적혈구도 21일을 넘기지 못한다. 그러나 혈액을 ... ...
- 벗겨지는 태양계의 신비④ 태양이 되려다 좌절한 목성(Jupiter)과학동아 l1991년 04호
- 스스로 빛을 내는 하나의 항성이 되었을 것이다. 그렇게 되면 태양도 대부분의 별과 같이 이중성(二重性)이 되었을 것이고, 지구에서는 두개의 태양이 번갈아 뜨고졌을 것이다.목성과 같은 행성을 지구형행성에 대응하는 용어로 목성형 행성이라고 한다. 이러한 행성에는 목성을 비롯해서 토성 ... ...
- 4월의 밤하늘 꼬리가 긴 두마리의 곰과학동아 l1991년 04호
- 6천℃이고 태양보다 6배 정도 무거운 초거성이다. 또 북극성은 9등급의 동반성을 지닌 이중성이며 4일을 주기로 1.92등급에서 2.02등급으로 밝기가 변하는 케페이드형 변광성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 변화는 너무 미묘해서 맨 눈으로 거의 느낄 수 없다.북극성은 그 특이한 위치때문에 여러가지 이름을 ... ...
- 3 매킨토시 제품의 계보 애플신화는 재현되고 있는가?과학동아 l1991년 04호
- 셈이다.화려한 매킨토시 군단 현재까지 애플이 발표한 매킨토시 기종은 모두 15종류다. 이중 초기 3개 모델은 국내에 소개되지 않았다. 1984년 1월에 선보인 매킨토시 최초의 기종인 '매킨토시 128K', 같은해 9월에 발표된 '매킨토시 '512K', 그리고 86년 4월의 '매킨토시 512K Enhanced'가 바로 그것이다. 이들 ... ...
- 빛의 굴절과학동아 l1991년 04호
- 하나를 둔 듯한 이중 준성을 보게 될는지도 모른다.지난 1979년 3월9일엔 서로 꼭 붙은 이중 준성이 발견됐다. 뿐만아니라 그들의 스펙트럼은 꼭 같아서 초점을 맞추는 효과에 의해 약간 일그러지긴 했지만 하나의 준성을 보고 있다고 자연스럽게 가정하도록 만들었다. 사실인즉, 정밀 관측결과에 ... ...
- 외계에서 날아온 반중력 우주선?과학동아 l1991년 04호
- 정신적 혼란과 이에 수반된 광기를 지적하며 몇가지 대표적인 징후를 예로 들고 있다. 이중에는 다음과 같은 대목이 있다."거의 1년이상에 걸쳐서 비행접시의 출현이 보도되고 있다. 어떤 사람들은 그것은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하고, 어떤 사람들은 그것은 실제로 존재하는 것이지만 미국 ... ...
- 쌍안경활용법 봄철의 은하여행과학동아 l1991년 04호
- M95 M96 그리고 M105가 포함된다. 이 은하군들은 더 큰 구경의 쌍안경으로만 관측할 수 있고, 이중 M96만이 10×50 쌍안경에게 작고 흐릿한 모습을 보여준다.지금까지 봄하늘의 은하군들을 살펴보았다. 만약 우리가 봄철하늘에서 특별한 장소를 향하면 소위 은하단이라 불리는, 은하들이 가장 밀집된 ... ...
- 2 매킨토시의 응용분야 탁상출판과 멀티미디어 개념 창조과학동아 l1991년 04호
- 최근 신문 지상에 자주 등장하는 멀티미디어분야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중 디렉터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음향 입출력 장치나 오디오 및 비디오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원한다면 출력을 비디오로 나타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멀티미디어란 음성 사운드 그래픽 애니메이션 ... ...
- 에너지 위기의 대안 솔라카과학동아 l1991년 03호
- 납배터리 철-니켈 알칼리전지 니켈-아연전지 아연-염소전지 나트륨-황전지 등인데 이중 납배터리의 에너지밀도가 가장 낮고(40Wh/㎏), 나트륨-황전지의 에너지밀도가 제일 높다(2백 Wh/㎏).한국동력자원연구소의 최병호연구원(태양에너지연구부)은 "최근 태양전지의 가격이 많이 떨어져(Wp 당 5~6달러 ... ...
- 「냉동동물」이 살아있다?과학동아 l1991년 03호
- 있다.육지에서 사는 곤충들 중 수백종은 동면을 하면서 오랜 시간을 몸이 언채로 보낸다. 이중에서 '히트리가'라고 불리는 모충(毛蟲)은 영하 50℃이하에서 10개월도 넘는 기간을 몸이 꽁꽁 얼은 상태에서 보낸다. 날씨가 풀리면 모든 생체기능을 회복하는 것은 물론이다.곤충 외에도 양서류와 파충류 ... ...
이전1381391401411421431441451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