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오른쪽"(으)로 총 2,739건 검색되었습니다.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조 힌 치오,염색체와 매카시즘2019.06.06
- 치오의 공이다. 1956년 코펜하겐에서 열린 국제인간유전학회에서 발표 중인 치오. (오른쪽) 알버트 레반. Victor McKusick(cc)/University of Lund 식민지 출신으로 유럽의 여러 나라를 오가며 살아야 했던 치오의 평범하지 않은 여정이, 염색체 숫자 48에 도전하게 만들었는지 모른다. 치오는 분명 자신의 ... ...
- 식약처장 "인보사 사태로 국민께 죄송…코오롱과 보상 협의"연합뉴스 l2019.06.05
- 등록 후 6개월 내 검진하고 10년간 매년 관리 필요 이의경 식품의약품안전처장(오른쪽)이 5일 오전 양천구 서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골관절염 유전자치료제 '인보사케이주'(인보사) 투여 환자 안전관리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이의경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5일 의약품 성분이 뒤바뀐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체이면서 동시에 초유체인 물질은 정말 존재할까2019.06.04
- 격자에 해당)이 결맞음 행동을 보여 초유체(보스-아인슈타인 응축)임을 나타낸 그림이다. 오른쪽은 방울 사이에 결맞음이 없는 평범한 고체 상태다. 하늘색은 원자의 밀도가 낮은 영역이고 빨간색이 짙어질수록 밀도가 높다. 네이처 제공 1957년 미국의 이론물리학자 유진 그로스는 고체이면서 동시에 ... ...
- 염색체가 ‘스토커 단백질’ 만나면 암 걸린다동아사이언스 l2019.06.03
- 유전체 항상성 연구단 연구위원(윗줄 왼쪽 세 번째), 김하진 UNIST 생명과학과 교수(윗줄 오른쪽 두 번째)가 보인다. 사진제공 IBS ‘염색체’는 생명체의 핵 안에 유전물질인 DNA가 보관된 구조 중 하나로, 이를 복제하는 과정은 생명의 필수 과정이다. 간혹 이 과정에서 오류가 생기면 돌연변이가 ... ...
- 과학으로 해석한 공포 영화 속 몬스터들어린이과학동아 l2019.06.01
- 된 돼지의 뇌를 분리해 해마 부위를 형광물질을 이용해 관츨했다. 왼쪽은 보통의 뇌고, 오른쪽은 미국 예일대 연구팀이 '브레인엑스' 기술로 액체를 주입해 일부 뇌세포의 기능을 회복시킨 사진이다. 신경세포(녹색) 및 성상교세포(붉은색), 세포핵(파란색. 세포 파괴의 증거)의 분포 차이가 확연하다. ... ...
- 한층 용량 커진 슈퍼커패시터 달고 전기차 달린다동아사이언스 l2019.05.30
- 교수(왼쪽)과 함께 연구에 참여한 이정현 연구원(오른쪽)의 모습이다. 한양대 제공 전기차의 시동, 급정거, 급가속과 같은 고출력에너지 방출과 저장에 사용되는 '슈퍼커패시터'의 용량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개발됐다. 이외에도 안정적이며 공정이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어 향후 슈퍼커패시터의 대량 ... ...
- 아시아 암유전체 데이터 모두 한국에 모인다동아사이언스 l2019.05.30
- 왼쪽 두번째부터 오른쪽으로)김선 서울대 교수, 염민선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슈퍼컴퓨팅응용센터장, 이은숙 국립암센터 원장이 28일 영국 글래스고대에서 열린 제2회 국제암유전체컨소시엄(ICGC)-암유전체연구가속(ARGO) 워크숍에서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있다. KISTI 제공 한국이 아시아 ... ...
- 10년 잠잠하던 백두산, 다시 지진활동 고개…北 과학계"면밀히 감시中"2019.05.30
- 받는 제임스 해먼드 교수(왼쪽)의 모습이다. 리처드 캣로 영국 왕립학회 부회장(오른쪽)도 함께 행사에 참여했다. IBS 제공 2002년부터 2005년까지 3000여 회 이상 일어난 백두산 주변 지진이 갑자기 줄어든 이유가 불분명해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지하의 압력 변화 등 다양한 가설이 나오는 가운데 북한 ... ...
- 이재욱·전병곤 서울대 교수, 시스템 분야 최고학회 '유제닉스'에 논문 3편 게재동아사이언스 l2019.05.30
- 공대는 이재욱(왼쪽) 교수와 전병공(오른쪽). 교수 연구팀이 시스템 분야 학회 중 하나인 유제닉스 연례기술회의에 각각 2편과 1편의 논문을 게재했다고 30일 밝혔다. 서울대 제공 이재욱·전병곤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유제닉스 연례기술회의(USENIX ATC) 2019'에 3편의 논문을 게재했다 ... ...
- 보행자 교통사고·전력부족 해결할 첨단기술 제주에 도입된다동아사이언스 l2019.05.29
- 한승헌 원장(오른쪽)과 제주연구원 김동전 원장(왼쪽)이 5월 29일(수) 제주연구원에서 합의각서를 체결했다. 건설연 제공 발광다이오드(LED)를 통해 차량 운전자에게 보행자의 유무를 알려주는 보행자 횡단보도 사고 방지 시스템이 제주에 적용된다. 이외에도 전력 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기존 ... ...
이전1371381391401411421431441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