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오른쪽"(으)로 총 2,739건 검색되었습니다.
-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에 장석복 KAIST 교수·김기남 삼성전자 부회장동아사이언스 l2019.07.02
- 년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자로 장석복(왼쪽) KAIST 화학과 교수와 함께 김기남(오른쪽) 삼성전자 부회장도 선정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국내 화학 분야 최고 권위자인 장석복 KAIST 화학과 특훈교수(기초과학연구원 분자활성 촉매반응 연구단장)시스템 반도체 제조공정 개발에 힘쓴 ... ...
- 2차전지 에너지 밀도 높일 실마리 찾았다동아사이언스 l2019.07.01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에너지공학전공 교수(가운데)와 송지훈 석박사통합과정생(오른쪽), 박주남 박사과정생은 2차전지를 구성하는 입자의 전기화학적 모델을 개발했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제공 2차전지를 구성하는 입자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입체적으로 관찰하는 모델이 개발됐다. 모델을 ... ...
- 짜증 유발하는 게임 속 ‘래그’ 극복할 기술 나왔다동아사이언스 l2019.07.01
- 높이기 위해 게임의 장애물을 어떻게 바꾸면 되는지 연구했다. 연구팀은 새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통통 튀면서 위아래에 길게 튀어나와 있는 기둥을 피하는 ‘플래피 버드’라는 게임을 대상으로 실험을 했다. 지연 현상이 일어나면 새가 기둥을 피할 타이밍을 잡지 못해 성공률이 떨어진다. ... ...
- 자연에 없는 '마법의 물질’을 설계한다동아사이언스 l2019.06.28
- 위에서 ‘찍어서’ 원하는 부위에 옮기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말했다. 원세정 박사(오른쪽)와 정현준 박사가 마이크로LED를 전사하는 장비를 운영하며 마이크로LED를 확대해 보고 있다. 메타물질은 다양한 곳에 생각하지 못했던 효용을 창출하고 있다. 사진제공 홍덕선 작가 가장 어려운 부분은 ... ...
- ‘지질학 타임캡슐’ 제주 오름 분석해 한라산 탄생 비밀 밝힌다동아사이언스 l2019.06.28
- 책임연구원이 논고악 분화구 중심에서 시추한 토양에서 시료를 채취하고 있다. 오른쪽 사진은 시추장비. 서귀포=고재원 동아사이언스 기자 jawon1212@donga.com 24일 오후 제주 서귀포 논고악 오름(작은 화산체)에서는 귀가 먹먹할 정도의 굉음이 들렸다. 한라산 등산로의 입구인 성판악 부근에 있는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킬로그램, 130년 만의 전진2019.06.27
- 상태에서의 헬륨네온 레이저 파장을 이용해 1미터 표준원기를 만들어 사용하고 있다. (오른쪽) 조선시대 말, 프랑스 국제도량형국(BIPM)으로부터 도입한 1m 원기. 백금과 이리듐의 합금이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제공 국제킬로그램원기(International Prototype Kilogram, IPK)라 부르는 이 금속덩어리는 90%의 ... ...
- 탄소나노튜브 이용해 리튬 금속배터리 안정성 높이는 기술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9.06.27
- 기술을 개발했다. 조석규(왼쪽) UNIST 박사과정생, 정관영(가운데) UNIST 연구원, 이지윤(오른쪽) UNIST 연구원도 함께 연구에 참여했다. UNIST 제공 국내연구팀이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해 ‘리튬 금속 배터리’의 안정성을 높이는 기술을 개발했다. 리튬 금속 배터리는 리튬 이온 배터리에 비해 약 10배 큰 ... ...
- 동남권원자력의학원, NK세포 대량증식 기술 30억원에 이전동아사이언스 l2019.06.25
- 동남권원자력의학원 원장(오른쪽)과 김지영 메딕바이오엔케이 대표가 19일 부산 기장군 동남권원자력의학원에서 기술이전 협약을 체결하고 있다. 동남권원자력의학원 제공 동남권원자력의학원이 개발한 암을 잡아먹는 세포를 대량생산하는 기술이 기업으로 이전됐다. 올해부터 췌장암 환자를 ... ...
- 세포 신호 전달자 ‘일산화질소’ 조절법 규명동아사이언스 l2019.06.25
- DGIST 신물질과학전공 교수(앞줄 왼쪽), 서대하 교수(앞줄 오른쪽)와 연구진. DG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세포 활성신호를 조절하는 일산화질소를 전달하는 새로운 물질을 합성하고 세포 활성과 관련된 일산화질소를 조절하는 법을 찾아냈다. 향후 세포 조절을 통한 심혈관 질환 치료제 개발에 도움을 ... ...
- 원숭이도 사용하는 도구 ‘유행’ 있다동아사이언스 l2019.06.25
- 차례로 캐슈넛을 갈아 먹는 오늘날의 석기, 257년 전의 석기 망치(가운데)와 모루(오른쪽). 아래 셋은 가장 오래 전인 약 3000년 전까지 사용하던 석기. 작은 씨앗 등을 때려 가공해 곳곳에 흔적이 남아 있다. 모든 석기는 대략 어른 주먹 반보다 작은 크기다. 사진제공 네이처 생태진화 남미 지역에 사는 ... ...
이전1331341351361371381391401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