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오른쪽"(으)로 총 2,739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게시판] 2019 KIMM 과학꿈나무 기계제작대회 外동아사이언스 l2019.07.23
- 한국전기연구원(KERI) 안전보안실 안전보건담당(왼쪽)이 최규하 원장(오른쪽)으로부터 이달의 KERI인상을 받고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한국전기연구원 제공 ■한국기계연구원은 ‘2019 KIMM 과학꿈나무 기계제작대회’를 개최한다고 23일 밝혔다. 삶의 문제를 해결할 미래 기계과학자를 발굴하기 위한 ... ...
- 열대 바다 차가워지면 남극 작은 동물도 생존전략 바꾼다동아사이언스 l2019.07.23
- 남극 고기압이 강했던 2010년(왼쪽)과 라니냐현상과 남극 저기압이 강했던 2013년(오른쪽) 동물플랑크톤의 수직이동 변화를 비교했다. 극제연구소 제공 연구팀은 남극해의 동물 플랑크톤이 수직으로 이동하는 이런 행동이 바다 속 이산화탄소 농도를 조절하는 생물 ‘펌프’로 작용할 수 있다고 보고, ... ...
- 광학·제약에서 사용되는 '뾰족한 금 나노입자' 제어 원리 첫 규명 동아사이언스 l2019.07.22
- 성장 메커니즘, 운동학적 특성, 형태학적 변화를 밝혀냈다고 22일 밝혔다. 정완길(오른쪽) GIST 신소재공학부 박사과정생도 제1저자로 연구에 참여했다. GIST 제공 국내 연구팀이 생물학 센서나 제약, 촉매 등에 사용되는 금 나노입자의 크기와 형태 변화를 제어하는 원리를 규명하는데 성공했다. 금 ... ...
- 글로벌 AI 인재 양성 위해 KAIST-구글 협약동아사이언스 l2019.07.21
- KAIST 대전 본원에서 산학협력 파트너십 협약식을 체결했다. 왼쪽은 신성철 KAIST 총장, 오른쪽은 존 리 구글 코리아 사장이다. KAIST 제공 KAIST와 구글이 19일 오후 KAIST 대전 본원에서 산학협력 파트너십 협약식을 체결했다. 이것을 계기로 KAIST와 구글은 2년간 글로벌 인공지능(AI) 우수 인재 양성을 위한 ... ...
- 3차원 반도체 초미세 패턴 제작기술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9.07.21
- 손정곤 KIST 광전하이브리드연구센터 책임연구원팀이 개발한 나노패터닝 기술로 10nm 이하 초미세 나노패턴을 제작한 모습.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제공 국내 연구진이 반도체 ... 구현 성공한 KIST 광전하이브리드연구센터 손정곤 책임연구원(왼쪽)과 오진우 박사후연구원(오른쪽). KIST ... ...
- [코리아 스페이스포럼] “뉴스페이스 시대, 대세는 ‘장기간 비행 드론’과 ‘초소형 로켓’”동아사이언스 l2019.07.18
- 자체 생산 조남석 소장과 무인탐사연구소에서 개발한 탐사 로버(왼쪽)와 탐사 드론(오른쪽). 탐사 드론은 원래 대기가 희박한 곳에서도 잘 날 수 있게 날개가 훨씬 커야 하지만, 지구에서 시험 비행을 위해 작게 제작했다. 이정아 기자 무인탐사연구소는 말 그대로 무인 탐사 장비를 연구, 개발하고 ... ...
- [코리아 스페이스포럼] “초소형 인공위성 시대 앞두고 아이디어 실현 중”동아사이언스 l2019.07.18
- 와 이성문 우주로테크 대표(왼쪽에서 세 번째), 박재필 나라스페이스테크놀로지 대표(오른쪽)가 각자 개발하고 있는 기술과 프로젝트를 소개했다. 코리아스페이스포럼/AZA "지금은 아이디어 단계이지만 앞으로 우주산업이 활발해질수록 점점 필요성이 커지고 활용 분야가 넓어질 것이다." 18일 서울 ... ...
- [코리아 스페이스포럼] “달착륙 실패? 더 큰 미래세대 꿈 심은 것”동아사이언스 l2019.07.18
- 말했다. 이스라엘 탐사선 '베레시트'가 지구를 배경으로 찍은 셀카사진을 공개했다. 오른쪽은 베레시트가 전송한 마지막 달 촬영사진이다. 스페이스IL 비행시 항공료를 절약하려면 경유편을 택한다. 스페이스IL은 스페이스X에서도 다른 통신위성과 함께 실려 발사되는 방법을 택해 다시 한번 ... ...
- [과학게시판] 제1차 한·오스트리아 과학기술 공동위원회 개최 外동아사이언스 l2019.07.17
- 제1차 한-오스트리아 과학기술공동위원회에서 송경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제협력관(오른쪽)과 바바바 바이쿠버 오스트리아 교육과학연구부 과학연구·국제관계국장이 합의의사록에 서명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달 16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오스트리아 ... ...
- 30년간 정설 뒤엎은 새로운 “세포간 소통 과정’ 발견동아사이언스 l2019.07.17
- 김진우 KAIST 교수팀이 제시한 호메오 단백질의 세포간 이동 모델. 친수성인 호메오 단백질은 소수성을 띠는 아미노산 잔기를 이용해 소수성인 세포막을 뚫고 세포 밖으로 나 ... 세포간 이동할 수 있음을 입증한 김진우 KAIST 교수(왼쪽)와 이은정 박사후연구원(오른쪽).한국연구재단 제공 ... ...
이전1301311321331341351361371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