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오른쪽"(으)로 총 2,739건 검색되었습니다.
- 당뇨병 합병증 ‘망막병증’ 막을 수 있다...예방 단백질 발견동아사이언스 l2019.07.08
- 눈(왼쪽)과 당뇨성망막병증이 나타난 눈(오른쪽) 비교. 당뇨성망막병증이 생기면 비정상적으로 혈관이 생기고 출혈, 혈압이 높아지면서 동맥 일부가 팽창(동맥류), 목화점(출혈 후 혈관벽에 생긴 얼룩)이 나타날 수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오랫동안 당뇨병을 앓은 환자 10명 중 7명이 겪을 만큼 ... ...
- 7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에 현충민 프로와 백영현 연구소장동아사이언스 l2019.07.08
- 위)현충민(왼쪽) 삼성중공업 프로, 백영현(오른쪽) 유니온커뮤니티 연구소장. (아래) 심민경(왼쪽) 아모레퍼시픽 수석연구원, 이미영(가운데) 쿠첸 파트장, 강소영(오른쪽) 투비소프트 수석연구원. 과기정통부 제공 현충민 삼성중공업 조선해양연구소 프로와 백영현 유니온커뮤니티 연구소장이 7월 ... ...
- 천랩-GC녹십자, 체내미생물 이용 치료제 개발 협력 나선다동아사이언스 l2019.07.05
- 일 경기 용인 GC녹십자 본사에서 천종식 천랩대표(오른쪽)와 허은철 GC녹십자 대표가 업무협약식을 열고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개발에 협력하기로 했다. 사진제공 천랩 생명정보 기반 마이크로바이옴(미생물군집 유전체) 기업 천랩이 GC녹십자와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생산 및 연구개발(R&D)에 대한 ... ...
- 치타 로봇 아버지 김상배 MIT 교수, 네이버랩스 기술고문 합류동아사이언스 l2019.07.05
- 김상배 MIT 교수가 개발한 치타로봇. MIT제공 로봇 분야 세계적인 신진 연구자인 김상배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 기계공학부 교수가 네이버의 기술 전문 자회 ... 로보틱스를 비롯한 지능형 자율주행 플랫폼 개발에 박차를 가한다는 방침이다. 오른쪽에서 3번째가 김상배 교수다. MIT 제공 ... ...
- 아기별은 자기장 ‘그물’의 방해를 뚫고 자란다동아사이언스 l2019.07.03
- 말했다. 초기 아기별 구조체 L1448 IRS 2의 전파 관측 결과다. 왼쪽이 기존 관측 결과고 오른쪽이 이번에 나온 고해상도 결과다. 검은 등고선은 먼지의 열 복사신호로 평평한 원반을 형성함을 알 수 있다. 파란색은 가까워지는 쌍극분출류, 붉은색은 멀어지는 분출류로 원반에 수직이다. 녹색 선의 ... ...
- 완전한 원자 한 층 그래핀 만들었다동아사이언스 l2019.07.03
- 적층 구역이 없는 그래핀이 만들어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단결정 구리 호일(오른쪽) 위에서 그래핀을 키웠더니 접힌 부분(fold)을 제외하고는 단결정 그래핀이 형성됐다. 반면 다결정 구리 호일 위에서는 군데군데 단결정 그래핀이 만날때 생기는 '결정립계'가 발생했다. IBS 제공 연구팀은 성능이 ... ...
- 스트레스 받은 뇌, 줄기세포는 스스로를 먹어 파괴했다동아사이언스 l2019.07.02
- 이끈 유성운 DGIST 뇌·인지과학전공 교수(오른쪽)와 제1저자 정성희 연구원. 사진제공 DGIST 만성 스트레스가 뇌, 특히 기억과 학습을 관장하는 ‘해마’ 부위의 손상을 일으키는 이유가 밝혀졌다. 신경줄기세포가 스스로를 파괴하는 '자가포식' 현상이 주범으로, 이 과정을 막아 스트레스에 의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잉크 안 쓰는 컬러프린터를 만들다 2019.07.02
- 오른쪽은 용매를 달리했을 때 나온 ‘모나리자’로 가운데는 파란색 단색이지만 오른쪽은 노란색과 녹색, 파란색에 걸쳐 있다(투명 플라스틱 필름을 검은색 바닥 위에 놓았다). 다이클로로메탄을 처리하면 미세구조 크기가 일정하게 나오는 반면(가운데) 클로로포름을 쓸 경우 편차가 커서 이런 ... ...
- 화학硏, 간경변 치료제 새 후보물질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9.07.02
- 국내 연구팀이 간이 딱딱하게 굳는 질환인 간경변을 치료할 신약 후보물질을 개발했다. 간경변은 간암이 될 수도 있어 주의가 필요하지만 아직까지 마땅한 치료제가 없는 병이다. 이 ... 평가한 결과, 투여군의 간 섬유화가 현저히 감소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오른쪽). 사진제공 ... ...
- AI가 기계 고장 예측한다동아사이언스 l2019.07.02
- 것”이라고 밝혔다. 윗줄 사진 왼쪽은 펌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영상이다. 오른쪽은 왼쪽과 다른 이상 진동이 포착된 영상이다. 육안으로는 차이를 구분할 수 없다. 머신 비전으로 두 영상을 비교하면 아래 그림처럼 진동이 강하게 나타나는 부분의 색이 바뀌어 표시된다. 기계연 제공 ... ...
이전1321331341351361371381391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