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뉴스
"
표면
"(으)로 총 4,000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산업 리포트] 우주산업도 4차 산업혁명 중 '3D프린팅'
2021.07.03
먼지를 콘크리트와 같은 물질로 바꿀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궁극적으로 달
표면
에 우주 방사능과 극한의 온도를 견디는 단층 주택을 약 48시간, 비용은 1만 달러(약 1130만 원) 이하에 건설하는 것이 목표다. 이스라엘의 배양육 기업인 알레프팜즈는 달이나 화성에 배양육 생산 시설을 지어 ... ...
[표지로 읽는 과학] 중력 거스르는 식물의 모세관 현상을 모방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03
모세관 현상은 중력의 도움 없이 액체가 좁은 관을 오르는 현상이다. 물 분자 사이에는
표면
장력이 있어 가는 관에서는 아무런 힘을 가해주지 않아도 물이 위로 올라갈 수 있다. 미국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연구소 연구진은 식물에서 일어나는 모세관 현상을 모방해 유체나 기체가 가는 관을 따라 ... ...
코로나바이러스, 코 속 섬모세포에서 증식 순간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1.07.02
감염된다고 알려졌지만 아직 정확한 부위는 밝혀지지 않은 상황이다. 코로나19 바이러스
표면
의 스파이크 단백질과 결합하는 수용체 단백질(ACE2·TMPRSS2·Furin)이 침입 경로 역할을 한다. 이들 단백질이 어느 곳에 정확히 분포하는지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특히 코로나19 환자 대부분이 진단 ... ...
달과 비슷한 크기에 태양 질량 1.35배 '극단적' 백색왜성 확인
연합뉴스
l
2021.07.01
항성이 맞는 마지막 형태다. 태양도 약 50억 년 뒤에는 적색거성으로 부풀어 올랐다가
표면
을 모두 날려버리고 작은 백색왜성으로 생을 마감하게 된다. 태양계는 항성이 태양 하나지만 우주에는 동반성(짝별)을 가진 항성계가 더 일반적이며, 이런 항성들은 백색왜성이 된 뒤 서로 다가서며 ... ...
[과기원은 지금] KAIST, 다양한 인플루엔자 막는 나노구조체 백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6.30
이용해 금속 규산염 뚜껑이 있는 항아리 형태 구조체를 합성해 세포 내부에서 반응
표면
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앙게반테 케미’에 21일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 ...
중국 2033년 화성에 우주인 보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25
우주개발에서 자신감을 드러낸 것이라고 평가했다. 또 중국은 올해 5월 처음으로 화성
표면
에 탐사 로버인 ‘주룽’을 착륙시키는 데 성공하며 화성 탐사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주룽 착륙으로 중국은 미국, 러시아에 이어 세계 세 번째로 화성에 착륙한 나라가 됐다. 한편 이날 왕 원장은 중국이 ... ...
'별의 탁아소' 둘러싼 가스 거품, 별 생겨날 때마다 팽창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25
이 항성풍이 별이 탄생한 곳 주변에 있던 가스를 거품처럼 부풀게 만든다. 가스 거품은
표면
에 탄소 이온 밀도가 높아 껍질처럼 작용해 잘 터지지 않는다. 이 속에서 뭉쳐 있는 성간물질이 계속해 새로운 별을 만들어 낸다. 가스 거품은 ‘별의 탁아소’라는 이름으로도 불리나 그 구조는 거품을 ... ...
반도체 인쇄 걸림돌 ‘와인의 눈물’ 역이용해 유기반도체 성능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24
현상을 ‘와인의 눈물’ 또는 ‘마랑고니 효과’라고 부른다. 물과 알코올처럼
표면
장력이 서로 다른 액체가 만날 때 바로 혼합되는 게 아니라 일정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다. 유기반도체 인쇄 공정에서 마랑고니 효과는 인쇄 시간을 지연하고 품질을 떨어뜨린다. 포스텍은 조길원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뉴턴이 무너졌다
2021.06.24
지구가 휘는 정도는 달 시지름의 3백만 분의 1일에 해당한다. 이 값을 환산하면 지구
표면
에서 빛이 진행할 때 1미터 당 대략적으로 1경분의 1 정도에 해당하는 양이다. 물론 이 값도 너무나 작아서 우리 현실에 영향을 줄 정도는 아니겠지만, 정확하게 1미터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특수상대성이론과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방부제·살균제·보존제·항생제를 구분하자
2021.06.23
약한 살생물질도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수영장·화장실 또는 가재도구의
표면
에 묻어있는 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살생물질은 ‘살균제’라고 부른다. 흔히 ‘락스’라고 알려진 ‘하이포염소산’(‘차아염소산’이라고 부르기도 함)이 대표적이고, 우리에게 ... ...
이전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