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즉시
당장에
바로
직접
d라이브러리
"
곧
"(으)로 총 3,232건 검색되었습니다.
고그린맨의 모험 - 제6화 초록마을에 닥친 위험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0호
커다란 커튼을 쳐 바람을 차단하라고 명령했어요. 택싱 텍선이 커튼을 치자마자
곧
초록마을의 풍력 발전용 터빈이 돌아가지 않았어요. 석유 해적은 쓰레기네이터 2000(나쁜 로봇)에게 재활용 공장의 재활용품들에 가스 노즐을 쓰라고 명령했어요. 플라스틱과 종이가 몽땅 활활 타오르면서 거대한 ... ...
2008년 4월, 한국인 우주에 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8호
음식인 김치나 인삼차 같은 식품을 우주 식품으로 가져가 먹어 보고 테스트 하는 거야.
곧
다른 나라 우주인들도 우리 전통 음식을 먹을 수 있겠지? ⑬ 우주에서 얼굴의 변화 연구우주에서는 피가 상체로 몰려 얼굴이 붓는다는 거 이젠 알지? 얼굴이 어떻게 얼마나 붓는지 연구하는 거야.어때? 정말 ... ...
사이언스 시간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7호
자라는 벼지만 지구에서 먹은 쌀보다 더 맛있다. 내일은 다 자란 배추를 거두는 날이다.
곧
우주김치를 만들어 먹을 수 있을 것 같다.” 우주인들은 우주정거장에서 과학 실험을 하거나 우주를 관찰한다. 미래에는 우주정거장에서 농사도 짓고 공장도 돌릴 것이다. 과학자들은 2024년에는 우주농장과 ... ...
1만 년 전 붉은 쌀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7호
곧
하얀 햅쌀이 추수돼 나올 거예요. 그런데 1만 년 전까지만 해도 쌀은 붉은 색이었다고 해요. 미국 코넬대학교 수전 매코치 교수와 충북대 조용구 교수, 농업진흥청 박용진 박사팀은 현재 벼 품종의 98%가 1만 년 전 야생의 붉은 쌀 벼에서 비롯됐다고 최근 밝혔어요. 붉은 쌀 벼에 돌연변이가 나타나 ... ...
덩더쿵~ 생생함 민속체험! 외암민속마을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7호
등 계절에 따라 여러 가지 체험을 해 볼 수 있답니다.선선한 바람이 불기 시작하는 9월.
곧
추석도 다가오니 외암민속마을로 전통 체험을 떠나는 건 어떨까요? 먹고, 자고, 경험하는 살아 있는 체험을하다 보면 어느새우리 전통 생활에푹~ 빠질 거예요 ... ...
명예기자가 과학을 말로 재미있게 잘!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7호
높아지는 하늘의 별을 보면서 별자리를 공부하며 가을을 즐기는 게 더 좋다. 이제
곧
가을이다. 내가 두 번째로 좋아하는 페가수스자리! 어서 빨리 만나 보고싶다. ‘어린이과학동아’친구들도 이번 가을엔 꼭 페가수스자리를 찾아봤으면 좋겠다.‘어린이과학동아’친구들은 어떤 별자리를 가장 ... ...
봉도사의 벼락을 피하는 방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6호
나타난 도사가 더 당황스러웠다. 그는자신을이산을지키는‘봉도사’라고 소개한 뒤
곧
이상한 주문을 외우기 시작했다.“$%#!@#$$%*%”그러자우연인지, 아니면 주문 때문인지 별안간 건너편 봉우리에 번쩍 하면서 벼락이 내려치는 게 아닌가! 쏟아지는 빗속에서 두려움에 휩싸인 봉 산악회 회원들. 이 ... ...
후들후들~ 기숙사 귀신 대소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4호
“밤 12시만되면우선삐그덕거리는문소리가 나요. 그 소리에 전 잠을 깨지요. 그리고
곧
이어 창문으로 검은 그림자가 휙~ 지나가요. 게다가….”“밤 12시의 문 소리와 검은 그림자라…. 게다가 또 뭐가 있나요?”“정말 상상하고 싶지도 않지만 귀신은 분명 제방에 들어왔다 나가는것같아요. ... ...
사이언스 시간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4호
싼 자동차를 만들어 누구나 자동차를 살 수 있는 시대를 열었다. 그의 대량생산 기술은
곧
다른 산업으로 퍼져 생산성 혁명을 일으켰다.미래 속으로햇빛 먹고 무럭무럭 자라는 초록 소오늘 강원도에 있는 할아버지 목장에 놀러 갔다. 할아버지께서는 소를 30여 마리나 기르고 있었다. 올 가을에는 ... ...
소음 잡은 블루투스 헤드셋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현상을 모세관 현상이라고 한다 삼베나 무명같은 천의 한쪽끝을 물에 적시면 물이
곧
삼베나 무명을 타고 퍼지는 것도 모세관 현상이다 종이가 젖어 올라가는 것은 종이 속에 있는 작은 틈이 모세관 역할을 하여 물이 올라 가는 것이다유체의 흐름을 방해하는 정도를 점도라고 한다 유체의 점도가 ... ...
이전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