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40년 난제 ‘골드펠드 추측’ 실마리 찾았다수학동아 l2018년 12호
- 해를 구하는 데 도움이 될 겁니다. 다만 증명에 사용한 BSD 추측은 미국 클레이재단이 100만 달러의 상금을 내건 밀레니엄 문제의 하나로, 아직 증명되지 않은 문제이기 때문에 골드펠드 추측이 완전히 풀린 것은 아닙니다. 최영주 포스텍 수학과 교수는 이 연구에 대해 “오랫동안 해결의 실마리조차 ... ...
- part 1. 매스시티 맵 만들기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주제가 수학인 만큼 우리 크루는 ‘매스시티 맵’을 만들었습니다. 세계 곳곳을 여행하는 계획을 세우며 수학이 깃든 도시까지 중간에 들르기로 한 거 ... 이 연구소는 2000년 5월 24일 수학계 7대 난제를 ‘밀레니엄 문제’라고 명하고 문제마다 100만 달러의 상금을 내걸어 유명해졌어요 ... ...
- part 5. 수학 여행 체험 활동지수학동아 l2018년 12호
- 맵의 최적의 경로를 짰습니다. 어떤가요? 우리의 졸업여행이 기대되죠? 사실 여러분도 100개 도시 정도는 쉽게 경로를 만들 수 있어요. 캐나다 워털루대학교 연구팀이 도시를 찍기만 하면 누구나 동선을 짤 수 있는 ‘콩코드(Concorde)’라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인터넷에 공개했거든요. ‘Concorde ... ...
- part 3. 최석정의 10차 라틴방진은 ‘아벨 군’?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조금 특별한 아벨 군을 고안했죠. 이때가 19세기 초반이니까 최석정이 살았을 때보다 약 100년 뒤입니다. 그런데 최석정이 남긴 라틴방진이 아벨 군의 덧셈표와 같다니 놀라지 않을 수 없었죠. 아쉬운 점은 별다른 설명이 없어서 최석정이 아벨 군을 알았다는 증거가 없다는 거예요. 하다못해 이 ... ...
- [전지적 수학 시점] 메이플스토리, 내분점으로 방어율을 뚫어라!수학동아 l2018년 12호
- 무시 효과가 어떤 능력인지 알겠나요? 방어율 무시는 내분점을 이용해 증가해서 100%가 될 수는 없어요. 메이플스토리에서는 능력치를 소수점 첫 번째 자리에서 올림해서 표시하므로 99.1%만 돼도 100%로 표시하지만, 실제로 100%가 아니니 계산할 때 주의해야 합니다. 메이플스토리는 키보드로 조작하기 ... ...
- [영재교육원 탐방 10] 미래형 교육과정으로 미래 인재 기른다!수학동아 l2018년 12호
- 탐구 활동을 하고 산출물을 만들지만, 과학전시관 영재교육원에서는 이 모든 과정을 100시간 수업 중에 할 수 있도록 교과과정을 만들었다. 이 부장은 “한 가지 주제로 학기당 약 30시간 동안 탐구 활동을 하는 것”이라며, “학교는 물론 다른 영재교육원에서도 하기 힘든 경험”이라고 말했다 ... ...
- ‘영원’을 쫓는 수학자, 2018 대한수학회 학술상 최영주 포스텍 교수수학동아 l2018년 12호
- 떠오르지 않고 막힐 때 교수님만의 극복 방법이 있나요? 마주하는 거예요. 수학 연구는 100일이면 99일이 막히는 일이에요. 이것에 익숙해지는 게 연구자인 것 같아요. 깜깜한 99일 동안 길을 알려주는 사람도 없고 등대도 없어요. 다른 사람들의 길을 보고, 이야기를 나누고 다시 내 자리로 돌아와요. ... ...
- 최초의 ‘행성 사냥꾼’ 케플러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에서 “케플러 우주망원경이 외계행성을 찾는 일은 자동차가 전조등을 켜고 100마일(약 160km) 떨어진 곳에서 기어 다니는 벼룩을 찾는 것과 비슷하다”고 설명했다. 케플러 우주망원경은 발사 직후 6주간 관측한 데이터를 지구에 전송했다. NASA 과학자들은 이 데이터를 분석해 외계행성 5개를 찾아 ... ...
- 세계 13위, 韓 슈퍼컴퓨터 누리온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누리온은 57만20개로 20배 가까이 늘었다. 시스템 메모리 크기는 33.88PB(페타바이트·1PB는 100만GB)로 타키온 II 대비 400배 이상 커졌다. 대용량 정보를 불러오거나 저장할 때 발생하는 버퍼링을 줄여 줄 수 있는 초고속 저장장치 ‘버스트 버퍼’(1PB)도 적용됐다. 황순욱 KISTI 슈퍼컴퓨팅본부장은 ... ...
- 남극, 달, 부메랑 성운, 세상에서 가장 추운 곳과학동아 l2018년 12호
- 6분 동안 만들어진 미세중력 환경에서 과학자들은 보스-아인슈타인 응축 현상과 관련된 100여 개의 실험을 수행했다. 이 결과는 올해 10월 17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됐다. doi:10.1038/s41586-018-0605-1 우주의 미세중력 환경에서는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체를 좀 더 오래 지속시킬 수 있다. 한 번에 ... ...
이전1381391401411421431441451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