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남극, 달, 부메랑 성운, 세상에서 가장 추운 곳과학동아 l2018년 12호
- 6분 동안 만들어진 미세중력 환경에서 과학자들은 보스-아인슈타인 응축 현상과 관련된 100여 개의 실험을 수행했다. 이 결과는 올해 10월 17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됐다. doi:10.1038/s41586-018-0605-1 우주의 미세중력 환경에서는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체를 좀 더 오래 지속시킬 수 있다. 한 번에 ... ...
- ‘아베노믹스’가 한국에 주는 교훈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위해서 어떤 행동을 했을까. 힌트는 2001년에 있다. 당시 일본은 달러에 대한 엔화 환율이 100엔에서 130엔 수준으로 급등했는데, 이후 일본 경제는 잠깐이나마 강한 호황을 누렸다. 이유는 2001년 3월부터 2006년 3월까지 일본 중앙은행이 ‘양적완화(Quantitative Easing)’ 정책을 시행했기 때문이다. ... ...
- part 1. 매스시티 맵 만들기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주제가 수학인 만큼 우리 크루는 ‘매스시티 맵’을 만들었습니다. 세계 곳곳을 여행하는 계획을 세우며 수학이 깃든 도시까지 중간에 들르기로 한 거 ... 이 연구소는 2000년 5월 24일 수학계 7대 난제를 ‘밀레니엄 문제’라고 명하고 문제마다 100만 달러의 상금을 내걸어 유명해졌어요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조르당 곡선에서 정사각형을 찾아라! 내접 사각형 문제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어려운 문제로 남아있습니다. 사각형을 찾는 문제는 어려운 것 중 하나죠. 정사각형은 100년 넘게 답을 못 찾고 있지만, 직사각형 찾는 문제는 이미 한참 전에 해결됐습니다. 미국 수학자 도로시 본이 위상수학의 방법을 이용해 멋지게 증명했지요. 원하는 모양의 사각형은 없을까? 가로세로 ... ...
- 최초의 ‘행성 사냥꾼’ 케플러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에서 “케플러 우주망원경이 외계행성을 찾는 일은 자동차가 전조등을 켜고 100마일(약 160km) 떨어진 곳에서 기어 다니는 벼룩을 찾는 것과 비슷하다”고 설명했다. 케플러 우주망원경은 발사 직후 6주간 관측한 데이터를 지구에 전송했다. NASA 과학자들은 이 데이터를 분석해 외계행성 5개를 찾아 ... ...
- part 5. 수학 여행 체험 활동지수학동아 l2018년 12호
- 맵의 최적의 경로를 짰습니다. 어떤가요? 우리의 졸업여행이 기대되죠? 사실 여러분도 100개 도시 정도는 쉽게 경로를 만들 수 있어요. 캐나다 워털루대학교 연구팀이 도시를 찍기만 하면 누구나 동선을 짤 수 있는 ‘콩코드(Concorde)’라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인터넷에 공개했거든요. ‘Concorde ... ...
- part 3. 최석정의 10차 라틴방진은 ‘아벨 군’?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조금 특별한 아벨 군을 고안했죠. 이때가 19세기 초반이니까 최석정이 살았을 때보다 약 100년 뒤입니다. 그런데 최석정이 남긴 라틴방진이 아벨 군의 덧셈표와 같다니 놀라지 않을 수 없었죠. 아쉬운 점은 별다른 설명이 없어서 최석정이 아벨 군을 알았다는 증거가 없다는 거예요. 하다못해 이 ... ...
- [전지적 수학 시점] 메이플스토리, 내분점으로 방어율을 뚫어라!수학동아 l2018년 12호
- 무시 효과가 어떤 능력인지 알겠나요? 방어율 무시는 내분점을 이용해 증가해서 100%가 될 수는 없어요. 메이플스토리에서는 능력치를 소수점 첫 번째 자리에서 올림해서 표시하므로 99.1%만 돼도 100%로 표시하지만, 실제로 100%가 아니니 계산할 때 주의해야 합니다. 메이플스토리는 키보드로 조작하기 ... ...
- 서보현 대구과학고 입학관리부장 - “우수하면 다음 단계 생략하고 우선 선발”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괜찮다”고 말했다. 2단계 창의적 문제해결력 평가는 주관식을 포함해 수학 20문항(100분), 과학 40문항(120분) 내외로 구성한 필기시험으로 진행한다. 서 부장은 “중학교 수준의 교육과정을 이수했다면 충분히 친숙하다고 느낄만한 수준으로 출제하며, 과도한 심화 문제는 최대한 지양하고 있다”고 ...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12] 지구 에너지의 근원, 태양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방출하는 에너지로 나누면 태양의 수명을 구할 수 있다. 계산해보면 태양의 수명은 약 100억 년이다. 다만, 태양은 50억 년 전부터 핵융합 반응을 통해 에너지를 생산해 온 만큼 앞으로 약 50억 년간은 계속 에너지를 생산할 것이다. 영원하지는 않지만, 꽤 오랜 시간 동안은 태양이 사라질 지도 ... ...
이전1391401411421431441451461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