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날
고려대학교
고려대
고려대학
오래됨
상고
절벽
d라이브러리
"
고대
"(으)로 총 1,528건 검색되었습니다.
침과 뜸의 작용과 부작용
과학동아
l
198903
또는 어느 다른 인체부위에 작용하게 되는 효능이 있음을 발견하게 되었다. 여기에
고대
의 해부학적 지식이 첨가되어 14경맥, 즉 14줄기의 큰 흐름(본류)이 발견되었다.또 이들 14경맥 사이를 서로 연결해 주거나 14경맥과 체표사이를 이어 주는 가는 줄기(지류)인 수많은 락맥을 찾아냈다.요컨대 ... ...
진동의 세계
과학동아
l
198903
애쓴 동서고금의 위대한 과학자와 자연찰학자들이 이미 많이 생각했던 것이기도 하다.
고대
그리스의 ‘피타고라스’나 ‘플라톤’이 탐구한 우주모형으로서의 정다면체 세계나 근대 천문학의 시조 ‘케플러’가 발견한 태양계 행성의 질서속의 ‘천체의 음악’ 등은 그 대표적인 것이다. 진동이 ... ...
입자와 파동의 한판승부 불확정성의 원리와 양자역학
과학동아
l
198902
이뤄진 연속체이지 결코 데모크리토스가 말하는 입자가 아니다"라고 맞섰다.이와 같이
고대
그리스학자들은 물질에 관하여 지금 보아도 상당히 예리한 관찰이었다고 생각되는 수준에까지 도달했다. 하지만 그 당시엔 이러한 이론을 실증할 수 있는 기술이 없었다.이어서 종교전제(宗敎專制)로 인한 ... ...
석유·천연가스 등 자원과 군사적필요에 의한 새로운 관심 북극
과학동아
l
198902
탐험은 새로운 개발의 시대에 접어들고 있다.몽고인과 코카서스인북극지방에는
고대
그리스인들이 상상했던 단일인종의 극북인(Hyperborean)들 대신에 다양한 인종적 기원을 갖는 토착민들이 살고 있다. 인류가 본래 열대성동물(tropical animal)이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북극지역은 이제 막 탐사가 ... ...
독특한 맛과 맹독을 함께 지닌 생선 복(鰒·Swellfish)
과학동아
l
198901
위해서다. 냉동운반을 하는 경우도 있으나 복은 활어가 고급품이다.복을 먹는 습관은
고대
부터 있었으나 회로 먹은 것은 그렇게 오래되지 않았다. 맛있는 것을 찾는 인간의 본능이 발견한 조리법이다.복요리에서는 이 복회가 최고다. 큰 접시에 담은 모양은 시각적으로도 예술에 가깝다.뼈에 붙은 ... ...
실제 크기에 근접, 남·북위 38도 기준
과학동아
l
198901
지도의 창안자는 '위스컨신'대학의 지리학 명예교수 '아더 로빈슨'씨. 그는 "
고대
'프톨레미'이후 정확한 지도를 그리기위해 애써 왔으나 불행히도 완전한 도법은 있을수 없다"고 말하면서 로빈슨도법은 "지구의 초상을 보여주도록 노력한것"이라고 설명한다. 그는 새로운 지도가 완벽하다고는 ... ...
시간강사 춥고 배고프지만 양지를 기다리며…
과학동아
l
198901
한국과학사로 구분해 볼 수도 있다. 또한 어느 시기를 중점적으로 연구하는가에 따라
고대
과학사 중세과학사 근대과학사 현대과학사로 나누어 생각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물리학사 생물학사 의학사 지질학사 천문학사…처럼 과학의 내용에 따른 구별도 할 수 있다.과학사의 연구 주제는 ... ...
1년중 관찰에 가장 적합 겨울밤의 별자리 보기
과학동아
l
198901
별을 홍수를 예보하는 별로 숭상하였다.특히 덴데라(Denderah)에 있는 이시스(Isis)의 사원은
고대
의 여신 이시스를 별로 섬겨 세운 것이라고 한다.■작은 개자리(Canis Minor)큰 개자리의 북동쪽 은하수를 건너 1등성과 3등성이 보이는데 이것이 작은 개자리이다.이 별자리의 1등성은 '프로키온(Procyon)'으로, ... ...
신생아의 놀라운 능력
과학동아
l
198901
밖으로 나오면서 폐포도 확장되어 공기가 들어가게 된다.아기의 첫 호흡에 대하여는
고대
적부터 여러사람이 관심을 두고 연구해오고 있다. 그러나 정확히 어떠한 메커니즘으로 아기가 첫 숨을 쉬게 되는지는 아직 잘 모르고 있다.첫 호흡은 문제가 있을 때가 많다. 대개는 궁둥이를 때리거나 그 ... ...
흙건축을 되살려야 하는 이유
과학동아
l
198812
않았던 것은 구운 벽돌의 사용이 금세기초 서울 명동성당건립에서가 처음이었듯이(물론
고대
에 전돌이 있었긴 하지만) 근래에 와서 일부 농촌지역에서 일반화되었을 뿐이다. 그것도 간이건물에 사용하였는데, 대체로 그 위에 흙으로 미장한 것을 토담구조로 혼동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심벽이란 ... ...
이전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