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도
밀집 상태
비중
에너지밀도
에너지
에네르기
빽빽함
d라이브러리
"
밀도
"(으)로 총 1,520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인슈타인 이후의 위대한 과학자 스티픈 호킹
과학동아
l
198804
블랙 홀 심장부에 있는 이 특이점은 작지만 크기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며 극단적으로
밀도
가 짙으나 무한히 큰 것이 아니라고 믿는 사람들이 많았다.여기서 호킹이 등장한다. 아직도 대학원생인 호킹은 수학자 ‘로저 펜로즈’와 함께 만약에 일반 상대론이 최소한의 규모까지 적용된다면 특이점이 ... ...
오스트레일리아의 원시동물천국 태스매니아
과학동아
l
198803
주머니 여우 웜배트 등 진귀한 동물도 있는데 생김새나 동작이 귀엽다. 인구
밀도
가 적은 이 섬에는 동물뿐만이 아니고 태고의 옛날부터의 자연이 많이 남아있다. 그 아름다움과 변화가 가득한 자연경관은 놀라울 정도다. 산이나 언덕, 호수 만이 아니고 작은 버섯이 자라고 있으며 ... ...
컬러 X레이 투시기 개발
과학동아
l
198803
구별하게 한다. 플래스틱과 기타 유기물은 오렌지색을, 금속은 청색, 그리고 다른
밀도
가 높은 물질은 녹색을 띠게되어 구별을 쉽게 할수있다. 이 투시기는 '포퓰러사이언스' 2월호에 소개되었다 ... ...
공전주기 800년 10번째의 행성을 찾아
과학동아
l
198802
계획이 여러나라에서 추진되고 있다. 우주에서라면 공기의 요동이 없으므로 정
밀도
가 지상의 망원경의 10배 이상은 높을 것이다. 그렇지만 관측할 수 있는 시야가 좁다는 것이 난점이다. 하나의 별을 관측하는데 지금까지는 10년 이상 걸리던 것이 1년으로 끝날수 있게 되었다. 이렇게 나가면 새 ... ...
초전도의 열풍 아담한 슈퍼컴퓨터도 가능하다
과학동아
l
198802
문제가 있다. 1987년 3월 미국 스탠퍼드 대학 연구팀은 초전도체의 박막 연구로 높은 전류
밀도
를 얻는데 성공, 초전도체에 의한 칩연결이 실현될 가능성은 매우 높아지고 있다. 올해 안으로 실현 시기를 잡고 있다. 다음 단계는 트랜지스터간의 칩내에서의 연결. 이름하여 '온칩'(On Chip)연결이다. 이는 ... ...
블랙홀은 결코 괴물이 아니다
과학동아
l
198801
㎤이 되고 질량은 ${10}^{8}$×태양질량=2×${10}^{41}$g이 되므로 이 경우 거대란 블랙홀의 평균
밀도
는 2g/㎤가 된다. 이 거대한 블랙홀은 가장 빨리 자전하는 경우 하루에 약 7바퀴를 돌 수 있는데, 이 때 블랙홀의 가장자리는 광속에 가까운 속도를 갖게 된다. 쌍동이 형제의 패러독스 쌍동이 형제가 ... ...
가속기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801
VLSI)의 제작에 있어 방사광 X-선의 공간 고분해성과 고강도 성질로 인해 초고
밀도
의 집적회로 양산의 유일한 방법으로 인정되고 있다. 예를 들어 1M DRAM에서의 공간분해능이 1백만분의 1m(㎛)에 해당되지만 64M DRAM에서는 이 분해능이 0.25㎛에 해당하게 된다. 이러한 미래산업적인 요구로 인하여 이 ... ...
생명탄생의 대하 드라마 생명의 씨앗은 우주에서 날아왔다
과학동아
l
198801
성간운속에 존재하는 아미노산의 총중량이 1백만t이라해도 광대한 구름 속에서는 그 물질
밀도
가 대단히 희박해져 아마 검출한다는 것은 무리일 것이다. 이런 분자는 태양계 속에서의 생명탄생과정에서 어떤 모양으로 역할을 한 것일까. 단순히 생각하면 역할을 했다고는 생각되지 않는다. 태양과 ... ...
PART2 발사체 96년에 실험발사를 목표로
과학동아
l
198801
이 위성에는 무게가 84kg이며 지구표면에서 2백30km에서 9백40km까지의 타원궤도상의 공기
밀도
와 온도를 측정하는 계측기를 싣고 있었다. 이 위성을 올리는데 사용된 발사체는 SS-6대륙간탄도탄(ICBM)을 개량한 A형발사체였다. 그후 한달후 소련은 '라이카'(Laika)라는 강아지를 실은 스푸트닉 2호를 ... ...
인간능력과 기계의 결합 로봇이 지능을 갖추기 시작했다
과학동아
l
198801
공존상태도 어느정도 가능하리라 본다. 그러나 두뇌부를 비롯 로봇 몸체 전체가 고
밀도
의 전자회로로 구성되고 이를 제어하는 제어프로그램이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복잡해짐에 따라 로봇의 오작동에 의한 피해도 고려해야 한다. 특히 로봇 자체의 결함보다는 주변 전자기계에서 발생하는 ... ...
이전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