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도
밀집 상태
비중
에너지밀도
에너지
에네르기
빽빽함
d라이브러리
"
밀도
"(으)로 총 1,520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는 어떻게 변할것인가
과학동아
l
198704
인류가 모두 대머리가 될 것이라는 속단은 금물이다. 인간의 머리털은 동물에 비해
밀도
가 높아 쉽사리 대머리가 되지는 않을 것이다.인간은 원시의 눈을 갖고 태어난다. 그렇지만 문명사회는 문자의 사회라고 할 수 있다. 문자를 보지않고는 하루도 살아갈 수가 없다. 게다가 대부분의 일은 눈 ... ...
수산·해양분야의 선구 부산수산대학
과학동아
l
198704
했다.또 뱀장어의 경우도 사육에 관한 기본조건들을 밝혀내고 국내여건에 알맞는 초고
밀도
사육기술을 확립한 것이 눈에 띈다. 최근에 양식어종으로 각광받고 있는 틸라피어에 관해서도 국내조건에 부합하는 사육시설과 사료등을 연구하고 있어 주목된다.이처럼 내수면어업분야에 있어서도 ... ...
인공자장은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과학동아
l
198704
늘어서 있는 선을 자력선 또는 자속선이라 하며 자장의 강도는 자속의 많고적음(자속
밀도
; 단위는 가우스)으로 나타낸다. 자석에는 반드시 두개의 극(極·N,S)이 있다.이밖에 자장의 강도가 변하지 않는 영구자석과는 달리 그 강도가 시간에 따라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교대자장이나 펄스자장이 ... ...
팽창우주의 운명은?
과학동아
l
198704
그것이 팽창을 일으킨다. 그런데 급속한 팽창에 의해 우리 우주의 물질내용은 극히 작은
밀도
로 엷어졌다. 인플레이션이 시작되기 전에 존재했던 입자는 오늘날 어디에도 남아있지 않는 것이다. 현재 우주의 물질은 인플레이션이 끝나고 일어난 상전이에서 생겨났다.인플레이션 우주에서는 ... ...
행성지구 그 신비를 해부한다
과학동아
l
198704
다시 공간으로 복사에너지를 방출한다. 그러나 금성에서는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밀도
있고 두꺼운 대기층 때문에 열이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표면 근처의 구름에 갇혀서 시간이 갈수록 온도가 더욱 높아져 간다."우주탐사선(파이오니아)을 통한 관측과 전파망원경으로 관측한 금성의 표면지형은 ... ...
20대 박사들
과학동아
l
198703
학위를 받은 공영식박사(26세, 화학)의 이야기를 들어보자."학문을 집중적으로
밀도
있게 할 수 있는 전일제(全日制) 수업의 20대 박사는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앞으로 학문을 계속하려면 젊었을 때 스스로 연구할 수 있는 자격, 즉 박사학위를 받는 것은 필수적이라고 느껴집니다. 또한 젊은 ... ...
3090 최상위 모델 발표
과학동아
l
198703
새로운 1메가비트 메모리칩 사용, IBM의 고유한 최신 열냉각 방식인 TCM(열전도모듈)의
밀도
향상 등을 통해 성능향상능 이룩한 것이다.한국 IBM 3090 시스팀을 고려하고 있는 고객은 새로운 3090 시스팀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이미 3090 시스팀을 설치해 두고 있는 고객도 차기 시스팀 확장시부터 새로운 30 ... ...
PART3 자동차용 신소재 가볍고 튼튼한 차
과학동아
l
198702
손쉽게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기존의 주철보다 63%나 가벼운(
밀도
가 작은) 주조알루미늄을 채용하여 같은 강성을 얻을때의 중량감소는 11%에 불과하다. 왜냐하면 실제의 설계시 주철의 우수한 성질을 내기위해 다량의 알루미늄을 써야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경량재를 도입할 ... ...
PART7 복합재료 재료의 한계 넘는 앙상블
과학동아
l
198702
생기는 것이다. 이런 섬유강화금속의 약점은 제조과정이 복잡하고 금속기지재료의
밀도
가 높다는 것이다. 금속을 기지재료로 한 복합재료는 극초음속으로 나는 우주왕복선의 기체표면중 저온부분의 재료도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기수, 날개의 앞부분, 엔진의 온도는 금속기지재료의 ... ...
천문학의 최전선 전파천문학이란 어떤 것인가
과학동아
l
198702
있다. 최근에는 밀리미터의 짧은 파장쪽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대형보다는 표면의 정
밀도
가 수신하는 전파 파장의 1/10이하가 되어야 한다. 실제로 파장 1㎜의 전파를 관측하기 위해서는 포물면에서 벗어날 수 있는 표면의 오차가 0.05㎜ 정도로 작아야 한다. 직경 수십 m의 포물면의 정도(精度)를 ... ...
이전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