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으)로 총 10,904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그노벨상이 궁금해! 바나나 껍질을 밟으면 왜 미끄러질까?어린이과학동아 l201421
- 대단한 걸~!극지과학 순록도 사람이 더 무서워북극에 사는 스발바르 순록은 덩치가 큰 북극곰을 무서워할까, 처음 보는 낯선 사람을 무서워할까? 노르웨이 오슬로대 에이질 라이버스 교수팀은 북극곰의 가죽을 뒤집어쓰고 직접 시험해 봤대. 그 결과 북극곰 가죽을 뒤집어썼을 때보다, 사람의 ... ...
- 도전! 오디션 스타 음치, 박치도 깜짝 놀랄 노래 비법어린이과학동아 l201421
- 2010년, 일본 도쿄돔에서 약 5만 명의 관객을 모은 뒤 매년 각지에서 콘서트를 할 정도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음역부터 무대에 서는 방법까지, 심사위원들의 깨알 같은 가르침 덕분에 자신감이 백 배 늘었다. 올해는 우승할 수 있을 것 같다! 자, 어서 오디션 참가 신청을 해야…, 응? 오늘이 며칠이지? ... ...
- 너무 빨리 자라면 병? 성조숙증어린이과학동아 l201420
- 아빠가 함께 목욕을 하면서 고환의 크기를 체크해 주세요. 사춘기를 늦출수록 키가 많이 큰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렇지 않습니다. 사춘기가 늦는다고 좋은 것도 아니거든요. 사춘기는 자연스러운 것이므로 초등학교 고학년 때 사춘기가 시작된다면 자연스럽게 또 당당하게 받아들이세요. 또 ... ...
- 근시 vs 원시어린이과학동아 l201420
- 수 있어요. 원시근시와는 반대로 가까운 곳을 잘 보지 못하는 눈이에요. 먼 곳을 볼 때는 큰 문제가 없지만 눈앞의 책을 읽거나 컴퓨터 모니터를 볼 매우 불편하지요. 각막이나 수정체에 이상이 생기거나 안구가 짧으면 망막보다 뒤쪽에 상이 맺히기 때문에 생겨요. 그래서 원시인 사람은 빛을 한 ... ...
- 전통과 디지털이 공존하는 아름다운 궁어린이과학동아 l201420
- 만들어진 첫번째 궁이에요. 한양(지금의 서울)을 도읍으로 정한 후궁을 지었고 ‘큰 복을 누리라’는 뜻을 가진 ‘경복(景福)’으로 불렀지요. 수문장이 지키는 광화문을 지나면 왕의 즉위식이 열리거나 외국 사신을 맞이하는 근정전, 왕과 신하들이 정치를 의논하던 사정전, 명성황후가 시해된 ... ...
- 멸종 위기의 지구생물을 지켜라! 생물다양성어린이과학동아 l201420
- 활동이 수원청개구리가 멸종되지 않고 우리와 오래오래 살 수 있게 하는 데 큰 도움을 주고 있단다.다른 생물다양성 활동도 많아~!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생태발자국 줄이기’야. 생태발자국은 우리가 사용하는 에너지와 음식, 도로 같은 인공 환경을 만드는 데 쓰이는 땅의 크기를 나타낸 거란다. ... ...
- 여치의 노래를 잘 들을 수 없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420
- 폭을 ‘파장’, 1초 동안 고막에 전달 되는 횟수를 ‘주파수’라고 해요. 진폭이 클수록 큰 소리가 나고, 주파수가 높을수록 고음이, 낮을수록 저음이 나지요.우리가 여치의 노래 소리를 잘 들을 수 없는 것은 주파수 때문이에요. 귀뚜라미가 부르는 유인노래 주 파수는 3000~6000 헤르츠★이고 여치 ... ...
- 전통과학연구소 소장 ‘보권해’어린이과학동아 l201420
- !“작은 구슬은 떨어지면서 점점 빨라져. 그러면서 여기저기를 건드리고 놓여 있던 큰 구슬을 움직이게 만들지. 구슬이 움직이면서 나머지 장치를 움직이게 하는 걸세.”자격루는 일종의 골드버그 장치다. 구슬이 높은 곳에 있다가 떨어지면서 위치에너지가 운동에너지로 전환되어 시보장치를 ... ...
- 2014 국제바이오현미경사진전 수상작 전시회 꼭꼭 숨어라, 현미경이 찾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19
- 작은 세상을 10~1000배 확대하는 현미경의 ‘마술’이지요. 생물 속 아주 작은 곳에 숨은 큰 세상을 함께 봐요~.제11회 국제바이오현미경사진전에 입상한 사진들이에요. 충청북도와 오송바이오진흥재단이 함께 여는 국제바이오현미경사진전은 ‘생명 속의 생명’들이 펼치는 작은 세계의 아름다움과 ... ...
- 세상에서 가장 신나는 어린이과학동아 10살 생일파티어린이과학동아 l201419
- 게라시멘코’라는 이름의 혜성을 쫓고 있어요. 이 혜성은 동그랗고 작은 암석과 조금 더 큰 둥그런 암석이 합쳐진 것 같은 독특한 모습 때문에 ‘우주 오리’라는 별명도 가지고 있답니다.저는 2004년 발사된 이후로 64억km를 날아서 2014년 8월, 10년 만에 67P 혜성 궤도에 진입하는 데 성공했어요. 지금도 ... ...
이전1391401411421431441451461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