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0,904건 검색되었습니다.
내가 어떤 인재인지 알고 싶다고? 그럼 지니움으로 와~!
어린이과학동아
l
201418
부모님들은 잘못됐다는 것을 알면 잘 바꾸기 때문에 현재 상황을 확인하는 것만으로도
큰
도움이 된대. 검사에 참여한 한 학부모는 “야단을 심하게 치는 것도 전혀 안 치는 것도 문제라는 걸 알았다”며 “내 점수를 이상적인 값과 비교할 수 있어 많은 도움이 됐다”고 말했어.행복한 표정의 ... ...
국립도서관 사서 ‘다바쓰믄 돌리도’
어린이과학동아
l
201418
모아 놓았습니다. 이제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책 세상이 펼쳐집니다.”세계에서 가장
큰
도서관이 문을 열었다. 도서관 사서인 ‘다바쓰믄 돌리도’가 개관 기념으로 진행하는 이벤트를 설명했다.“미션지에 쓰여 있는 책을 찾아서 가장 먼저 돌아오는 사람이 우승자입니다. 우승하신 한 분에게는 ... ...
TWINS 같은 듯 다른 존재? 쌍둥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418
여성보다 3㎝나 더 크다는 사실이 밝혀졌지. 이란성 쌍둥이 친구들은 엄마의 키가 얼마나
큰
지 한번 재 보는 건 어때?하나의 난자에 두 개의 정자가 수정될 수 있을까?수정란이 만들어지기까지 하나의 난자를 쟁취하기 위해 수많은 정자들이 경쟁을 한다. 정확하게 난자를 찾고 빠르게 파고들어 ... ...
서울 곳곳에 구멍이 뻥뻥! 공포의 싱크홀
어린이과학동아
l
201418
서울시내 한복판에 구멍이 뻥뻥 뚫렸다. 말 그대로 땅이 꺼져서 생기는 구멍, ‘싱크홀’이 발생한 것이다. 도로가 무너져 내려 길 가던 차 앞바퀴가 빠지고, 같은 지역에 8 ... 아! 그렇다고 우리가 딛고 있는 땅이 갑자기, 아무 일 없이 푹 꺼지는 일은 없을 테니
큰
걱정은 하지 말 것~ ... ...
출동! 명예기자가 간다~ 똥나와라 똥똥
어린이과학동아
l
201416
변기 대부분이 재래식이었어요. 특히 시골에서는 땅에 구멍을 파서 항아리 같은
큰
그릇을 묻고 위에 발판을 만든 재래식 화장실에서 볼일을 보았답니다. 이런 재래식 화장실을 ‘뒷간’이라고 불렀지요.뒷간에 똥과 오줌을 모아놓은 이유는 따로 있어요. 똥과 오줌을 발효시켜 밭에 뿌리면 식물이 ... ...
철썩 철썩 쏴아~ 아름다운 파도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416
친구를 만날 수도 있답니다. 어때요? 친구들, 좀 시원해졌나요? 우리나라는 하와이만큼
큰
파도가 치는 것은 아니지만 친구들이 놀기에 딱 좋은 멋진 파도들이 해변에서 기다리고 있어요. 다음엔 진짜 바다로 나가 멋진 파도를 만나 신나게 놀아 봐요~ ... ...
방학엔 외국여행? 우리는 우주여행 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16
년 버트 루턴이 설계한 ‘스페이스십1’이 상금을 탔어. 버진갤럭틱은 이 기술을 사서 더
큰
우주선인 스페이스십2를 개발했단다. 그 뒤로 많은 기업이 우주여행과 우주운송 분야의 경제성을 보고 뛰어들었지. 이렇게 경쟁이 붙으면서 저렴하고 다양한 우주여행 상품이 나오고 민간우주여행 시대가 ... ...
지구사랑탐사대 2기 심화교육
어린이과학동아
l
201416
“메뚜기 두 마리와 방아깨비 두 마리를 힘들게 잡아 왔는데 다른 대원들이 훨씬
큰
메뚜기와 방아깨비, 여치를 많이 가져와서 정말 놀랐어요”라고 말했답니다. 25명 모두 한 사람도 빠짐없이 사전 미션을 완료했어요. 역시 지구사랑탐사대 대원들은 언제나, 어디서나, 열심히 최선을 다한답니다 ... ...
돌아온 말썽꾸러기 ‘지지리 마란드러’
어린이과학동아
l
201416
재보니까 15.7m나 되는데?”미션4 가장
큰
잎을 찾아라~!“그런데 삼촌,
큰
꽃이 있으면
큰
잎도 있을 거 아냐?”“물론 있겠지. 아마 아마존에 있는 수련 잎이 클 거다. 지름이 무려 2m가 넘는 것도 있지.”아마존수련의 잎은 지름 2m가 넘는다. 한 시간에 2.5cm나 자란다고 하니 정말 대단한 식물이다 ... ...
꿰뚫어 보는 지하철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416
전동차가 줄지어 계속 달리기 때문에 차량간 거리나 시간을 지키지 않을 경우 자칫하면
큰
사고가 날 수 있거든요. 지난 5월에 발생한 2호선 충돌 사고가 신호 문제 때문에 일어난 것처럼요. 이 때문에 지하철 선로 옆에는 열차의 속도와 진행 가능여부를 알려 주는 신호기가 일렬로 설치돼 있어요. ... ...
이전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