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나라"(으)로 총 4,411건 검색되었습니다.
- 밀가루는 무죄!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등 밀가루로 만든 음식은 거의 다 좋아합니다. 왜 하필 밀가루가 아니라 쌀이 주식인 나라에서 태어났는지 한탄한 적도 많습니다.그런데 요즘에는 발끈할 때가 많습니다. 밀가루가 몸에 좋지 않으니 피하라는 이야기가 많이 들리거든요. 살 빼고 싶으면 밀가루 먹지 마라. 피부 좋아지려면 밀가루 ... ...
- PART 3. 실험하지 않고도 화학반응 예측한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아직 탑20에 포함된 대학은 나오지 않고 있다. 어떤 나라가 노벨상을 받으려면 그 나라의 전반적 과학기술 수준이 높아지는 일도 중요하지만 임계점과 한계를 넘어 세계 최정상이라 불릴만한 연구 성과가 반드시 나와야 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노벨 과학상 2013PART 1. 물리학상 - ... ...
- 소설, 수학을 삼키다!수학동아 l2013년 11호
- 그 결과 를 선보였다. 본문보다 주석이 훨씬 긴 이 책에는 속 수학 이야기가 자세히 담겨 있다.그 중에서도 모자 장수가 재미있는 수수께끼를 내는 ‘엉망진창 파티’에서는 를 읽어야만 알 수 있는 뒷이야기가 있다.모자 장수는 눈이 ... ...
- [hot science] 지구의 중력에 감사하라!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임무전문가인 스톤박사는 우주선 조종법을 제대로 교육받지 않았는데도 다른 나라의 우주선을 운전해야 했습니다. 극중에서는 설명서가 있는 모양이었지만 실제로도 그럴까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이주희 우주과학팀장은 “지상에서 교신을 통해 지시를 받으면 모를까, 우주비행사라도 타국 ... ...
- 외국계 회사에서 영어보다 중요한 것은 공학에 대한 열정 (전용구 퀄컴 씨디엠에이 테크날러지 코리아 이사)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서비스 준비과정에서 발견된 문제들에 대한 해결 방법은 앞으로 LTE-A 서비스를 하는 다른 나라에도 적용된다. 그는 “우리가 개발한 기술이 통신 기술 발전에 기여할 수 있었다는 것이 엔지니어로서 기쁘다”고 말했다. 영어는 수단일 뿐, 공학 지식이 더 중요해 “영어는 일을 하는데 필요한 ... ...
- 주경야독 철도원, 나노분야 대가로 성장하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더욱 발전시켜 반도체 개발로 연결하는 데 관심을 갖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우리나라 산업구조로 봤을 때 기초과학이 단지 기초만으로 끝나기보다는 산업적으로 응용 가능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연구원들에게 항상 기초를 하되 응용에 목표를 둬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좌절 ... ...
- 수리온 하늘에 띄웠다. 다음은 민간 항공기다 (이대성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차세대중형항공기 사업단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강국은 어느나라나 군용보다는 민수용 항공기 생산에 더 큰 비중을 두고 있다. 우리나라도 항공·우주 분야 강국으로 거듭나려면 무엇보다 민수용 항공기를 개발하고 시장을 창출에 성공해야 한다는게 그의 주장이다. 이 과정에서 가장 곤란한 건 역시 외국기업과의 협력이다. 기술이야 연구비를 ... ...
- 걷고, 뛰고, 춤추는 두발 로봇 ‘휴보’를 만들다 (오준호 KAIST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그 이후 곧 원자력연을 그만 두었지만, 그가 처음 시작한 원전 제어계측 시스템은 우리나라가 지금도 외국에 비해 뛰어난 기술을 가지고 있다고 자신하는 분야 중 하나다. 단언할 수는 없지만, 그가 처음 물꼬를 튼 덕분에 독자적인 개발을 계속한 결과 이만한 기틀이 쌓인 것으로도 볼 수 있다.“내 ... ...
- 금융 IT 산업, 새 시대를 열다! (유시완 하나은행 정보전략본부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그렇게 금융계와의 인연이 시작됐다. 하지만 금융계에 발을 들여놓은 그때, 하필은 나라가 경제위기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특히 금융계는 인수와 합병으로 얼룩지고, 일자리를 잃은 사람도 반 이상이었다. 다행히 유 본부장이 근무하던 작은 금융 회사는 내실이 튼튼해 단독으로 은행 전환에 ... ...
- 백열등 VS 형광등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니켈로 만들지요.백열등은 가격이 저렴해서 과거에 널리 쓰였어요. 하지만 최근 많은 나라에서 에너지 낭비가 심하다는 이유로 백열등 사용을 줄이고 있어요. 백열등은 전력의 90% 이상을 열로 내 보내고 나머지 10%만 빛으로 사용하거든요. 수명이 짧고, 눈부심이 심한 것도 백열등의 단점으로 ... ...
이전1391401411421431441451461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