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나라"(으)로 총 4,411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기술자가 창업하는 나라를 위해 (천종식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 생명과학 벤처 ‘천랩’ 대표)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교수들에게는 좋은 하이테크 사업 아이템들이 많습니다. 그런 분들이 창업을 해야 우리나라도 성장 동력이 생기지요. 지금도 하는 분들이 소수 있지만, 최소 10배는 많아져야 하지 않을까요. 특히 생명과학 같은 경우는 10년 정도 연구 이력을 쌓지 않고는 창업할 수 없는 하이테크 분야예요. 이런 ... ...
- 걷고, 뛰고, 춤추는 두발 로봇 ‘휴보’를 만들다 (오준호 KAIST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그 이후 곧 원자력연을 그만 두었지만, 그가 처음 시작한 원전 제어계측 시스템은 우리나라가 지금도 외국에 비해 뛰어난 기술을 가지고 있다고 자신하는 분야 중 하나다. 단언할 수는 없지만, 그가 처음 물꼬를 튼 덕분에 독자적인 개발을 계속한 결과 이만한 기틀이 쌓인 것으로도 볼 수 있다.“내 ... ...
- 짜릿한 수학, 평생 즐기는 세계적인 수학자 (금종해 고등과학원 원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다음과 같은 조언으로 학생들을 이끌었다. “젊었을 때는 무엇이든 할 수 있을 것 같고, 나라도 구할 수 있을 거 같지만 ‘인생의 목표’가 없이는 힘들다”며, “네가 가장 잘하는 한 가지를 찾아서 목표로 삼고, 더 열심히 살아야 한다”고 말이다. 지도 교수님의 조언을 새겨들은 그는 몇 달 동안 ... ...
- [hot science] 지구의 중력에 감사하라!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임무전문가인 스톤박사는 우주선 조종법을 제대로 교육받지 않았는데도 다른 나라의 우주선을 운전해야 했습니다. 극중에서는 설명서가 있는 모양이었지만 실제로도 그럴까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이주희 우주과학팀장은 “지상에서 교신을 통해 지시를 받으면 모를까, 우주비행사라도 타국 ... ...
- 초원의 시간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소리가 들려왔다. 모두가 숨을 죽이고 하늘을 올려다보았다. 비행기가 보였다. 아이와 이 나라 사람들에게 비행기는 무조건 적기였다. 제공권이 완전히 넘어가고 비행금지구역이 설정되어 있었기 때문이다.다행히 비행기는 가까이 다가오지 않고 그대로 하늘 저편으로 사라졌다. “못 봤을까요?” ... ...
- 5년을 몰입하면 인생이 재밌어진다 (박흥식 한국해양과학기술연구원 태평양해양연구센터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첫 마디도 흑진주 양식 기술을 개발해 달라는 것이었다. 보란 듯이 성공하니까 이 나라에도 떳떳하고 협력사업도 좀더 쉽게 할 수 있게 됐다. 지금 주목하는 것은 바이오디젤 같은 바이오연료나 생물소재로 쓸 수 있는 미세조류인 스피루리나 양식 연구다. 체험단이 찾아갔을 때도 스피루리나를 ... ...
- 수리온 하늘에 띄웠다. 다음은 민간 항공기다 (이대성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차세대중형항공기 사업단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강국은 어느나라나 군용보다는 민수용 항공기 생산에 더 큰 비중을 두고 있다. 우리나라도 항공·우주 분야 강국으로 거듭나려면 무엇보다 민수용 항공기를 개발하고 시장을 창출에 성공해야 한다는게 그의 주장이다. 이 과정에서 가장 곤란한 건 역시 외국기업과의 협력이다. 기술이야 연구비를 ... ...
- 금융 IT 산업, 새 시대를 열다! (유시완 하나은행 정보전략본부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그렇게 금융계와의 인연이 시작됐다. 하지만 금융계에 발을 들여놓은 그때, 하필은 나라가 경제위기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특히 금융계는 인수와 합병으로 얼룩지고, 일자리를 잃은 사람도 반 이상이었다. 다행히 유 본부장이 근무하던 작은 금융 회사는 내실이 튼튼해 단독으로 은행 전환에 ... ...
- 초기 인류의 ‘족보’ 전면 수정되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인류진화생물학과 크리스토프 졸리코퍼 교수는 유럽과 아시아의 중간에 위치한 나라 조지아의 드마니시 지방에서 2000년과 2005년 각각 발굴한 180만 년 전의 인류 두개골과 턱뼈 화석의 생김새를 연구했다. 두 화석은 원래는 하나의 개체의 것으로, 둘을 합치면 거의 완벽한 머리뼈 화석이 된다. ... ...
- ‘살인 진드기’와의 인터뷰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한국 첫 의심환자가 등장해서 곧 사망했지. 이 나라도 안전하다고는 할 수 없어.우리나라에서도 위험? 잔디밭에 가면 안 되겠네요.서울대병원과 질병관리본부가 조사한 결과, 지난해 8월 강원도에서 사망한 환자가 SFTS로 확인됐다오. 제주도 의심환자도 유력하다지. 잔디밭이나 산에 갈 때는 꼭 긴 ... ...
이전1401411421431441451461471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