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늪
연못
굳은살
징
호수
핀
머리핀
d라이브러리
"
못
"(으)로 총 3,108건 검색되었습니다.
발명학교 '다맹그러 스쿨'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자네 정말 대단해. 내가 고마움의 표시로 선물을 준비했네. 요즘 바빠서 건강도 잘
못
챙겼지? 이번 기회에 예방접종을 좀 하라구.”교장선생님 뒤에는 팔뚝 근육이 남다른 간호사가 주사기를 들고 웃고 있었다. 썰렁홈즈는 뒤도 안 돌아보고 도망치기 시작했다.“사람 살려~, 난 세상에서 주사 맞는 ... ...
과학으로 하이킥! 애니메이션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0호
표정을 과장되게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캐릭터의 움직임을 잘 이해하지
못
하면 자연스러운 동작을 만들 수 없다.반면 모션 캡처 방식은 실제 사람의 몸에 *마커를 붙여 움직임을 컴퓨터에 기록하는 방법이다. 사람의 움직임을 애니메이션 동작으로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실제와 거의 ... ...
맛의 달인, 미식가 허풍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그런데 어째서 평상시에는 이런 능력이 나타나지 않는 거예요?”도형의 한숨 섞인 말을
못
들었는지 허풍은 벌써 저만치 앞에서 어서 오라고 손짓하고 있다.“그나저나 그 지도는 어디서 나셨어요?”“이거? 어제 숙소로 가는 길에 어떤 착한 꼬마 아이가 나눠주던데…. 무역과 관광이 발달한 ... ...
포물선을 그리며 날아가는 것들… 신기전 vs ANGRY BIRDS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과녁에 맞히는 놀이기구가 있다. 하지만 방문객 중 아직 한 사람도 목표물에 명중시키지
못
했다고 한다. 포물선의 원리를 공부한 수학동아 독자들이 첫 번째 주인공이 되길 바라본다.포탄이 날아가는 경로, 포물선 포물선은 한자로 던져진 물체가 그리는 곡선이라는 뜻이다.포물선을 수학적으로 ... ...
특목고 입시 기획 ② 특목고, 언제부터 어떻게 준비해야 하나?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널리 확산되면서 관심이 높아진 상태다. 하지만 선발 인원이 외고의 30% 수준에
못
미쳐 지원자수가 적다 보니 변화도 적은 편이다.그런데 2015학년도부터 상당수의 의학전문대학원이 의과대학으로 전환할 것으로 보임에 따라 앞으로 자연계열에서도 큰 변화가 일어날 예정이다. 강대혁 ... ...
꿈을 현실로 만들어 보자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정리하면 복습할 때 도움이 된다. “저는 아침잠이 많아요. 그래서 문제집도 한 번 다
못
풀고 시험 치는 때가 많아요.” 잠이 많아서 걱정인 P학생에게 상담 선생님은 절대 바꿀 필요 없다고 얘기한다. “사람은 누구나 자기만의 공부법이 있어. 넌 성적도 좋은 걸 보니 그걸 찾은 것 같아. 혹시 이게 ... ...
“꼼꼼한 기출분석, EBS 교재 복습”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문제의 보기를 꼼꼼히 읽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생물은 다른 과목과 달리 시간이 부족해
못
푸는 경우가 거의 없다. 모든 문제를 꼼꼼히 분석하며 풀어나가는 습관을 들인다면 시험을 치른 후 땅을 치고 후회하는 일은 생기지 않을 것이다.생물은 대체적으로 난이도가 높지 않아 등급 컷이 높은 ... ...
Part 2. 수학자의 별난 발명품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아직도 뚫는 방법을
못
찾았어? 변기의 원리를 알면 해결된다며?수세식 변기를 수학자가 만들었다는 소리가 있다고. 이것만 더 찾아보고. 야! 똥은 네가 쌌잖아. 너도 좀 알아봐. 왜 트랩은 구부러져 있을까? 관을 직선으로 만들면 변기가 막힐 염려도 없고 배설물이 위에서 아래로떨어져 훨씬 더 ... ...
가위 바위 보의 생태학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경우-각 종 사이 우열의 배치는 4가지가 있는데 어떤 경우에도 4종 모두가 살아남지는
못
한다. 최대 종다양성은 3종이다.][5종이 경쟁하는 경우-각 종 사이 우열의 배치는 12가지가 있는데 이 가운데 두 경우에서 5종 모두가 살아남는다. 서로 물고 물리는 관계일수록 종다양성이 큼을 알 수 있다. ... ...
과학이 아니라 자연을 만나보자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분명 문학적 상상력이다.이 책의 원제목은 ‘야생 달팽이의 식사 소리’다. 병으로 몸을
못
움직이는 저자에게 달팽이가 먹이를 먹는 작고 느린 소리는 사그라들고 있다고 느끼던 생명의 소리였다. 자연이 자연을 먹고 다시 자연이 되는 과정이다. 느리게, 오래 보고 듣고 느낄 수 있었기에 들을 수 ... ...
이전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