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건
사물
미확인비행물체
유에프오
미확인
비행
물질
d라이브러리
"
물체
"(으)로 총 3,311건 검색되었습니다.
포물선을 그리며 날아가는 것들… 신기전 vs ANGRY BIRDS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번째 주인공이 되길 바라본다.포탄이 날아가는 경로, 포물선 포물선은 한자로 던져진
물체
가 그리는 곡선이라는 뜻이다.포물선을 수학적으로 나타내면 이차함수 y=ax²의 꼴로 표현할 수 있다. 사실 포물선을 나타내는 이차함수는 전쟁 중 포탄을 쏘는 과정에서 적군에게 더 많은 피해를 입히기 ... ...
Part 3. 투수를 해부하는 메스, 투구추적시스템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야구공이 아닌
물체
를 걸러내기 위해 시속 64.3km(40마일)에서 시속 193.1km(120마일) 사이의
물체
만을 추적한다. 카메라가 관중이 던진 팝콘이나 날아오는 새를 공으로 오인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서다.3대의 카메라가 찍은 영상을 바탕으로 날아가는 공의 속도와 궤적을 3차원으로 분석한다. 그 뒤 ... ...
LED로 빛 만들고 합치기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빛의 영향을 덜 받을 수 있다. 이를 이용하면 빛 합성은 물론, 합성된 빛으로 다양한 색의
물체
를 봤을 때 우리 눈에는 어떤 색으로 보이는가도 확인할 수 있다. 빛의 색과 광합성각각의 RGB LED를 이용하는 대표적인 실험 중 하나로 식물의 광합성 실험이 있다. 1883년 독일의 식물학자 엥겔만(Theodor ... ...
Part 2. “불가능은 없다” 양자미션5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이론에 따라 곧바로 블랙홀로 응축되고 지평선이 생긴다. 그러면 주변에 더 이상 흡수할
물체
가 없어진다. 일반상대성이론에서는 더 할 이야기가 없다.그러나 호킹의 말대로라면 미미하나마 열복사 에너지가 나오고, 에너지와 질량은 결국 같기 때문에 잃어버린 에너지만큼 블랙홀의 질량이 조금씩 ... ...
지능형자동차의 철새 따라잡기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많이 일어난다. 서 교수는 “다중 센서를 사용하면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도 앞에 어떤
물체
가 있는지 인식할 수 있어 교통사고 예방에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설명했다. 가장 안전한 자동차 만들기서 교수가 이끄는 ‘컴퓨터 네트워크 및 보안 연구실’에는 이렇게 센서를 달고 서로 신호를 ... ...
수학·과학의 나눔터 울산대 과학영재교육원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더 빨리 굴러간다.‘사이클로이드’라는 곡선의 성질 때문이다. 중력을 따라 움직이는
물체
는 사이클로이드 위에서 가장 빠르게 움직일 수 있다. 울산대 과학영재교육원 중학수학반 학생의 설명에 다들 고개를 끄덕인다.울산에서는 해마다 과학을 체험하며 즐기는 과학문화축제가 열린다. 이 ... ...
PART 2. 진동은 피곤해!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떨어진 경우 혈액순환이 급격히 저하돼 손 저림 현상이 쉽게 나타난다. 특히 진동하는
물체
를 잡고 있을 때 접촉부 또는 손 주위의 온도가 낮아지면 진동을 더 불편하게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운전대를 잡고 있는 손 위치 바로 앞에 에어컨 송풍구를 배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할 수 있다. ... ...
최종병기 활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고려해야 한다. 화살깃이 필요한 까닭은 여기에 있다.
물체
가 공중을 비행할 때 그
물체
의 무게중심을 흔드는 공기를 비롯한 여러 힘이 작용한다. 화살깃은 무게중심이 흔들릴 때 공기저항을 증가시켜 본래 겨냥한 방향으로 날아가게 만든다. 하지만 그 힘은 활이 시위를 떠나는 순간의 바람에 따라 ... ...
세계에서 가장 밝은 빛 쏜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인공광원이 없이는 관찰할 수 없게 된다.태양보다 수백만 배 밝은 방사광은 아주 작은
물체
의 구조를 확대해서 볼 수 있게 한다. 이것을 2세대형 방사광가속기라고 한다. 포항가속기연구소의 방사광가속기는 이런 2세대형보다 한 걸음 더 나아간 최신형 3세대 방사광가속기다. 휨자석에서 자연적으로 ... ...
PART 1. 공진은 무서워?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똑같으면 공진 현상이 일어난다. 진동이 증폭되기 때문에 외력이 강하지 않아도
물체
는 점점 더 크게 진동하게 된다. 반대로 진동수가 다르거나 엇박자로 진동하면 공진이 생기지 않고, 심지어는 진동이 상쇄되기도 한다.사건이 일어난 테크노마트도 건물 전체 수직방향의 고유진동수(2.7Hz)와 다른 ... ...
이전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