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건
사물
미확인비행물체
유에프오
미확인
비행
물질
d라이브러리
"
물체
"(으)로 총 3,311건 검색되었습니다.
천리안은 왜 일주일에 한 번 궤도를 바꿀까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주 콜로라도스프링스에 있는 북미항공방위사령부(NORAD)에 따르면 크기 10cm 이상의
물체
1만 6000여 개가 지구 주위를 돌아다니고 있다. 그 중에서 78%는 아무런 쓸모가 없는 우주쓰레기다.한국 최초의 정지궤도 위성인 천리안이 우주로 나간지도 1년이 돼간다. 이미 인공위성이 없는 현대생활은 상상할 ... ...
황사보다 위험한 에어로졸 감시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역시 고도에 따른 에어로졸의 분포를 관측하는 데 쓰인다. 라이다는 레이저를 쏜 뒤
물체
에 부딪혀 돌아오는 반사파를 측정하는 장비다. 대기 중으로 쏜 레이저는 에어로졸 입자의 상대적 크기에 따라 산란의 형태가 변한다. 레이저가 산란 혹은 소멸되는 정도를 고도별로 측정하면 에어로졸의 ... ...
Intro. 화학-지구촌 구할 녹색 해결사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더 높여 줄 것으로 예상된다.우리 자신을 포함해 모든 생명체는 물론 우리 주위 모든
물체
중 원소와 화합물이 아닌 것이 하나도 없음을 인지한다면 인류와 이 지구, 또 우주를 건강하게 보존하기 위해서도 화학의 건전한 발전이 절대적으로 필요함에 공감하게 된다.금년 ‘ 세계 화학의 해’의 ... ...
알쏭달쏭 표준을 잡아라!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지금은 원기를 쓰지 않고, 레이저를 이용해 빛의 파장으로 길이를 재요.빛을 이용해
물체
의 길이를 잰다고요?그래요. 처음 길이를 정할 때는 *지구자오선 길이의 4000만 분의 1을 1m로 약속하고 원기를 만들었죠. 하지만 1983년 국제도량형총회에서 빛의 속도를 바탕으로 기준을 새로 바꿨어요. 진공에서 ... ...
라푼젤도 모르는 머리카락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또한 모발의 잘린 부분은 범행도구가 망치 같은 둔탁한 물건이었는지 칼과 같은 예리한
물체
인지도 판단할 수 있게 한다.잘린 모발의 끝 부분은 처음에는 매우 거친 형태를 보이다가 시간이 지날수록 둥글게 변한다. 이 때문에 언제 머리카락을 잘랐는지도 알 수 있다. 머리카락 덕분에 사랑하는 ... ...
Part 2. 과학수사 X파일 5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색을 띠는 물질을 만진 뒤 다른 사물을 만지거나(현재지문) 비누, 먼지처럼 부드러운
물체
를 만질 때(압착지문) 생기는 경우도 있지만 손가락에 있는 땀이나 기름이 묻어나오는 것만으로도 찍힌다(잠재지문). 현재지문이나 압착지문과 달리 잠재지문은 눈에 잘 띄지 않는다. 과거 수사관들은 지문이 ... ...
천체망원경 제작에 도전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조립한다(단, 크기가 맞지 않을 경우 여분의 박스로 틈을 메운다). ④ 가까이 있는
물체
를 보고 상이 또렷이 보이는 지점을 찾아 거리를 조절한다. 그리고 색수차를 본다. 그리고 접안렌즈를 오목렌즈와 볼록렌즈로 교체해 사용해본다. (…중략…) Ⅲ. 정리 및 결론 도출 ① 갈릴레이식에 비해 ... ...
메가마인드와 함께하는 사이언스 반전극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못한 거지! 메타물질이 뭐냐고? 마치 빛이
물체
를 휘어 감듯이 모든 빛을 굴절시켜
물체
가 눈에 보이지 않게 만드는 물질이지. 투명 망토가 갖고 싶으면 나에게 연락하라구~! 이제 내가 보통 악당들과 다르다는 걸 알았겠지? 나처럼 똑똑한 악당이 놀고만 있을 수는 없지. 안 그래도 심심하던 참인데 ... ...
수학 공부의 적극적인 확장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실험형 - ‘뷔퐁의 바늘문제’ 중 일부 1) 연구 계획 및 연구시 주의점 ① 떨어뜨리는
물체
간 상호작용 감소를 위해 바늘 대신 이쑤시개를 쓴다. ② 이쑤시개는 되도록 일정한 방향이 아닌 서로 다른 방향으로 떨어뜨리고 모든 곳에 골고루 뿌린다. ③ 이쑤시개의 길이(L)와 평행선 사이의 거리(d)를 ... ...
Part 1. 수학의 달은 왜 없는 건가요?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아니고 도대체 몇 개의 학문을 만들어낸 거예요?20세기에 들어 힘을 조금 주면
물체
가 조금 움직이는 당연한 현상을 연속 성질이라 정의하고 연구하는 위상수학이 탄생합니다. 반대로 연속 성질을 따르지 않는 현상을 연구하는 이론도 생겨나는데요. 나비효과로 유명한 카오스 이론이 대표적입니다. ... ...
이전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