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호
암호
사인
서명
시그널
몸짓
부호
d라이브러리
"
신호
"(으)로 총 3,108건 검색되었습니다.
LED가 만들 형형색색의 미래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개발 연구를 한창 진행하고 있었다. 화합물반도체 물질로 만든 조그마한 LED소자에 전기
신호
를 보내 빛을 만든다는 사실이 매우 신기했다. LED칩 내의 활성층을 바꿔 다양한 영역의 색을 구현할 수 있다는 점에 매료됐다.화합물반도체 에피성장 연구실은 결함이 적고 우수한 물성을 갖는 화합물반도체 ... ...
감쪽같은 소금 흉내로 뇌 속인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미뢰의 짠맛 수용체에 붙거나 막 이온통로를 거쳐 짠맛 세포를 자극한다. 그 결과 짠맛
신호
가 생성돼 뇌까지 전해진다. 나트륨이 아닌 물질이 나트륨처럼 맛 경로를 이용해 짠맛을 느끼게 하는 셈이다. 짠맛 조절물질이 들어 있는 음식을 먹은 사람은 소금을 넣지 않았는데도 짭짤한 맛을 느끼게 ... ...
1992년 사무엘 웨이스 박사의 성체 신경세포 생성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EGF 수용체가 있다”고 주장한 논문을 본 기억이 떠올랐기 때문이다. 성체 뇌세포에 EGF의
신호
를 받는 수용체가 있다는 건 EGF가 어떤 작용을 할 수도 있다는 뜻이다.‘아니면 말고’라는 가벼운 마음으로 진행한 실험에서 연구자들은 놀랍게도 태아 뇌세포 때와 비슷하게 성체 뇌세포가 분열해 ... ...
Controlling Our Dream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Techniques to control our dreams have been shown to work in scientific sleep experiments. We can strategize to dream about a particular subject, solve a problem or end a recurring ... 뇌의 특정 영역마다 어떤 작용 ...
슈퍼히어로의 천리안 위성 따라잡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8호
8분마다 한 번씩 사진을 찍고 하루 여덟 번이나 바다색을 관찰한 다음, 방송이나 통신
신호
까지 전달해 주려면 눈코 뜰 새 없이 바쁘겠어. 게다가 우주에서 이런 작업을 하려면 수많은 훈련을 거쳐야 하고, 발사된 다음에는 제자리를 찾아 긴 여행을 해야 한다고?어떤 환경 변화에도 끄떡 없다!한 번 ... ...
좀비 만드는 '5가지 레시피'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이 위에 살아 있는 뇌 조직을 올려놓으면 전기적인 활동을 관찰할 수 있다. 뇌의 전기
신호
를 측정하는 뇌파 전위 기록 장치(뇌파계)를 초소형으로 만들었다고 생각하면 쉽다. 이 칩을 이용하면 뇌 조직을 계속 살아 있는 상태로 유지하면서, 새로 개발한 뇌 질환 치료제가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 ... ...
여름바다의 낭만 등대의 모든 것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제원과 운항정보를 자동으로 파악하고, 선박에 따라 최적의 안내를 펴는 ‘자동위치식별
신호
표지’ 시스템을 개발할 예정이다. 우리나라 영해를 빈틈없이 감싸고 있는 수천여 개의 항로표지를 관리하는 일. 그 중심에 낭만과 바닷가의 추억으로 대변되는 등대가 서 ... ...
1994년 제프리 프리드먼 교수의 렙틴 유전자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저항성’은 비대한 지방조직에서 많은 양의 렙틴이 지속적으로 분비되면서 결국 이
신호
에 무감각해지게 몸의 비만 회로가 변형된 결과로 보인다. 한편 단당류인 과당(fructose)의 지나친 섭취가 렙틴 저항성을 유발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과당함량이 높은 옥수수 시럽이 듬뿍 들어있는 음식을 ... ...
‘좀비 실험실’ 죽은사람이 어떻게 노예가 됐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며칠 뒤에 회복했다. 테트로도톡신은 근육세포에 있는 나트륨 이온채널을 차단해 신경
신호
가 전달되는 일을 방해한다. 결국 근육이 점점 마비되면서 온몸이 감각을 잃고 혀가 꼬여 발음이 부정확해진다.데이비스 박사는 좀비가 되는 현상도 마찬가지로 가사상태에 빠졌다가 회복한 것이라고 ... ...
인간 심판이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박사도 오차가 m단위로 너무 커서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또한 GPS 위성은 초당 3회 정도만
신호
를 보내기 때문에 축구공처럼 빠르게 움직이는 물체를 추적할 수 없다.여러 가지 위치 추적 기술이 스포츠에 쓰이고 있지만 아직 그 어떤 기술도 축구에서 오심을 완전히 막기에는 역부족이다. 대책 마련에 ... ...
이전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