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호
암호
사인
서명
시그널
몸짓
부호
d라이브러리
"
신호
"(으)로 총 3,108건 검색되었습니다.
허풍의 그리스식 웨딩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만나는 툴라의 친척들로 시끌벅적하다.“우리는 여기서 툴라의 남자친구인 이안 씨에게
신호
를 보내면 되는 거야. 그나저나 돼지고기 꼬치가 여기 어디 있었는데….” 허풍이 음식을 찾는 동안 툴라는 이안을 학교 친구라고 아버지께 소개한다.“이 친구가 퍼즐을 좋아한다는 그 친구인가? 그래 잘 ... ...
세상을 바꾸는 학생 발명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이용하는 사람들은 1분에 최대 8글자까지 올리며, 최대 140자까지 쓸 수 있다.뇌의 전기
신호
를 포착해 글씨를 쓰는 기술은 그간 여러 연구팀에서 꾸준히 개발해 왔다. 하지만 이 기술은 중증 소아마비 환자나 하반신 마비 환자처럼 몸이 마비된 환자들이 가장 직관적이고 빠르게 SNS에 글을 올릴 수 ... ...
발명자도 놀랄 21세기 생활 속 레이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큰 변화 없이 공기 중에서 수백m를 진행하고 물속으로 들어가면 신속히 압축돼 음향
신호
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확인됐다. 따라서 이 레이저 장비는 항공기에 탑재돼 잠수함과의 통신에 활용될 수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레이저 그 탄생을 위한 질주발명자도 놀랄 21세기 생활 속 ... ...
죽음을 예고하는 자살 경고등 있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느끼는 것을 인식하지 못할 때가 있다. 하지만 최근 모든 자살시도자는 자살 직전 구원의
신호
를 보낸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하버드대 매튜 녹 박사는 자아와 자살충동 사이에는 강력한 연결고리가 존재한다는 연구결과를 정신과학 저널인 ‘심리과학’ 4월 12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에 ... ...
특명 미래 레이저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수 있다. 현재 가장 작은 레이저는 지름 300μm의 다이오드 레이저인데, 고정밀 전자회로에
신호
를 전달하는 광원으로 쓰기에는 너무 크다. 이 때문에 새로운 시각에서 광원을 만들려는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서강대 물리학과 김칠민 교수도 μm 크기의 초소형 레이저를 제작하려는 연구자 중 하나다. ... ...
방정식으로 풀어보는 GPS의 위치 계산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민간 GPS 사용에 대한 정책 덕분이다. 러시아도 푸틴 대통령이 2007년에 누구나 GPS
신호
를 수신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현재 GPS를 가진 나라는 미국과 러시아뿐이다. 하지만 두 나라의 위성기술은 군용인지 민간용인지 구별하기 무척 힘들고, 사실 구별할 수도 없다. 독자적인 GPS를 구축하려는 국가는 ... ...
동북아 철새의 쉼터 홍도, 흑산도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을 이용해 철새 이동 경로를 추적하고 있다. 위치 정보를 무선
신호
로 보내는 작은 단말기를 새의 등에 달아 필요할 때마다 위치를 알아내는 방식이다. 최소 12시간 단위로 위치를 알아낼 수 있어 이동 경로를 연구하는 데 효율적이다. 센터는 2008년부터 이 단말기를 희귀종인 ... ...
외유내강 검정파리와 외강내유 전갈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통해 세포막 안팎을 이동하면서 신경자극을 만든다. 결국 전갈의 독은 몸속에서 신경
신호
가 전달되는 일을 방해해 근육을 마비시켜 먹이를 죽인다. 전갈은 잡은 먹이를 집게발처럼 생긴 위턱(구기)으로 잘게 찢은 뒤, 입에서 소화액을 내뿜어 걸쭉한 수프처럼 만든다. 이렇게 하면 먹이를 씹지 않고 ... ...
폐수에서 전기 얻는 일석이조의 미생물연료전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이 분야의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이유다.두 번째는 미생물연료전지에서 발생하는 전기
신호
가 폐수에 존재하는 유기물농도와 비례할 것이라는 점에 착안해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 측정용 바이오센서를 개발하는 연구다. 필자도 BOD센서와 관련된 연구 분야에서 여러 논문을 발표한 바 있는데, ... ...
공공의 적 비만에 대한 오해와 진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흥분해서 아드레날린 계통의 물질을 분비하면, 그
신호
를 받아 분해된다. 이때
신호
를 받아들이는 정도를 지방세포의 활성도라고 하는데, 지방세포는 부위마다 이런 활성도가 다르다. 오 박사는 “일반적으로 내장지방이 피하지방보다 활성도가 높다”며 “내장지방이 더 빨리 분해된다”고 ... ...
이전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