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호
암호
사인
서명
시그널
몸짓
부호
d라이브러리
"
신호
"(으)로 총 3,108건 검색되었습니다.
특명! 사라진 생물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돌아간 반달가슴곰과 산양에는 모두 발신기가 달려 있다. 연구원들은 발신기에서 나오는
신호
를 추적해 위치를 확인하고 곰과 산양이 어디에서 어떻게 살고 있는지를 연구한다. 지난달 29일에는 야생으로 돌아간 산양이 새끼를 낳았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꼬치동자개 역시 자연으로 돌아간 3000마리 ... ...
분자전자재료공학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유기 태양 전지, 둘둘 말아 휴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피부에 붙여 인체의 이상
신호
를 감지해내는 소형 센서 등 공상 과학 소설에서 보던 제품들이 현실에서도 구현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3. 어디에 있어요?최근에 이 분야의 중요성이 강조되며 대부분의 재료공학부 대학원에 분자전자재료공학 ... ...
2030년 한반도 하늘과 땅 손금 보듯 살핀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한 반도 상공을 지나는 인공위성을 감시하게 된다. 전파가 물체에 맞고 되돌아오는
신호
를 포착하는 레이더 방식 과 달리 눈으로 직접 위성을 보는 방식이다.또 공군은 우주기상 예보 체계와 위성레이저추적 (SLR) 시스템, 레이더 우주감시 체계를 도입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태양이 폭발할 때 ... ...
사이언스誌 선정 10대 과학뉴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동시에 발견한 ABA 수용체는 PYR/PYL/RCAR 단백질 복합체로 ABA가 달라붙으면 구조가 바뀌면서
신호
를 전달한다. 이 발견은 스트레스에 잘 견디는 식물을 연구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감마선을 내뿜는 펄서 발견수십ms(밀리초, 1ms는 1000분의 1초) 주기의 엄청난 속도로 자전하는 중성자별 펄서가 ... ...
외국인 음성 인식하고 생생한 현장 소리 구현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정보통신공학과의 휴먼컴퓨팅연구실에서는 이런 일상을 구현하기 위해 음성과 통신
신호
를 처리하고 멀티미디어를 개발하는 연구에 힘쓰고 있다.이 중 일반 음원을 3차원으로 변환해 재생하는 음향 프로그램과 외국인 음성을 구분하는 프로그램은 현재 기술의 타당성을 인정받고 시험 운영되고 ... ...
두 남자의 호주 사막 조난기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어려웠다. 물도 거의 바닥을 드러냈다. 힘을 아끼려고 대화는 최소화했다. 대신 가벼운 수
신호
로 상대의 상태를 파악했다. 생각도 하지 않았다. 오로지 두 발의 움직임만 의식했다. 5시간쯤 걸으니 날이 어두워졌다.잠시 멈추고 GPS로 위치를 확인했다. ‘허걱!’ 지도와 비교해보니 전혀 엉뚱한 ... ...
수학적 사고력, 말도 잘 한다!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뉴스의 시작을 알리는
신호
와 함께 방송 중임을 알리는 빨간불이 들어왔어요. 전국으로 뉴스를 보내는 부조실의 프로듀서도, 진행을 맡은 아나운서도, 아나운서를 비추는 카메라 감독도 모두 긴장하고 있지요. 이 순간을 넋을 놓고 지켜보다가 그만, 오늘 만날 주인공을 찾는 걸 잊을 뻔 했어요. ... ...
“뇌파로 강아지와 대화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BMI)을 이용해 애완동물과 직접 대화를 나눌 수도 있습니다. BMI는 뇌에서 발생하는 전기
신호
로 컴퓨터나 기계를 작동시키는 기술이죠.강아지도 말은 못해도 사람이 어떤 질문을 하면 그에 따른 특정한 뇌파를 내보냅니다. BMI로 이 뇌파를 인식한 뒤 컴퓨터로 분석해 음성으로 만들면 강아지도 말을 ... ...
만화가와 천문학자가 만나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정말 있을까요? 이미 미국은 외계 생명체가 있다고 가정하고 그들이 보내는 전파
신호
를 감지하는 ‘세티(SETI)’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지요. 최근 과학자들은 생명체를 직접 찾기보다는 태양과 비슷한 별을 찾는 데 힘쓰고 있어요. 만일 태양계와 비슷한 별이 있다면 그곳에도 지구와 비슷한 ... ...
거울 속 우유 마시면 소화 안 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때문이다. 냄새나 맛은 코나 혀에 있는 수용체 단백질이 냄새나 맛 분자와 결합해
신호
를 보내 뇌가 그 패턴을 인식한 결과다. 수용체 단백질이 거울분자이므로 거울분자 쌍의 냄새나 맛이 다르게 느껴지는 경우가 있다.카본(carvone)이란 냄새 분자가 대표적인 예다. 스피어민트라는 식물의 잎에서 ... ...
이전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