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호
암호
사인
서명
시그널
몸짓
부호
d라이브러리
"
신호
"(으)로 총 3,108건 검색되었습니다.
분자로 비휘발성메모리 구현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단분자막의 반대 면에 또 다른 전극을 붙여야 한다. 전극 사이에 전압을 걸어줘야 전기
신호
를 보낼 수 있기 때문이다. 분자는 고리 양쪽에 사슬을 붙여도 길이가 3nm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단분자막은 매우 연약하다. 따라서 금을 가열해 증기로 만들어 단분자막 위에 살짝 증착시키는 방법으로 ... ...
살아 있는 지구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인공위성 익스플로러 1호를 지구 대기권 밖으로 올려놓는 데 성공했다. 단순한 전자
신호
만을 송신하던 소련의 인공위성과는 달리 미국의 익스플로러는 여러 가지 과학 실험 장비를 갖추고 있었다. 지구 대기권 밖에서 우주에 떠다니는 우주선과 미소입자를 측정하는 실험 장비(가이거 계수관)를 ... ...
우리가 몰랐던 D-아미노산의 세계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나누어 볼 수 있다.먼저 이 두 D-아미노산이 정체기에서 펩티도글리칸의 합성을 억제하는
신호
물질로 작용한다. 실제로 D-아미노산을 만드는 효소가 망가진 박테리아는 정체기에 들어서도 펩티도글리칸을 계속 만들기 때문에 세포벽이 지나치게 두꺼워진다.또 D-메티오닌은 펩티도글리칸의 구성 ... ...
머릿속의 초시계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일부가 초시계처럼 정확히 0.05초마다 활성화됐다”며“뇌에서 행동과 학습에 관여하는
신호
가 일정한 주기로 전달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런 현상은 수초 동안 지속됐다.연구팀은 전두엽 피질에 이상이 생겨 움직일 타이밍을 맞추지 못하는 파킨슨병을 치료하는 데 이 발견을 활용할 수 있을 ... ...
대변의 솔직한 자기소개서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준다는 생각에, 어서 빨리 바깥으로 나가야겠다는 결심이 선다. 내가 나가고 싶다고
신호
를 보낼 테니 미루지 말고 화장실로 향 하라.▼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대변의 솔직한 자기소개서똥의 황홀한 변신가축 분뇨에서 바이오가스 ... ...
뇌가 아이스크림 덩어리 쌓이듯 진화했다고?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물론 나트륨 이온이나 글루타민산나트륨이 시냅스에서 다른 시냅스로 이동하면서
신호
를 전달하는 일이나 뇌의 겉껍질(피질)의 구역마다 느끼는 감각이 다르다는 내용처럼 뇌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과 상식도 다뤘다.뇌에 대한 이론이 담긴 기존의 책은 대개 일반인이 이해하기 어렵고, 일반인 ... ...
Part 2. 암호는 즐거운 두뇌싸움!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찾아서 연결해 보면 비밀 메시지가 나타나는데….(콘택트)지구로 날아온 외계인의
신호
. 어떤 기계의 설계도로 보이지만 암호로 되어 있어 뜻을 알 수 없다. 해독의 열쇠는 바로 ‘입체적으로 생각하라’였다. 평면이던 암호를 접어 입체도형으로 만들자 뜻을 알 수 있었던 것이다.참을 수 없었던 ... ...
한국 과학계, ‘외계생명체 찾기’ 나서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의의가 있다. 여러 주파수를 동시에 관측할 수 있도록 구축된 인프라는 검출된 전파
신호
의 물리적 특성을 명확하게 규명하는 데 큰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10월 세티 코리아 ‘이륙’지난 10월 13일 한국천문연구원에서 한국 최초의 세티 워크숍이 열렸다. 그 다음날에는 국제우주대회 제38차 ... ...
신종플루 예방 백신 안전할까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 조절 T세포(regulatory T cell) 세 가지 종류로 나뉜다. 항원이 들어오면 도움 T세포가 일종의
신호
물질인 사이토카인을 분비해 킬러 T세포와 B세포의 활성을 증대시킨다.킬러 T세포는 세포독성 물질을 분비해 병원체에 감염된 세포를 죽이거나 식균작용으로 항원을 직접 제거한다(세포성 면역). B세포는 ... ...
참을 수 없는 가려움의 유혹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원숭이는 가려움을 느끼고 몸을 긁기 시작했고 잠시 후 신경세포로 전달되는 전기
신호
가 사라지는 현상이 관측됐다.그러나 20~40초 정도가 지나자 신경세포는 다시 정상적으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기슬러 박사는 “가려운 부분을 긁고 나서 잠시 후 또 가려운 이유는 신경세포가 활동을 멈추는 ... ...
이전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