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호
암호
사인
서명
시그널
몸짓
부호
d라이브러리
"
신호
"(으)로 총 3,108건 검색되었습니다.
별 볼일 없는 왜소은하가 왜 관심을 끄나요?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일반인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의‘코리아 앳 홈’(Korea@Home)에 가입하면 자신의 PC로
신호
를 처리하는 데 참여할 수 있다. 싸이-아트 전시 9월 30일부터 2010년 1월 7일까지 대전시립미술관과 서울 인사아트센터에서 싸이-아트(Sci-Art) 전시회를 연다. 주제는 ‘우주 직접 만들기’. 설치미술과 조각, ... ...
3. 교통안전 지킴이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횡단보도에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시각장애인에게 소리로
신호
를 알려 주는 음향
신호
기는 일반인이 길을 건널 때도 긴장감을 불어 넣어 안전에 도움이 된다. 횡단보도의 녹색 불이 빨간 불로 바뀐 뒤 차량의 녹색 불이 2, 3초 있다가 켜지게 하는 것으로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차도와 ... ...
“눈동자만 움직여도 현란한 영상과 소리 펼쳐져요”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굴리는 동작도 전극으로 감지된다. 감지된 움직임은 근전도와 뇌전도 전극을 통해 전기
신호
로 바뀌고, 이것은 다시 영상과 소리로 바뀌어 각각 스크린과 배우의 의상을 통해 관객들에게 전해진다.소리는 어디에서 나는 걸까. 배우들이 입고 있는 얇은 옷은 천이 아니라 필름처럼 생긴 스피커로 ... ...
비만을 부르는 지방산의 유혹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팔미트산이 뇌에 도달하면, 렙틴이나 인슐린이 식욕을 억제하도록 신체에 보내는
신호
를 뇌가 무시하도록 하는 메시지를 보낸다”고 설명했다. 렙틴이나 인슐린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면 포만감을 느끼지 않아 음식을 계속 먹게 된다.이런 현상을 렙틴 저항성, 인슐린 저항성이라고 부른다. ... ...
영화 ‘내 사랑 내 곁에’ 루게릭병을 잡아라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글루타메이트는 시냅스 말단에서 분비돼 다른 신경세포에 활동 전위를 일으켜 전기
신호
를 전달한다. 원래 분비된 글루타메이트는 신경세포를 연결하는 시냅스 부위에 존재하는 성상교세포에 의해 빠르게 흡수된다. 그런데 이 과정에 문제가 생겨 글루타메이트가 흡수되지 않으면 신경세포는 계속 ... ...
언어 유전자는 존재하나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전사인자란 다른 유전자의 앞부분에 달라붙어서 그 유전자가 발현되도록, 즉 전사되도록
신호
를 보내는 단백질이다. 전사인자 하나는 보통 수십~수백 개의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데 관여한다.KE 가계에서 언어 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쌍으로 있는 FOXP2 유전자 가운데 하나에 돌연변이가 있었다. ... ...
팔방미인 과학실험 장비 ‘HBL’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측정한 물리량은 전기
신호
로 변해 HBL에 내재된 마이크로컴퓨터에 전달되고, HBL은 전기
신호
를 분석해 해당 물리량의 단위로 환산한다. 이렇게 환산된 데이터는 LCD 화면에 수치와 그래프로 나타난다. HBL은 별도의 프로그램을 설치할 필요 없이 USB 포트에 꽂기만 하면 바로 인식하는 ‘플러그 앤드 ... ...
수학, 보이지 않는 것을 보이게 하는 힘!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영상이 또렷하지 않아요. 경계면이 물체의 정보를 담고 있는 셈이죠. 뒤틀린 부분의 위성
신호
를 보면 파동이 갑자기 변하거나 뾰족한 모양을 띱니다. 그런 부분을 찾아 부드러운 선으로 바꾸면 깨끗한 화질의 영상을 얻을 수 있어요. 이 때 수학이 강력한 힘을 발휘합니다."특히 위성 영상 융합 ... ...
음치 원인은 뇌 영역 간 소통 부족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부르는 사람도 괴롭고 듣는 사람은 더 괴로운 음치. 음치는 평소 말할 때 목소리의 높낮이는 구분하지만 유독 음악에서의 높낮이만 구 ... 적었다”고 밝혔다. 그는 또 “음치에서 벗어나기 위해선 전두엽과 측두엽이 많은 전기
신호
를 주고받을 수 있는 훈련을 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
초고속 정보통신 사회 구현하는 광양자컴퓨터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개발한 광논리소자는 EIT 효과로 생긴 느린 빛을 이용하기 때문에 빛이 흡수되지 않아
신호
를 증폭하는 과정이 필요 없다”며 “게다가 느린 빛을 이용하면 필요한 전력량을 100만 분의 1 수준으로 낮출 수 있다”고 설명했다.연구단은 양자역학을 이용한 양자메모리 연구 분야에서도 탁월한 성과를 ... ...
이전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