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꼭대기에 있는 이 핵심 조절자를 조절하는 ‘진짜’ 우두머리의 정체는 무엇일까요? 과
학자
들이 풀어야 할 다음 숙제입니다.최영은_yc709@georgetown.edu미국 바드대에서 생물을 전공하고 하버드대에서 발생학 및 재생생물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외우는 과학이 아닌 질문하는 과학의 즐거움을 ... ...
Part 2. 백신은 정말 옳다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유발한다?백신 접종과 자폐증 사이의 연관성이 제기된 것은 1998년 영국의 소화기
학자
앤드루 웨이크필드 박사가 ‘랜싯’에 게재한 논문 때문이다(1파트 참조). 하지만 부정확한 데이터와 윤리적인 문제로 해당 논문은 영구 철회됐다. 백신 반대론자들은 백신의 사용과 자폐증에 걸린 어린이의 수 ... ...
[공룡은 왜?] 사체에서 물고기까지! 육식공룡의 먹잇감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7호
걸음으로 먹잇감을 추격하거나 사냥하기가 거의 불가능했을 거예요.이를 근거로 일부
학자
들은 티라노사우루스가 하이에나처럼 사체를 먹던 ‘시체 청소부’라고 주장하기도 해요. 티라노사우루스는 후각 신경이 발달돼 있어서 독수리처럼 냄새만으로도 멀리 떨어져 있는 사체를 찾을 수 ... ...
[Issue] 때 아닌 ‘개 코’ 논란 사람도 개 만큼 맡는다!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사람(약 1000만 개)에 비해 100배나 많은 약 10억 개였다.유전체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과
학자
들은 후각수용체를 만드는 유전자에 대한 연구도 했다. 이 역시 사람 코를 좌절시키기에 충분했다. 후각수용체를 만드는 유전자는 사람과 쥐가 약 1000여 개로 서로 비슷했다. 하지만 사람 유전자 중에서 실제로 ... ...
[Info] “협력적 분위기를 만들 묘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사이언스북스와 공동 개최했다. 과학동아에 ‘협력의 공식’을 연재 중인 진화심리
학자
전중환 경희대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가 강의를 했고, 시사주간지 ‘시사인’의 천관율 기자가 패널로 함께 했다. 천 기자는 진화게임이론을 현실 정치와 사회에 접목한 분석 기사를 여러 차례 써 왔다.강연에 ... ...
[Culture] 시대를 바꾼 패러다임으로 미래를 엿본다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진보를 가능하게 만든 사유 패턴의 혁신을 돌아본다. 패러다임 전환을 이끈 과
학자
와 철
학자
그리고 종교가와 문학가 34명을 선정해 그들의 사상과 이론의 바탕에 깔린 혁신적 사유를 조명한다.6월부터 진행 중인 두 번째 섹션 ‘과학/과학철학(11~21강)’에서는 시대를 바꾼 과학의 패러다임을 ... ...
[Origin] 그날 에드워드 뭉크는 무엇을 봤을까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수 없는 질문 하나가 더 있습니다. 동시대에 살았던 두 인물, 화가 에드워드 뭉크와 과
학자
카를 스퇴르머가 왜 한 번도 만나거나 이 문제에 대해 논의하지 않았을까 하는 점입니다. 미스터리입니다.스베인 피케(Svein M. Fikke)_fikke@metconsult.no노르웨이 오슬로대에서 자연과학 학위(Cand. Real.)를 받았다. ... ...
Part 4. “나 하나쯤이야” 무너지는 집단면역 생태계
과학동아
l
2017년 07호
40년 영국 의사 윌리엄 파가 처음 제시했다. 집단면역이라는 용어는 1923년 5월 영국의 세균
학자
인 W.W.C 토플레이와 G.S 윌슨이 ‘위생학 저널’에 쓴 ‘감염의 확산 집단면역의 문제’라는 논문에 처음 등장했다.집단면역, 어떻게 작용하나백신을 맞지 않아 면역력이 없는 집단에 감염병이 등장하면 ... ...
고은영 기자의 팩트체크, 퍼센트를 조심하라
수학동아
l
2017년 07호
않은 경기에서 각 팀이 이길 확률을 예측하는 알고리즘을 쓰고 있습니다. 미국의 물리
학자
아르파드 엘로가 처음 만든 이 알고리즘으로 클리블랜드의 승률처럼 n차전에서 이길 확률을 구하기도 하고, n차전에서 4번째 승리를 거둘 확률도 구합니다.왜 하필 4번째 승리냐고요? 미국 남자 프로농구 ... ...
[알쏭달쏭 논리 동화] 장화 신은 고양이가 슈뢰딩거를 만났을 때
수학동아
l
2017년 07호
기틀이 완성될 무렵 코펜하겐에서 활동한 닐스 보어, 베르너 하이젠베르크같은 물리
학자
가 활발하게 논의한 해석이라 그렇게 부릅니다.한 세계 해석은 한 세계 안에서 가능한 여러 가지 사건 가운데 하나가 벌어진다는 가정 아래 현상을 해석하는 방법입니다.동전 던지기에 관한 확률을 구할 때 ... ...
이전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