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자"(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시대를 바꾼 패러다임으로 미래를 엿본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진보를 가능하게 만든 사유 패턴의 혁신을 돌아본다. 패러다임 전환을 이끈 과학자와 철학자 그리고 종교가와 문학가 34명을 선정해 그들의 사상과 이론의 바탕에 깔린 혁신적 사유를 조명한다.6월부터 진행 중인 두 번째 섹션 ‘과학/과학철학(11~21강)’에서는 시대를 바꾼 과학의 패러다임을 ... ...
- Part 2. 백신은 정말 옳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유발한다?백신 접종과 자폐증 사이의 연관성이 제기된 것은 1998년 영국의 소화기학자 앤드루 웨이크필드 박사가 ‘랜싯’에 게재한 논문 때문이다(1파트 참조). 하지만 부정확한 데이터와 윤리적인 문제로 해당 논문은 영구 철회됐다. 백신 반대론자들은 백신의 사용과 자폐증에 걸린 어린이의 수 ... ...
- [Future] 전자기파 우주선 가능할까? 차세대 엔진, 심우주로 쏴라!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아직 불분명하고, 실험 결과 역시 추가적인 검증이 필요하지만 그 동안 회의적이었던 과학자들의 생각을 일부 바꿨다. 최 교수는 “물리법칙을 위배한다는 비판은 ‘닫힌 계’를 어디까지로 설정하는지에 따라 다르게 볼 수 있다”며 “당장은 어렵겠지만 실제 가능하다는 것이 밝혀지면 충분히 ... ...
- [Culture] 치카우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다시 자신에게 연락해 올 날을 기다리고 있다.- 2017년, 고속버스 터미널에서 곽재식화학자 겸 작가. 2006년 웹진 거울 32호에 발표한 단편 ‘판소리 수궁가 중에서 토끼의 아리아 : 맥주의 마음’이 MBC 베스트극장에서 ‘토끼의 아리아’라는 제목으로 드라마화되면서 활동을 시작했다. ‘당신과 꼭 ... ...
- 수의 시선을 담다 ‘유현미 작가’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유 작가는 이처럼 길이 없는 곳을 외롭게 개척해 나가는 바보꿀벌이 예술가와 수학자라고 말한다. 그래서 멋있다고.인터뷰가 끝날 때쯤 수학과 예술이 전혀 다르지 않다는 걸 깨달았다. 유 작가의 말에 절로 고개가 끄덕여졌다. 앞으로 유 작가가 어떤 수학적인 작품으로 소통할지 기대된다 ... ...
- [Origin] 기체 방울 속에 우주와 블랙홀을 재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마지막 난제에 조금씩 다가서고 있다.우베 피셔(Uwe R. Fischer)_uwerfi@gmail.com독일인 이론물리학자. 2009년부터 서울대에 재직 중이다. 독일 튀빙겐대에서 박사학위와 조교수 자격을 받았다. 핀란드 헬싱키대, 미국 일리노이대 어바나-샴페인, 오스트리아 인스부르크대에서 박사 후 연구원을 지냈다. 지난 ... ...
- Part 1. 현대 전쟁 속에 숨은 패턴수학동아 l2017년 06호
- 막을 수 없다면 늘 실제 상황처럼 예측하고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뉴질랜드의 물리학자이자 군사이론가인 숀 고울리는 무질서해 보이는 현대 전쟁에서 특징을 찾아냈다. 뉴스에서 보도한 데이터를 수학적으로 분석해 현대 전쟁이 일관된 경향성을 보인다는 사실을 밝혀낸 것이다.고울리는 언론에 ... ...
- [Issue] 전세계 과학자들이 거리로 나선 이유 “과학, 이제 침묵하지 않겠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위협하기 때문에 (바로잡을 수 있도록) 과학기술인이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생태학자인 피오트르 야브원스키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는 “미국은 환경 분야에서 리더십을 잃었다”며 “한국에 있는 과학기술인들도 나서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버스킹 행사가 끝난 뒤에는 참가자 전원이 “국정 ... ...
- [Origin] 악인의 승리 VS. 선인‘들’의 승리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해밀턴은, 조금 과장해서, 집단 선택이라는 말만 들어도 경기를 일으키는 학자였다. 그런 사람에게 조지 프라이스는 자신이 발견한 방정식이 집단 선택에도 적용된다고 한껏 호기를 부렸다. 해밀턴은 독자적으로 이 문제를 파고들었다. 결국 해밀턴은 1969년 12월에 마침내 자신이 그 해법을 ... ...
- Part 1. 암의 절대다수는 ‘무작위’로 온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시작했다(2파트 참조).암은 ‘불운’이라는 불편한 진실미국 존스홉킨스대 의대 암유전학자 버트 보겔스타인 박사팀은 다시 처음으로 돌아갔다. 클론의 암세포가 처음 발생할 때, 어떤 원인으로 생기는가에 주목한 것이다. 그 결과 사람들에게는 다소 충격적일 수 있는 사실이 밝혀졌다. 암을 ... ...
이전1401411421431441451461471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