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생물"(으)로 총 1,584건 검색되었습니다.
- 유전공학의 종착역 단백질공학과학동아 l1991년 06호
- 화합물 등을 무해한 물질로 전환시키는 반응을 도와주기도 한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미생물을 잘만 활용한다면 인류가 직면하고 있는 심각한 환경 공해문제에 대해 물리적인 대응책이나 다른 화학반응을 이용하는 것보다 훨씬 간편하고 반영구적인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한편 ... ...
- 비운의 물리학자 이휘소의 삶과 죽음과학동아 l1991년 06호
- 이휘소박사의 유족으로는 국내에 어머니와 동생들이 살고 있고, 미국에는 부인 마리안느(미생물학 전공으로 시카고 도서관에 근무하다 지난해 퇴직), 아들 이천(李泉, 미국명 Jeoffrey, 현재 워싱턴대학 유전공학 박사과정, 지난해 결혼), 딸 이안(李安, 미국명 Irene, 결혼해 보스톤거주)이 남았다. ... ...
- 100번 죽이고 101번 고쳐 살고과학동아 l1991년 06호
- 세팔로스포린계 항생제의 개발 과정을 알아보자. 세팔로스포린을 생성시키는 미생물이 처음 발견된 때는 1946년이었다. 이어서 1950년대에는 세팔로스포리움(Cephalosporium)이란 세균의 배양액으로부터 문제의 세팔로스포린 C(Cephalosporin C)가 분리됐다. 세팔로스포린 C의 항균력은 흡족할 만한 수준이 ... ...
- 물 오염의 복병 중금속 화학물질과학동아 l1991년 05호
- 발생한 이 병은 미나마타의 신일본질소(新日本窒素)공장으로부터 배출된 수은이 미생물에 의해 유기수은이 되고 이것이 물고기에 농축돼 생선을 먹은 주민들에게서 각종 질병이 발생함으로써 가시화됐다. 오염물질에 중독된 주민들은 운동신경이 마비돼 침을 흘리며 경련을 일으켰고, 빈혈 ... ...
- 2. 바다는 지구 생물의 80%가 사는 거대한 수조과학동아 l1991년 05호
- 학문분야가 융합된 종합과학의 성격을 띠고 있다. 해양생물은 크게 어류 패류 조류 미생물로 나누는데, 이들은 모두 30문(門) 50만종(種)이나 된다. 지구상에 존재하는 생물의 약 80%에 해당하는 종이 바다라고 하는 거대한 수조에서 살고 있다고 말해도 과언이 아니다.이 가운데 가장 초미의 관심사는 ... ...
- 과학기술의 힘으로 물 되살린다.과학동아 l1991년 05호
- 다른 공중합물을 얻을 수 있으므로 유망한 생분해성고분자로 기대되고 있다. 이외에도 미생물이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메카니즘을 연구하여 새로운 고분자화합물을 얻고자 많은 연구가 진행중이다.생분해성 고분자는 농산물과 같이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자원을 원료로 해 얻어지므로 ... ...
- 모기의 침에 도전한다과학동아 l1991년 04호
- 으로 회전할 수 있는 모터를 소개하고 있다. 분자생물분야의 학자들도 박테리아나 미생물의 운동을 관찰해 이들의 운동원리를 모방한 기계를 만들어내고 있다.배추벌레나 지렁이의 운동을 배운다미소기계의 사용목적에 따라 여러가지 운동원리가 있겠으나 보편적으로 개발된 몇가지를 소개해보자 ... ...
- 5. 선배가 걸어온 길과학동아 l1991년 04호
- 있는 딸을 부모님은 흐뭇하게 바라보고 계셨다고 생각한다.끈끈했던 선후배 관계미생물학과에서의 교육과 훈련은 내게는 그야말로 '신선한 충격'이었다. 재미있는 강의시간도 더러 있었지만 내겐 선배나 동기들과 그룹을 만들어 전공서적을 읽고 토론하느라 하루가 멀다하고 어울려 얘기하는 그런 ... ...
- 우주정거장에 재순환시스템 도입돼 우주에서 산소와 물을 자급자족한다과학동아 l1991년 04호
- 금속물질을 제거한다. 마지막으로 극소량의 요오드를 첨가, 그때까지 살아 남아 있는 미생물을 완전히 사멸시킨다. 이것이 제1여과과정인데, 이렇게 정제된 물은 탱크에 저장. 장차 식수로 사용한다.한편 제2의 여과과정은 샤워후의 물 세수물 소변 등을 재활용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이때의 물은 더 ... ...
- 잘못 알고 있는 「코피상식」많다과학동아 l1991년 04호
- 우리 몸의 '1차방어선'인 피부에 상처가 나서 출혈이 일어나는 것이므로 각종 병원성 미생물이 이 틈을 타서 재빨리 체내로 들어오는 것이다.외상을 입거나 코피가 나는 것은 출혈의 가장 흔한 형태지만 피가 몸밖으로 나오는 경로는 꽤 다양하다.고려병원 이상진박사(내과)는 "피는 입을 통해 또 ... ...
이전1401411421431441451461471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