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닥"(으)로 총 2,348건 검색되었습니다.
- 하늘이 내려준 돈줄기 빗물과학동아 l2008년 08호
- 0.1mm 이하다. 필터로 거르지 못한 미세먼지는 6개월 동안 빗물저장탱크에 있을 때 탱크 바닥으로 자연스럽게 가라앉는다.저장조에 처음 유입되는 빗물의 탁도는 최대 200NTU(물의 탁한 정도를 나타내는 단위)에 이른다. 시간이 지나면 특별한 화학 처리를 하지 않아도 수치가 2NTU 이하로 낮아진다. ... ...
- '명왕성'을 찾아 떠난 여행, 그 뒤과학동아 l2008년 08호
- 수소의 원자광을 이용하는 메이저 발진기 1960년 N F 렘지등이 제작했다 수소원자의 바닥상태는 F=O과 F=1인 초미세구조로 나뉘어져 있으며 그 사이의 전이주파수는 약 1,420MHz이다 수소 기체 속의 방전에 의해 만든 수소원자를 원자광으로 고진공 용기 안으로 유도하여 축의 중심일수록 약한 비균질 ... ...
- INTRO 지구온난화, '북극 전쟁'의 방아쇠를 당기다과학동아 l2008년 08호
- 261m, 4302m 깊이까지 내려갔다. 각각 8시간 40분, 9시간 30분 동안 해저 탐사를 벌이다가 해저 바닥에 티타늄으로 만든 러시아 국기를 꽂은 뒤 돌아왔다.이는 북위 88° 지점을 지나는 로모노소프 해령이 러시아의 동시베리아 초쿠가 반도와 대륙붕으로 연결돼 있다는 증거를 찾아 북극점 주변을 러시아의 ... ...
- 다이어트 콜라와 멘토스 사탕이 만났을 때과학동아 l2008년 08호
- 크면 액체 방울 모양이 더 둥글다. 코피 교수는 둥근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콜라 방울이 바닥과 이루는 각도즉 접촉각을 측정했다.그 결과 보통 물은 85°였고, 설탕물은 80°, 아스파탐이 든 물은 77°, 벤조산칼륨은 75°였다. 즉 설탕물이 들어간 일반 콜라보다 아스파탐과 벤조산칼륨이 포함된 ... ...
- 소금쟁이가 물 위에서 점프할 수 있는 이유과학동아 l2008년 08호
- 회라는 빠른 속도로 물 위를 찍듯이 부리를 반복적으로 담그는 행동을 한다. 물을 휘저어 바닥에 있는 작은 갑각류 같은 먹이를 떠오르게 한 뒤 부리로 먹이가 들어있는 지름 약 2mm인 물방울을 집는 과정이다. 보통 새라면 고개를 뒤로 젖혀 물방울을 먹겠지만 깝작도요에는 이 과정이 생략돼 있다 ... ...
- 북극빙하가 녹고 있다과학동아 l2008년 07호
- 수소의 원자광을 이용하는 메이저 발진기 1960년 N F 렘지등이 제작했다 수소원자의 바닥상태는 F=O과 F=1인 초미세구조로 나뉘어져 있으며 그 사이의 전이주파수는 약 1,420MHz이다 수소 기체 속의 방전에 의해 만든 수소원자를 원자광으로 고진공 용기 안으로 유도하여 축의 중심일수록 약한 비균질 ... ...
- 물 먹은 바오밥나무에서 해수욕 즐기는 펭귄까지과학동아 l2008년 07호
- ‘소서스 플라이’가 나타났다. 플라이는 아프리칸스어로 물웅덩이란 뜻이다. 갈라진 바닥에 카멜손(Camelthorn, 낙타가시라는 뜻)나무가 흙탕물을 뒤집어쓴 채 쓰러져 있다. 소서스 플라이에도 비는 내리지만, 뜨거운 모래언덕으로 둘러싸여 있어 흐르기는커녕 웅덩이처럼 물이 괼 뿐이다. 모래언덕은 ... ...
- 2. 세상에서 가장 비싼 '반물질'과학동아 l2008년 07호
- 예상되는 b쿼크를 집중적으로 찾기 위해 설계된 실험이다. LHC 뒤에 b가 붙은 이유도 ‘바닥’(bottom)을 뜻하는 b쿼크를 연구하기 때문이다.입자는 무슨 ‘맛’?한편 CP 대칭성 깨짐과 함께 LHCb 실험의 중요한 주제가 하나 더 있다. 입자의 ‘맛’(flavor)을 찾는 일이다. 사실 ‘맛’이란 단어는 쿼크 ... ...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려움 머릿니과학동아 l2008년 07호
- 제거할 때는 머리를 구획으로 나눠 구석구석 빠트리지 않고 빗는 일이 중요하다. 종이를 바닥에 깔고 목덜미부터 시작해 정수리로 올라가며 빗어 내린다. 되도록 촘촘한 참빗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서캐는 크기가 작아 참빗으로 빗어내려도 반 이상 제거하기 힘들다. 머리 전체를 다 빗은 뒤 더 이상 ... ...
- 2. '신의 입자'를 찾아서과학동아 l2008년 07호
- 이 입자들에 질량을 부여한다. 쿼크는 위(u)와 아래(d), 매혹(c)과 야릇한(s), 꼭대기(t)와 바닥(b)의 6개가, 렙톤은 전자(e)와 전자중성미자(νe), 뮤온(μ)과 뮤온중성미자(νμ), 그리고 타우(τ)와 타우중성미자(ντ)의 6개가 있다. 힘을 매개하는 입자는 Z와 W, 광자(γ) 글루온(g) 4개다.▼관련기사를 계속 ... ...
이전1401411421431441451461471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