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평면
밑
밑바닥
땅
마루
최저
밑면
d라이브러리
"
바닥
"(으)로 총 2,348건 검색되었습니다.
자기조립으로 에펠탑 만든다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수준에서 획기적인 자기조립 기술이 개발됐다.서울대 전기공학부 권성훈 교수팀은 기판
바닥
에 선로처럼 미세한 홈을 만든 뒤 여기에 수십~수백μm(마이크로미터, 1μm=10-6m) 크기의 초소형 부품들이 들어 있는 액체를 부어 부품들이 스스로 조립되는 기술을 개발했다. 권 교수팀은 이 방법으로 수백μm ... ...
중국의 주요 지진 발생 지역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교수를 역임하고 64년 뭔헨 공과대학 물리학 교수가 되었다들뜬상태에 있는 원자핵이
바닥
상태로 전이할 때 방출하는 y선을 동종의 원자핵이 공명흡수(resonance absorption)하여 원자핵을 들뜬상태로 전이시키는 현상 영구쌍극자(永久雙極子) 모멘트를 가지지 않은 분자 그 분자구조는 좋은 대칭성을 ... ...
조류인플루엔자 10문10답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뒤 땅에 묻는다. 조류를 땅에 묻으면 AI바이러스가 없어질까? 현재 매몰방식은 구덩이의
바닥
과 벽면에 비닐을 깔고 그 위에 조류의 사체를 넣는다. 그리고 조류의 사체 위에 흙과 생석회를 번갈아 덮는다. 생석회(CaO)가 물과 만나면 소석회(Ca(OH)₂)가 되면서 열이 발생한다. 그 결과 내부 온도가 200℃ ... ...
탄생! 대한민국 우주인 1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모양으로 벽을 만들고, 땅에서 올라오는 한기를 막기 위해 우주선에서 떼어 낸 낙하산을
바닥
에 깔았지요. 추위는 대충 피할 수 있게 됐지만 여기서 어떻게 밤을 지샐지…. 무전기로 구조신호를 계속 보냈지만 시끄러운 잡음만 돌아올 뿐이었어요.날이 저물자 기온이 영하 15℃로 뚝 떨어졌어요 ... ...
충남 보령 바닷물 범람 사고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대신, 마루가 둥글고 파장이 긴 너울이 생긴다.3. 연안쇄파 : 파도가 해안가에 다다르면
바닥
과의 마찰 때문에 파도가 높아지고 파장이 짧아진다.죽도 침범한 ‘공명성 너울’풍랑이 계속 이동하다보면 파도의 높이와 파장이 제각각인 다른 파도가 만나 잔파도는 사라지고, 대신 마루가 둥글고 ... ...
갈릴레오 시스템용 두 번째 위성 발사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백색이고, 흡수율(吸水率)은 15% 이하이며, 유약(釉藥)을 칠했다화장실·욕실·세면장 등의
바닥
에 사용된다직류여자권선(直流勵磁卷線)을 가지지 않는 돌극형 동기전동기(突極形同期電動機) 직류여자를 주지 않아도 자극의 돌극성에 의한 반작용 토크에 의해 동기 속도로 운전할 수 있는 교류 ... ...
만능종이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꼰 것.삼겹살은 종이 포일로 굽자우리나라 사람들이 제일 좋아한다는 삼겹살은 불판
바닥
에 알루미늄 포일을 깔고 구워야 제 맛이다. 포일의 열전도율이 좋아 고기가 잘 익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름이 쉽게 튀고 고기가 종종 탄다고 불만을 가진 사람도 있을 터. 그렇다면 앞으로 알루미늄 포일 대신 ... ...
나무로 만든 꿈의 롤러코스터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하면, 오른쪽으로 꺾어지며 땅으로 곤두박질치는 레일이 보인다. 움찔하는 순간 열차는
바닥
으로 한없이 돌진한다.나무로 만든 롤러코스터 T-익스프레스는 처음 꼭대기를 올라갈 때를 빼 놓고는 열차가 움직이는 동안 동력을 쓰지 않는다. 대부분 롤러코스터가 그렇듯 출발할 때 가장 높은 곳에서의 ... ...
바다의 '젖줄' 하구역 살려낸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강화도 남단에 인공수초를 설치했다. 얇고 가는 플라스틱 모양의 인공수초는 조간대의
바닥
에 고정돼 배후지 쪽으로 이동하는 세립물질을 잡아둔다. 인공수초를 설치한 결과 하구역에 세립질 양이 많아져 최근 해변에 흔하게 사는 칠게의 개체수가 대폭 늘었다.미국은 하구역의 중요성을 깨달은 뒤 ... ...
숭례문 무너진 자존심 금강소나무가 되살린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필요한 땔감과 농사에 필요한 퇴비는 모두 주변 산림에서 얻었다. 수백 년 동안 숲
바닥
의 낙엽을 긁어 땔감을 채취한 방식이나 활엽수의 어린 줄기와 잎을 채취해 퇴비를 만들던 산림이용방식은 인가 주변의 산림토양을 점진적으로 악화시켰다. 그 결과 비옥한 토양에서 잘 자라는 활엽수는 더 이상 ... ...
이전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