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작
산출
제조
출산
저작
연출
출생
d라이브러리
"
생산
"(으)로 총 4,42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꿈의 기술? 아직 피지 못한 꽃?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풍력과 같은 친환경 발전에 이같은 저장 장치가 꼭 필요하다. 날씨 변화에 따라 전기
생산
량이 들쑥날쑥해 전기를 모아 두었다가 일정하게 공급해줘야 하기 때문이다. 이 외에도 기존 모터보다 3분의 1이상 작은 초전도 모터, 초전도 한류기 등이 초전도 기술을 활용한 장비다.이처럼 전력 기반 ... ...
식중독 백신 개발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넣어주기만 하면 단백질이 바이러스 위에서 스스로 조립되기 때문에 백신을
생산
하는 데 이틀밖에 걸리지 않는다”고 덧붙였다.연구팀은 이번에 개발한 백신을 실험용 쥐를 통해 효능을 확인했다. 백신의 부작용인 열, 체중감소 등 감염 증상도 보이지 않았다. 리 교수는 “세계적으로 매년 2100만 ... ...
MEMS와 의생명공학의 기분 좋은 만남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않을 정도로 작은 전자기계나 부품을 개발하고 있다. 더 작고 뛰어난 성능을 가진 제품을
생산
해 실생활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다. 이 교수는 국내 MEMS 분야 1세대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서 근무하던 1986년부터 이 기술을 연구해왔다.“MEMS 기술은 모든 분야에 쓰일 수 있죠. 그 중 MEMS와 ... ...
나 대신 옷 갈아입는 아바타 쇼핑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소비자가 직접 디자인하고 몸에 맞춰 주문한 옷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반품하면
생산
자는 그 옷을 다른 사람에게 판매할 방법도 없다.3차원 쌍둥이 옷 갈아입히기만약 나와 똑같이 생긴 가상의 쌍둥이가 옷을 직접 입어보면 어떨까. 나에게 잘 어울리는지 내 몸에 꼭 들어맞는지 미리 확인해볼 수 ... ...
Part1. 상온초전도체 언제 탄생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0인 초전도 물질에 전기를 흘려주면 이론적으로는 영원히 전기가 흐른다. 한번
생산
한 전기를 아주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다. 오네스는 언젠가 초전도 전선이 거의 무한한 양에 가까운 전기를 저렴한 값에 소비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여기에 초전도 현상이라는 이름도 붙였다. 1913년 ... ...
첨단 기술로 배를 띄워라! 선박저항성능연구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바다에서 배가 받는 힘을 잘 연구해서 이용한 덕분이구나. 게다가 파도를 만들어 전기를
생산
한다니 정말 놀라워! 내 궁금증을 풀 어 준 명예기자 친구들, 정말 고마워!잠깐! 인공 파도는 어떻게 만들까?선형수조에서 출렁이는 인공 파도는 ‘조파기’라는 장치로 만든다. 조파기를 물 속에 넣었다 ... ...
가축 안 키우고도 고기 먹는 법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국장은 “아직 대학 실험실에서 초기 단계의 연구를 하는 수준이라 상업적으로 대량
생산
을 하려면 10년 이상이 걸릴 것”이라고 전망했다.미래의 주부들은 마트에 진열된 다양한 고기 제품을 놓고 어떤 결정을 내릴까. 지금의 고기를 대체하려고 노력하는 과학자들의 연구가 실현된다면 어떤 고기를 ... ...
한국의 인공태양, 세계의 태양으로 뜨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초고온의 플라스마를 가두는 자기밀폐 장치에서 들어간 에너지만큼 핵융합에너지를
생산
하는 핵융합 반응을 실험해 상용화 가능성까지 검증했다.반면 우리나라는 원자력 발전으로 전기를 만들고는 있었지만 핵융합은 불모지나 다름없었다. 선진국들에 비해 한국은 늦어도 너무 늦은 듯 보였다 ... ...
관심도 지나치면 병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세계에 살고 있다. 남에게 과한 관심을 갖는 사람들 때문에 인터넷은 끝없이 확대·재
생산
되는 가십의 장으로 얼룩지고 있다. 잘못된 정보로 피해를 입는 사람의 수가 헤아릴 수 없을 정도다.얼핏 보면 과관여적인 성향은 다른 사람들을 도와주려는 순수한 마음으로 보인다. 문제는 경계다. 세상의 ... ...
신경교세포 100년 만에 입을 열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배우거나 독서를 한 후에도 저글링을 연습했을 때처럼 돌기교세포가 미엘린을 많이
생산
한다는 사실도 밝혀졌다.게다가 뇌 속 돌기교세포는 아이부터 성인 때까지 미엘린을 지속적으로 만들 수 있다. 계속 공부하고 연습하면 뇌속 돌기교세포가 미엘린을 많이 만들어 나이가 들어도 머리가 좋아질 ... ...
이전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