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작
산출
제조
출산
저작
연출
출생
d라이브러리
"
생산
"(으)로 총 4,424건 검색되었습니다.
“개념 공부는 그만.과학의 이야기를 즐겨라”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과학기술과학 연구가 인류의 생활과 건강에 어떤 변화를 일으켰는지를 배운다. 농업
생산
성 향상과 첨단 과학을 응용한 건강 관리 등을 다룬다.에너지와 환경우리가 사용하는 에너지의 근원을 알고, 열역학의 기본 법칙을 이해한다. 화석 연료, 태양 에너지, 온실효과 등의 주제를 살펴본다.새로운 ... ...
국제동물농부협회 참관기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저희는 땅속에 집을 짓고 사는데 농장도 딸려 있지요. 곰팡이는 식물처럼 광합성을 하는
생산
자가 아니기 때문에 저희가 나가서 잎이나 나무 조각을 구해다 농장에 깔아주죠. 사람들이 표고버섯 재배할 때 통나무를 잘라다 쌓아놓는 것과 비슷합니다.개미2: 저희도 곰팡이를 키웁니다!흰개미: ... ...
소개팅에서 성공하는 사랑방정식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만연한 가치 있는 신호를 ‘핸디캡 이론’으로 설명했다. 그 이론에 따르면 신호를
생산
하는 데 많은 비용이 들수록 가치 있는 신호다. 자원과 능력이 없는 사람은 결코 신호를 만들어 낼 수 없기 때문이다. 자하비는 수컷 공작을 예로 들었다. 수컷 공작은 거추장스럽고 사치스러운 꼬리를 달고 ... ...
기계에도 근육이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하루 속히 이런 로봇전용 인공근육이 개발되기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박상덕 한국
생산
기술연구원 민군실용로봇사업단장은 “지금까지 만든 로봇은 다른 기계장치의 부품을 빌려서 만든 것과 마찬가지”라며 “인공근육이 실용화된다면 로봇공학은 비약적으로 발전할 것”이라고 내다 봤습니다 ... ...
달라진 융합형 과학 교과서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어떻게 기여했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목표다. 농업 혁명과 신품종 개발에 의한 농업
생산
성 향상, 과학적 원리를 이용하는 건강관리, 첨단 과학을 응용한 질병의 진단과 치료를 이해하는 내용으로 구성했다. 에너지와 환경 : 열역학의 기본 법칙을 배우고, 화석 연료가 인류 문명의 중요한 에너지원이 ... ...
PART 3 맞춤형 자전거를 찾는 6계명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노력은 앞으로 쭉 계속될 것이다.브레이크 위치가 바뀌었다!지난해부터 우리나라에서
생산
하는 자전거의 브레이크 위치가 바뀌었다. 앞바퀴의 브레이크는 왼손으로, 뒷바퀴의 브레이크는 오른손으로 잡게 바꾼 것이다. 이전까지는 일본 자전거처럼 뒷바퀴의 브레이크를 왼손으로 잡았다. 이번 ... ...
루팡도 깜짝 놀란 별난 과학 은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수 있다.❷ 지질활동 없는 안전지대❸ 냉방에 필요한 연료가
생산
되는 지역이 지역에서
생산
되는 석탄은 종자 보관에 알맞은 국제표준온도인 영하 18℃로 낮춰 주는 냉방 시설연료로 쓰일 수 있다.❹ 높은 곳에 있어 안전!평균 해수면보다 130m 높아 그린란드의 빙하가 녹아도 잠기지 않는다소중한 ... ...
Part2. 지구 살리는 13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이산화탄소를 없애려면 매년 7km3에 해당하는 규산염 광물을 파야 한다. 이는 현재
생산
하고 있는 석탄의 2배에 해당하는 막대한 양이다. 4. 에어캡쳐에어캡쳐(air capture)는 일반 대기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장치다. 이 장치는 다른 탄소 포집 및 저장(CCS) 기술과 다르다. CCS는 석탄 ... ...
과학자를 매료시킨 ‘상상의 동물학’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기관을 형성하거나 몸 속의 단백질을 만들고 유전자를 복제하는 과정, 그리고 에너지를
생산
하고 소비하는 과정에 쓰인다. 아무리 변이가 일어나더라도 이제까지 발견된 동물과 겉모습이 완전히 다른 생물이 새로 탄생할 가능성은 대단히 드물다. 심지어 완전히 다른 진화 경로를 거쳐온 동물이라도 ... ...
집게냐 손가락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굉장히 비슷해 보입니다. 국내에서 이 방식으로 인간형 손을 개발하고 있는 곳은 한국
생산
기술연구원과 성균관대 최혁렬 교수팀이 있습니다. KIST도 최 교수팀 연구에 협력하고 있습니다.손가락 형 로봇손의 최대 단점은 제어하기가 까다롭다는 점입니다. 손가락이 다섯 개면 관절은 15개가 넘습니다. ... ...
이전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