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속"(으)로 총 13,484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스미디어] 샹치와 텐 링즈의 전설수학동아 l2021년 10호
- 질감까지 상세하게 표현한 덕분에 용의 피부를 눈앞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과연 영화 속 용의 비늘은 진짜 피보나치 수열을 따랐을까? 텐 링즈의 주인이 바뀌는 과정은 순탄했을까? 용의 비늘과 함께 나타난 새 히어로가 새 무기로 무장하고 앞으로 새로운 작품에서 다른 히어로와 마주할 그 날을 ... ...
- [이달의 우주 날씨] 가을철 별자리와 이웃 은하 이야기!수학동아 l2021년 10호
- 어둡지만, 구경이 큰 천체망원경으로 충분히 관측할 수 있답니다. 이번 가을에는 신화 속 주인공과 그와 관련된 가까운 이웃 은하들을 만나러 떠나 볼까요 ... ...
- [에프매스의 무의식 퍼즐 세계]수학동아 l2021년 10호
- 아무에게도 알려주지 않은 특별한 비밀 공간에 초대하지. 여기는 나, 에프매스의 무의식 속이야. 난 휴식이 필요할 때면 무의식 세계로 들어가 시간을 보내곤 해. 하지만 소중한 나만의 공간에 아무나 들일 수 없지. 퍼즐을 푼 사람만 다음 세계를 구경할 수 있어. 곳곳에 숨어있는 퍼즐을 풀다 보면 ... ...
- [게임 디자인 씽킹] 게임 몰입도를 높이는 절차적 콘텐츠 생성법수학동아 l2021년 10호
- 지형을 생성하는 부분도 있으니, 스탬프 명령어를 사용한 결과(아래 그림)와 생성 속도를 비교해 보기 바랍니다. 생성한 지형에 캐릭터를 배치하고 이동하는 기능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여러 기능을 추가해 직접 코드를 수정해 보세요. 폴리매스 사이트에 우수한 결과물을 올린 참가자에게는 ... ...
- 만난 듯 못 만난 듯 문화 속 UFO과학동아 l2021년 10호
- UFO 의심 사례들이 폭발적으로 증가한 건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1940년대부터다. 특히 1947년 미국에서는 총 비행 시간이 9000시간이 넘는 조종사인 케네스 아널드가 한 번에 9대의 UFO를 봤다는 등의 목격담으로 당시 언론을 뜨겁게 달궜다.이후에도 유독 미국에서는 다른 어느 나라보다도 UFO 목격담이 ... ...
- [한페이지 뉴스] 세로토닌이 코카인 중독을 막는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086 코카인은 마약의 한 종류로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 도파민의 재흡수를 차단해 뇌 속에서 이들의 농도가 높은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그 결과 행복감을 강렬하게 느끼게 되고, 이런 효과로 코카인에 중독된다.연구팀은 코카인 중독성을 파악하기 위해 쥐에게 스스로 코카인을 투여하는 ... ...
- 잘 읽히는 글꼴, 기억 잘 되는 글꼴은 따로 있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라틴어에서 만들어진 이론이 한글에도 적용될 수 있는지는 미지수”라고 말했다. 읽기 속도, 정확도 등을 실험한 원경대 당시 홍익대 산업미술대학원 연구원의 1990년 연구에서도 네모틀과 탈네모틀 사이에 가독성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 연구원은 논문에서 “익숙함의 차이때문에 이런 ... ...
- [과학동아 x 긱블] 우리 이번엔 좀 진지하다, 영화 ‘업’ 하우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빅토리아 스타일이라 불립니다. 돌출된 3면의 창문, 뾰족한 지붕과 거대한 굴뚝, 절제미 속에서도 장식이 많은 화려한 스타일이 대표적 특징입니다. 이런 특징을 그대로 살리는 동시에 집의 원활한 승강을 위해 가벼운 소재인 바스우드, 발사 판재를 주요 소재로 택했습니다. 집의 바닥면은 중밀도 ... ...
- [특집] XR, 가상과 현실을 넘나들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원> 실현될까? 2018년 개봉된 SF영화 은 메타버스를 표현한 영화로 손꼽혀요. 영화 속 인물들은 고글 형태의 디스플레이 (HMD)를 끼고 햅틱슈트를 입은 채 가상세계를 보고 느껴요. 이처럼 AR과 VR 등 현실과 가상을 연결하는 여러 기술을 통 틀어 ‘XR(확장현실)’이라 불러요. 4월 8일, ... ...
- [특집] 세상을 바꾼 10진법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0호
- 아주 많아. 예전에는 60진법이나 12진법을 쓴 나라가 있었거든. 이 흔적은 우리 생활 속에서도 발견할 수 있어. 60분이 지나야 1시에서 2시로 자릿수가 바뀌는 시간이 대표적이지. 그런데 시간을 계산할 때 받아올림이나 받아내림이 있으면 그냥 숫자 계산보다 더 복잡하지 않아? 많은 사람이 그렇게 ... ...
이전1401411421431441451461471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