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스페셜
"
세포
"(으)로 총 1,937건 검색되었습니다.
정춘숙 의원 "코오롱생명 인보사 허가과정 '비정상적'"
연합뉴스
l
2019.10.07
당시 제출한 자료에 기재된 연골
세포
가 아닌 종양 유발 가능성이 있는 신장
세포
(293유래
세포
)로 드러나 논란을 일으켰다. 식약처는 3월 31일 중앙약사심의위원회를 열어 코오롱생명과학에 자발적으로 인보사의 제조·판매 중지하도록 조처를 내렸다. 식약처는 이후 5월 28일 인보사의 품목허가를 ... ...
박수만 쳐야하는 ‘노벨상 시즌’ 돌아왔네
동아사이언스
l
2019.10.07
윈트(Wnt) 신호전달경로를 밝힌 한스 클레버스 네덜란드 위트레흐트대 교수와 면역
세포
가 자기조직 공격을 막는 현상을 발견한 미국 국립유대인연구센터의 존 캐플러 교수 및 필리파 매랙 교수가 권위자다. 물리학에서는 나노(10억분의 1)와 양자처럼 아주 작은 세계의 비밀을 밝힌 연구가 주요 수상 ... ...
사고로 몸 마비된 28세 청년, 뇌파로 작동하는 로봇옷 입고 다시 걸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06
떨어져 척수를 다쳐 사지마비 판정을 받았다. 뇌와 함께 중추신경계를 구성하는 신경
세포
집합체인 척수를 다칠 경우 20% 이상 마비 증상을 겪는다고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뇌신경과학과 기계공학 기술을 이용해 생각만으로 걸을 수 있는 기술 개발에 나섰다. 외골격로봇은 사람의 골격구조 및 ... ...
[표지로 읽는 과학] 뇌에 '외국어' 능력 주입하는 시대 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19.10.06
포유류가 주요 대상이다. 토드 로버츠 미국 텍사스대 신경과학부 교수 연구팀은 뇌 신경
세포
의 스위치를 조절하는 ‘광유전학’ 기법을 통해 참새목의 새인 금화조에 노래를 배운 기억을 인위적으로 집어넣었다. 이 금화조는 한번도 노래를 하는 다른 개체를 만난 적이 없는데 노래를 부르게 한 ... ...
[인류와 질병] 치매의 수수께끼
2019.10.06
PET)으로 촬영한 영상을 공개했다. 왼쪽은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 오른쪽은 신경
세포
안의 타우 단백질을 측정한 영상이며 붉은색일수록 양이 많은 것이다. 양쪽 모두 치매 환자에게서 많이 발견된다. 치매의 미스터리 처음에는 약간의 기억 상실이 일어난다. 그래서 노화에 따른 자연스러운 ... ...
[2019노벨상] 전문가들이 예측하는 생물학·의학 분야 유력 후보10人
동아사이언스
l
2019.10.03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이다. 그들은 빛을 쪼였을 때 이에 반응하는 이온채널을 발견해, 신경
세포
를 실시간으로 관찰하는 데 활용했다. 가령 채널로돕신 1과 2라는 이온채널은 푸른 빛을 쬐면 양이온을 통과시킨다. 이 기술을 활용하면 마치 스위치를 켰다 껐다 하는 것처럼 뇌의 특정 부분을 ... ...
뇌전증 환자 36만명인데, 수술받으러 일본행 비행기표 사는 환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19.10.03
뇌출혈과 뇌전증 진단을 받았다. 뇌전증은 뇌에서 과도하게 전기적인 자극이 발생해 뇌
세포
의 활동이 부자연스러워지면서 감각이나 행동 등에 반복적으로 이상이 생기는 발작성 뇌질환이다. 전 연령대에 걸쳐 전 세계에서 1000명 중 1명 꼴로 비교적 흔하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에 따르면 국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액상 전자담배, 제2의 가습기살균제 되나
2019.10.01
전자담배를 피우기 시작한 때였다. 환자의 기관지폐포세척액에서 분리한 폐포대식
세포
는 지질이 가득 들어있었다. 이는 이번 동물실험에서 관찰된 현상과 매우 비슷하다. 당시 논문의 저자들은 환자의 병명을 ‘외인성 지질성 폐렴’이라고 진단하고 “전자담배 증기의 글리세롤에 반복 ... ...
경도 인지장애 환자 치매 가능성 혈액 검사로 알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30
경도 인지장애 환자의 절반이 알츠하이머 치매로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뇌
세포
손상이 어느 정도 진행된 후 발견되면 근본적 치료가 어렵기 때문에 조기 진단이 매우 중요하다. 묵인희 서울대 의대 교수와 황대희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이상원 고려대 화학과 교수 연구팀은 경도 ... ...
[표지로읽는과학] 인간 건강증진 가져올 '유전자형-표현형' 연구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9.29
연구팀은 마지막 네번째 리뷰에서 유전자형과 표현형 간의 연결성을 찾는데 있어 단일
세포
유전체가 어떻게 인간 장기나 오가노이드와 함께 쓰이는지에 설명했다. 사이언스는 관련 리뷰들이 표현형이 어떤 유전자와 환경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되는지를 알아내 궁극적으로 인간 건강 증진에 ... ...
이전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