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스페셜
"
세포
"(으)로 총 1,937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빛으로 나노미터급 미세소관 움직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1
수십 개의 서로 다른 모터단백질이 존재한다. 근육수축,
세포
분열을 일으키는
세포
골격잔섬유의 움직임도 돕는다. 맷 탐슨 미국 캘리포니아대 공대 생명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이 모터단백질과 미세소관의 움직임을 빛을 이용해 조절하는 기술을 개발해 이번주 네이처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 ...
알파고 한계 뛰어넘는 ‘AI 자전거’ 나오나
동아사이언스
l
2019.08.05
현재 통용되는 AI를 ‘좁은 AI’라고 부르는 이유다. 과학자들은 사람의 신경
세포
인 ‘뉴런’이 연결된 신경망을 모방해 복잡한 정보를 한 번에 인식하는 AGI를 구현할 방법을 찾고 있다. 과학자들이 주목하는 분야는 신경과학에 기반을 두고 이를 그대로 모방한 반도체 구조를 개발하는 것이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농작물과 동물 유전자 편집 시대 주도하는 중국
동아사이언스
l
2019.08.04
미네소타대 유전학과 교수는 “가오 교수는 크리스퍼 기술을 일찍 사용한 매우 뛰어난
세포
생물학자”라며 “성공가도를 달리고 있다”고 평가했다. 작물 분야뿐 만 아니라 동물에 대한 유전자 편집 기술 적용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지난 1월 쑨창 CAS 신경과학연구소 선임연구원 연구팀은 ... ...
추억의 장소 가면 설레는 이유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31
영화 '봄날은 간다' 스틸컷. 네이버영화 제공 어떤 곳에 가면 유독 설레거나 기분이 좋아지는 경험을 할 때가 있다. 아련한 기억에 남은 추억의 장소일 때 특히 그렇다. 뇌가 ... 데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에 참여한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인지 교
세포
과학 그룹. 사진제공 ... ...
만성요통 환자 자극선별
세포
와 통증감각 처리 뇌 영역 유독 발달
동아사이언스
l
2019.07.29
요통 환자의 허리통증이 심할수록 현출성 네트워크의 대표적 영역인 앞뇌섬 피질과 일차체성감각피질 간의 기능적 연결성이 크게 증가했다. 한의학연 제공 한국 과학자가 포함된 국제 공동 연구팀이 만성요통 환자의 뇌 신경망이 정상인과 다르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만성요통 환자에게 외부 자 ... ...
견과류 동물성 단백질에 수면 촉진 효과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8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 교수는 “수면의 새로운 조절 인자로서 뇌 신경
세포
내 아미노산 대사 작용의 중요성을 밝힌 연구”라며 “중추신경에 인위적으로 작용해서 부작용을 일으키는 수면장애 치료제가 아닌 새로운 패러다임의 수면장애 치료제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 ...
[표지로 읽는 과학]
세포
수문장의 움직임 하나하나 드러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7
ABC 수송체의 구조 변화를 촬영해냈다. 탐페 교수는 “이 연구를 통해
세포
를 감싼
세포
질의 거의 모든 움직임을 이제 원자 단위로 볼 수 있게 됐다”며 “ABC 수송체의 수송 원리에 관한 질문에 곧 대답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알츠하이머 치매 증상 나타나기 전 조기 진단법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6
안팎에 비정상적인 단백질인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과 타우 단백질이 쌓이면서 뇌
세포
를 망치는 질환이다. 이 단백질들은 누구에게나 생기지만 건강한 뇌에서는 쌓이지 않고 제거된다. 알츠하이머 치매라고 진단됐을 때는 이미 진행이 되고 있는 단계라 완치가 어렵다. 김 교수팀은 ... ...
상처에 붙이면 큰 흉터 없이 낫게 하는 반창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7.25
자연스럽게 낫는 과정에서는 새살이 돋아 흉터가 생긴다. 하지만 배아일 때는 피부
세포
가 상처 주변에 단백질 액틴 섬유를 만들어 가장자리를 잡아 당기면서 붙인다. 입구에 달린 끈을 양쪽으로 잡아당겨 닫는 주머니와 비슷하다. 연구팀은 이런 원리를 구현하기 위해 생체 친화적인 ... ...
'몸에 열 많은 사람은 살 안 찐다' 과학적 근거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3
능력인 내당력은 높아지고 지방간 등의 대사질환은 개선됐다. 연구팀은 바이페린이 지방
세포
내 소기관인 미토콘드리아에서 지방산을 분해해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지방산 산화’ 과정을 막는다는 사실도 밝혔다. 평상시 이 과정은 자연스러운 조절 과정이지만, 고지방식 등을 섭취할 경우에는 ... ...
이전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