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관
모범
무늬
본보기
bone
bonn
bonne
d라이브러리
"
본
"(으)로 총 3,668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상은 필명,
본
명은 김해경
수학동아
l
201008
어려운 자신만의 작품 세계를 그렸어.‘건축무한육면각체의 비밀’이라는 영화제목을
본
것 같은데, 그거랑 같은 거예요?그래. 그 영화는 이상이 건축가로 이름을 날릴 때 쓴 ‘건축무한육면각체’가 어떤 암호일지 모른다는 가정에서 출발한 영화란다 ... ...
정다면체 오형제의 위대한 탄생
수학동아
l
201008
선생님 : 아주 잘했어요. 이 밖에도 다른 정다면체가 또 있을까요?사랑 : 지금까지 따져
본
걸 생각하면 더 이상 다른 정다면체는 없는 것 같아요.선생님 : 맞았어요. 정다면체는 다섯 개가 전부랍니다.●가장 둥근 정다면체는 정십이면체선생님 : 다섯 가지 정다면체 중에서 축구공으로 써도 좋을 ... ...
이제는 우측보행 시대!
과학동아
l
201008
경우가 잦고, 보행방향 표시가 없을 경우 우왕좌왕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즉
본
능은 우측인데 교육을 좌측으로 받아왔기 때문에 급한 상황에서 혼란이 일어나기도 한다. 반면 우측보행을 실시하는 나라들에서는 보행방향에 대한 안내 표시가 없는 곳에서도 사람들이 우측보행을 하기 때문에 ... ...
[cool tech] 내 방 안의 아쿠아리움
과학동아
l
201008
관찰했을 때 pH가 6.5 부근을 유지한다면 수초가 광합성하는 데 충분한 이산화탄소 농도로
본
다. 다만 질산이온과 같은 오염 물질도 pH를 떨어뜨리므로 수조의 상태를 눈여겨봐야 한다.광합성에 중요한 또다른 요소는 빛이다. 수초에 빛을 쬐어 주기 위해서는 형광램프를 이용한다. 물속에서 받는 ... ...
1994년 제프리 프리드먼 교수의 렙틴 유전자 발견
과학동아
l
201008
최고의 바이오신약이 나올 터였다.그러나 결과는 실망스러웠다. 뚜렷한 체중감소 효과를
본
사람이 몇몇 있기는 했지만 전체적으로 봤을 때 렙틴의 효과는 미미했다. 렙틴은 단백질이기 때문에 인슐린과 마찬가지로 먹을 수는 없고(장에서 소화가 되므로) 주사제로 혈관에 직접 투여해야 한다. ... ...
“창의적인 글로벌 리더 키우겠다”
과학동아
l
201008
과정에서 단원에 대한 기
본
개념을 얼마나 이해했는지, 그 적용력과 문제해결력을 살펴
본
다. 구술면접은 단순히 문제풀이가 아닌, 개념 확인에서부터 문제해결능력까지 단계적인 질문을 통해 평가한다. 면접을 통해 당락이 결정된다. 선행학습과 사교육을 배제하기 위해 학교교육과정에 충실한 ... ...
호러 마니아가 '좀비'에 열광하는 까닭
과학동아
l
201008
한다.무차별한 전염으로 친구를 잃는 공포잘 알고 지내던 사람이 치매에 걸린 모습을
본
적이 있는가. 치매에 걸리기 전에 그가 얼마나 영민하고 친절하며 유머가 넘치는 존재였는지 생생하게 기억할수록, 치매에 걸려 영혼이 빠져나간 그의 모습은 당신의 가슴을 후벼 팠을 것이다. 겉모습은 별로 ... ...
물속으로 얼음이 가라앉네?
과학동아
l
201008
높다. 즉 액체에 고체를 넣으면 가라앉고 만다. 얼음을 동동 띄운 시원한 물을 마셔
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얼음이 물보다 가볍다는 사실을 안다. 물은 얼면 밀도가 오히려 낮아지기 때문이다. 그것도 상당히 많이 낮아진다.0℃의 얼음은 0℃의 물에 비해 부피가 무려 9%나 늘어난다. 압력을 가해 ... ...
열등감과 죄책감이 세뇌의 희생양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008
대한 죄책감으로 인해 신부가 더 이상 힘을 발휘하지 못하게 만들었다.오래전에
본
영화라 신부가 왜 아버지에게 죄책감을 느끼는지는 기억나지 않는다. 하지만 “죄책감의 뿌리라는 것이 정말 질기다”라는 가벼운 충격을 받았던 기억만큼은 선명하다. 그래서 죄책감과 열등감으로 고민하는 ... ...
가로 세로 5mm 속에 펼쳐진 꿈
과학동아
l
201008
전송속도를 더욱 높이는 것이었다. PC 내부나 TV 뒷면에 복잡하게 얽혀 있는 많은 선들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많은 양의 데이터를 한꺼번에 보내기 위해서는 여러 가닥의 선이 필요하다. 이중 일부는 여전히 아날로그 신호고 일부는 디지털 신호다. 필자의 연구는 바로 이 선을 하나의 고속 디지털 ... ...
이전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다음
공지사항